[당(唐)나라] 현장(玄奘) 역(譯)

 

본 게시글의 번역은 출처를 밝히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야심경 역주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역주(월운).pdf
17.11MB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역주(월운).hwp
4.60MB

觀自在菩薩1), 行深般若波羅蜜多2), 照見五蘊a)皆空3), 度(渡)一切苦厄4).

관자재보살께서 심오한 반야바라밀다(prajñāpāramitā, 초월적 지혜의 완성)를 이미 행하셨을 때, 5온(다섯 가지 기관)이 다 공함(자성이 없음)을 비추어 보시고 일체의 고통을 넘어가셨다.

舍利子5)! 色不異空6), 空不異色; 色卽是7)空, 空是色. 受·想·行·識a), 亦復8)如是.

“사리불(Śāriputra)이여, 색(물질)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색입니다. 느낌, 표상, 지어감, 의식도 역시 이러합니다(공입니다).

舍利子! 是9)諸法b)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是故空中無色, 無受·想·行·識a); 無眼·耳·鼻·舌·身·意10);
無色·聲·香·味·觸·法b); 無眼界, 乃至無意識界11);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無老死, 亦無老死盡12);
無苦·集·滅·道13); 無智亦無得.14)

사리불이여, 이 모든 대상은 공의 현상이니 생겨나지 않고 소멸하지 않으며 더럽지 않고 깨끗하지 않으며 늘어나지 않고 줄어들지 않으니
이 까닭으로 공(의 관점)에서는 색(물질)이 없고 느낌, 표상, 지어감, 의식이 없으며 눈, 귀, 코, 혀, 몸, 마음이 없으며
색채, 소리, 냄새, 맛, 감촉, 대상이 없으며 안계(눈의 세계)가 없고 의식계(의식의 세계)까지 없으며
무명(알지 못함)이 없고 무명이 끝나는 것도 없으며 늙어 죽음이 없고 또 늙어 죽음이 끝나는 것까지도 없으며
괴로움과 그 소집(의 원인)과 그 소멸과 소멸에 이르는 길이 없으며 지혜가 없으며 그 획득도 없습니다.

以無所得故15), 菩提薩埵16), 依般若波羅蜜多故, 心無罣礙17), 無罣礙故, 無有恐怖, 遠離顚倒18)夢想, 究竟19)涅槃.
三世諸佛, 依般若波羅蜜多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20).

획득(인식)할 게 없음으로 인해서 보리살타(bodhisattva, 깨달은 중생)들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한 까닭에 마음에 걸림이 없으니 걸림이 없는 까닭에 두려움이 없어졌고, 뒤바뀐 몽상을 멀리 떠난 것이고, 궁극적인 열반(nirvāṇa, 타오르는 번뇌를 끈 것)입니다.
삼세(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buddha, 깨달은 자)들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한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anuttarā-samyaksaṃbodhi, 더할 나위 없고 올바른 깨달음)를 깨달으신 분들입니다.

故知21)般若波羅蜜多,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是無等等22)呪, 能除23)一切苦, 眞實不虛.
故說般若波羅蜜多24), 卽說呪曰:

그러므로 알아야 합니다. 반야바라밀다는 위대하고 신비한 주문이며 위대하고 밝은 주문이며 더할 나위 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며 능히 일체의 괴로움을 없애며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에 의한 주문을 말하였으니, 곧 그 주문을 말하자면 이렇습니다.

‘揭諦, 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薩婆訶.’”

गते गते पारगते पारसंगते बोधि स्वाहा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가신 분이여, 가신 분이여, 저 너머로 가신 분이여, 저 너머로 완전히 가신 분이여, 깨달음이여, 축복 있으라)”25)


1) 觀自在菩薩: Avalokiteśvara의 번역. 쿠마라지바(Kumārajīva, 鳩摩羅什)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로 번역했으며 이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2) 行深般若波羅蜜多時: 般若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prajñāpāramitā의 음역(音譯)으로 '초월적 지혜의 완성' 정도의 의미이다. prajñā는 무분별지(無分別智)로도 번역된다. 산스크리트어본 반야심경에서는 prajñāpāramitāyāṃ로 적혀 있어 처격(locative)을 취하고 있으므로 '반야바라밀다의 경지에서'라고 번역된다.

