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이미지를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안대간은 2015년 안후이대학이 입수한 초나라 죽간이다. 안후이대학전국죽서(安徽大學藏戰國竹簡)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어 출판, 흔히 줄여서 안대간 혹은 안휘간이라고 부른다. 시경과 초나라 역사 관련 문헌이 주요한 내용이다. 

Copyright ⓒ 2023 by Worun (worungong@gmail.com)

【번역】

① 중니께서 말씀하셨다. "얘들아, 너희가 나갈 때는

② 열 개의 손이 너희를 가리키며 열 개의 눈이 너희를 보니 너희는 어찌 감히 불선한 짓을 하겠느냐?

③ 대개 군자는 그 홀로 있을 때 (생각을) 삼간다."

 

【소결】

≪예기·대학≫에는 "曾子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라는 문장이 보이며 또 "故君子必愼其獨也"라는 문장이 보인다. ≪예기≫에는 증자의 말로 되어 있지만 죽간에는 중니, 즉 공자의 말로 되어 있다.

Copyright ⓒ 2023 by Worun (worungong@gmail.com)

【번역】

① 중니께서 말씀하셨다. "안평중은 사람들과 사귀기를 잘하는구나!

② 오랫동안 친하게 지냈더라도 오래도록 공경하였다."

 

【소결】

≪논어≫에는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라는 문장이 보인다. 흔히 이 문장은 "안평중은 사람들과 사귀기를 잘하였으니 오랫동안 지냈더라도 (안평중이) 그들(사람들)을 공경했다."로 해석한다. 그런데 魏著作郞韓顯宗墓誌에는 "善與人交, 人亦久而敬焉"이라고 되어 있으며 만약 이를 따른다면 "안평중은 사람들과 사귀기를 잘하였으니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도) 오랫동안 그(안평중)를 공경했다."라고 이해해야 한다. 죽간의 번역은 통상적인 해석을 따랐으나 만약 후자의 설을 따른다면 "안평중은 사람들과 사귀기를 잘하는구나! 오랫동안 친하게 지냈더라도 (사람들이) 오래도록 (안평중을) 공경하였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Copyright ⓒ 2023 by Worun (worungong@gmail.com)

【번역】

① 중니께서 말씀하셨다.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국을

②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뎌내지 못하는데 그는 그 즐거움을 헤아리지 못할 정도니

③ 나는 안회만 못하다."

 

【소결】

≪논어≫에는 "子曰: '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는 문장이 보인다. 또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라는 문장도 보이는데 "吾與女弗如也"를 하안의 ≪논어집해≫에서는 "나와 너 모두 그(안회)만 못하다"라고 해석하였으며 주희의 ≪논어집주≫에서는 "나는 네가 그(안회)만 못함을 인정한다"라고 해석하였는데, 죽간을 참고한다면 ≪집해≫의 해석에 힘이 실린다.

 


참고 자료

- 安徽大學漢字發展與應用硏究中心 編, 2022, 《安徽大學藏戰國竹簡(二)》, 中西書局


https://youtu.be/9B-8PfysMfA

모성재에서 월운 씀

본 게시글의 이미지를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왕자주이(王家咀) 묘지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징저우(荆州)시 징저우(荆州)구 지난(紀南)진 홍성(洪聖)촌에 위치한다. 징저우박물관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발굴을 진행하였으며 2021년 6월 M798호 전국시대 초나라 무덤에서 청동기, 칠목기, 죽간이 출토되었다. 

출토죽간은 약 3,200매이다. 내용은 3종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공자왈(孔子曰)≫로 제목을 정할 예정이다. 주제는 ≪논어≫와 매우 유사하다. 전문은 여러 편으로 나뉘는데, 일부 간은 뒷면에 “居川上之下”, “智(知)之樂之”, “可智(知)也之下” 등과 같이 편제가 있으나 모두 통행본 ≪논어≫에 보이지 않는다. 편 중에 장을 나누었는데, 孔子曰로 시작하는 장이 많다. 일부 내용이 비교적 긴 장은 다시 약간의 절로 나누었는데 분장과 분절은 모두 "■"표를 사용하였다. 제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통행본 ≪논어≫와 구별하고 학계에서 인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정리팀은 ≪공자왈(孔子曰)≫로 제목을 정할 예정이다.

둘째는 ≪시경≫으로 내용은 통행본의 ≪주남≫, ≪소남≫, ≪패풍≫, ≪용풍≫, ≪위풍≫, ≪왕풍≫, ≪정풍≫, ≪제풍≫, ≪위풍≫, ≪당풍≫, ≪진풍(秦風)≫, ≪진풍(陳風)≫, ≪회풍≫, ≪조풍≫, ≪빈풍≫의 일부 시편과 대독(對讀)할 수 있다.

셋째는 숫자, 천간 및 기타 소량의 필획이 간단한 문자의 서로 다른 배열과 조합으로 그 성질은 더 진전된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  

왕자주이 초간

 

본문에서는 지금까지 공개된 ≪공자왈(孔子曰)≫의 일부에 대해 초보적인 한국어 역주를 달고 전래문헌 ≪논어≫≪맹자≫와 대독(對讀)을 진행한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주석】

※ ≪논어집주≫<선진>16장, ≪맹자집주≫<이루上>14장과 대독한다.

[1] 자로(子路). 공자의 제자. 성은 仲, 이름은 由, 字가 자로이다.

[2] 자로의 이름.

[3] 문맥 상 非가 자연스럽다. 후속 연구를 기다린다.

 

【번역】

① 자로가 계씨의 가신이 되었다.

② 공자가 말하였다. "중유가 계씨의 가신이 되었는데, 그 마음씨를 고칠 수 없었으며 세금이 다른 날의 배가 되었다.

③ 중유는 나의 무리가 아니다. 얘들아, 북을 울려 그를 꾸짖는 것이 옳다."

 

【소결】

≪논어≫에는 "季氏富於周公, 而求也為之聚斂而附益之. 子曰: '非吾徒也. 小子鳴鼓而攻之, 可也'"라는 문장이 보이며, ≪맹자≫에는 "孟子曰: '求也為季氏宰, 無能改於其德, 而賦粟倍他日