산스크리트어본 ≪반야심경≫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에서는 "觀自在菩薩이 行이 기픈 般若波羅蜜多ᅟᅵᆫ 時節에"로 언해하고 있는데 처격을 반영하고자 한 걸로 보인다. https://www.heritage.go.kr/heri/mem/selectTextDetail.do?s_code1=99&s_code2=&s_code3=&query=&query2=&s_mnm=&s_kdcd=12&s_asno=12110000&s_from_asno=&s_to_asno=&s_cnum=0001&s_ctcd=00&s_dcd=&s_pcd=&s_page=55&s_hgsv=0&searchGubun=s_mnm1&searchCond=%EB%B0%98%EC%95%BC&searchPage=55&pageIndex=3&searchPageSize=10&searchDisp=0&listGubun=list&pageNo=1_2_1_0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 ≫

그러나 지혜륜(智慧輪) 역본에서는 "行甚深般若波羅蜜多行時"라고 번역했으므로 현장 역본에서도 行은 주어가 아닌 서술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시호(施護) 역본에서는 "已能修行甚深般若波羅蜜多"로 번역하여 처격을 반영하고 있다. 시호 역본을 참고해 "이미 반야바라밀다를 행하셨을 때"라고 번역한다.

a) 5온(): skandha(집합)의 번역.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 색(色)은 물질, 수(受)는 느낌, 상(想)은 표상, 행(行)은 의지적 작용, 식(識)은 의식을 의미한다. 곧 불교에 있어서 세계란 찰나찰나에 걸쳐 드러나는 물질, 지각, 표상, 의지적 작용, 의식의 총체이다. 권오민, ≪인도철학과 불교≫, 187쪽 참고.

3) 空: '공하다, 공한(śūnyá).'

4) 度渡一切苦厄: 산스크리트어본에는 없는 구절이다. 度는 법도, 제도하다, 건너다 등의 의미가 있으며 厄(액)은 재앙을 뜻한다. 度는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에서 "一切 苦厄ᄋᆞᆯ 건나시니라"로 언해한 것을 참고해 渡로 읽고 '건너다'로 풀이하는 게 괜찮을 듯하다. 조계종 표준 한글반야심경도 본래는 '건지느니라'로 번역했으나 현재는 '건너느니라'로 수정되었다.
http://www.buddhism.or.kr/board/view.php?skey=&sval=&scale=10&tn=pogyo_02_0103&board_contents_idx=162771

 

대한불교조계종

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입니다.

www.buddhism.or.kr

5) 舍利子: 샤리푸트라(Śāriputra). 쿠마라지마는 음역하여 舍利弗이라고 했고 현장은 putra 부분만 子로 번역했다.

6) 空: '공성(śūnyatā).'

7) 是: 영어의 is와 같은 계사. '~이다.' 是諸法과 是故를 제외한 부분의 모든 是가 계사이다.

8) 復: (부)로 읽고 '다시, 역시'로 풀이한다.

9) 是: 대명사 '이, 이것.' 是故의 是도 대명사이다.

b) 6경(境):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 곧 6개의 감각 대상을 말한다. 색(色)은 색채나 형태, 성(聲)은 소리, 향(香)은 냄새, 미(味)는 맛, 촉(觸)은 감촉, 법(法)은 마음의 인식 대상이다.

10) 6근(根):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 곧 6개의 감각 기관을 말한다. 안(眼)은 눈, 이(耳)는 귀, 비(鼻)는 코. 설(舌)은 혀, 신(身)은 몸, 의(意)는 마음을 의미한다. 6경과 6근을 합하여 12처(處)라고 부른다.

11) 18계(界): 6경의 안계(眼界), 이계(耳界), 비계(鼻界), 설계(舌界), 신계(身界), 의계(意界)와 6근의 색계(色界), 성계(聲界), 향계(香界), 미계(味界), 촉계(觸界), 법계(法界)를 더한 12처에 추가로 6식의 안식계(眼識界), 이식계(耳識界), 비식계(鼻識界), 설식계(舌識界), 신식계(身識界), 의식계(意識界)까지 더한 것이다. 6식은 6경과 6근을 근거로 하여 생겨난다. 원래 의식은 단일하지만 그것이 나타나게 되는 근거에 따라 여섯 종류로 나누었다. 권오민, 같은 책, 185쪽 참고.

안식계(眼識界)는 시각의 세계, 이식계(耳識界)는 청각의 세계, 비식계(鼻識界)는 후각의 세계, 설식계(舌識界)는 미각의 세계, 신식계(身識界)는 촉각의 세계, 의식계(意識界)는 의식의 세계를 의미한다.

12) 12연기: 무명(無明), 행(行), 식(識), 명색(名色), 6처(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 곧 괴로움을 일으키는 12개 조건으로 이루어진 인과의 연쇄이다. 무명(無明)은 알지 못함, 어리석음, 행(行)은 무명에 따라 과거 생에서 지은 선악의 온갖 업, 식(識)은 모태 중에 잉태되는 찰나의 5온, 명색(名色)은 잉태 이후 6처가 생기기 전까지의 5온, 6처(處)이란 여섯 감관이 생겨나면서부터 감관, 대상, 의식이 접촉하기 전까지의 5온의 상태, 촉(觸)은 감관, 대상, 의식이 접촉하고 있을지라도 아직 괴로움이나 즐거움의 지각이 분명하지 않은 상태의 5온, 수(受)는 괴로움 등의 지각은 생겨났으나 아직 애탐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의 5온, 애(愛)는 물건과 이성에 대한 애탐과 갈망이 생겨났지만 아직 널리 추구하지 않은 상태의 5론, 취(取)는 갈망이 증가하여 좋아하는 온갖 물건과 이성에 대해 집착하는 상태의 5온, 유(有)는 앞의 집착으로 말미암아 짓게 된 업, 생(生)은 전생의 업에 의해 초래되는 미래 생의 첫 찰나의 5온, 노사(老死)는 태어남과 더불어 이전 생에서 지은 업에 의해 수동적으로 초래되는 결과를 의미한다. 권오민, 같은 책, 191-196쪽.
산스크리트어본에는 無無明에 해당하는 nāvidyā 앞에 na vidyā라는 내용이 있으며 "명(明, 앎)이 없다"라고 풀이할 수 있다.

13) 4성제: 고(苦), 집(集), 멸(滅), 도(道). 즉 4개의 거룩한 진리를 말한다. 고(苦)는 고통, 집(集)은 고통이 모이고 생겨남, 멸(滅)은 고통의 소멸, 도(道)는 그 소멸에 이르는 길을 의미한다.

14) 無智亦無得: 智는 jñāna(지식, 지혜)에 해당한다. 산스크리트어본에는 無得에 해당하는 na prāptiḥ 뒤에 nāprāptiḥ라는 내용이 있으며 "획득하지 않음도 없다"라고 풀이할 수 있다.

15) 以無所得故: 산스크리트어본에는 aprāptitvena로 도구격(instrumental)을 취하고 있다.

16) 菩提薩埵: 산스크리트어본에는 bodhisattvānāṃ으로 속격(genitive)을 취하고 있다.

17) 罣 (가) '걸리다.' 礙 (애) '거리끼다.'

18) 顚 (전) '엎어지다.' 倒 (도) '넘어지다.'

19) 究 (구) '궁구하다, 연구하다.' 竟 (경) '마지막, 끝.'

20)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anuttarā-samyaksaṃbodhi를 깨달은 자.

21) 故知: 산스크리트어본에서 知에 대응하는 단어인 jñātavyaḥ는 미래 수동 분사이다. 한역본에서는 능동으로 번역했다.

22) 無等等: asamasama의 번역. 等은 '대등하다, 동등하다'라는 의미이다. 조계종 표준 한글반야심경을 따라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으로 풀이한다.

23) 除: '제거하다, 없애다.'

24) 故說般若波羅蜜多呪: 산스크리트어본에서는 prajñāpāramitāyām으로 처격을 취하고 있으며 '반야바라밀다의 경지에서'라고 번역된다. 說에 대응하는 단어인 ukto는 과거 수동 분사이다. 한역본에서는 능동으로 번역했다.

25) 진언의 번역은 이태승, ≪대·소본 『반야심경』의 비교를 통한반야바라밀다주 고찰≫을 참고하였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1696

 

대·소본 『반야심경』의 비교를 통한반야바라밀다주 고찰

『반야심경』은 동아시아에서 불교의 의례 의식이나 불교 사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중요한 경전이다. 그렇지만 그렇게 널리 알려져 있는데 비해 실제 그 내용을 이해하는

www.kci.go.kr


https://abc.dongguk.edu/ebti/c2/sub2_pop.jsp?nbooknum=456&startpage=0&endpage=3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

abc.dongguk.edu

http://www.buddhism.or.kr/board/view.php?skey=&sval=&scale=10&tn=pogyo_02_0103&board_contents_idx=193157

 

대한불교조계종

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입니다.

www.buddhism.or.kr

https://zh.wikisource.org/wiki/%E8%88%AC%E8%8B%A5%E6%B3%A2%E7%BE%85%E8%9C%9C%E5%A4%9A%E5%BF%83%E7%B6%93

 

般若波羅蜜多心經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般若波羅蜜多心經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跳到导航 跳到搜索

zh.wikisource.org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024

 

“현장법사 번역한 반야심경 오류 심각하다” - 법보신문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불교경전으로 간주돼온 반야심경이 현장법사에 의해 잘못 번역됐으며 이로 인해 반야심경을 이해하는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www.beopbo.c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7467

 

반야심경의 眞言(mantra)에 대한 고찰_인도 찬술 주석서들을 중심으로

반야심경은 대승불교, 특히 반야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는 경전이다. 그리고 반야사상은 반야심경의 주제인 반야바라밀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구현된다. 이러한 반야바라밀의 이해에 있어서 하

www.kci.go.kr


https://youtu.be/aEEqKVj2htc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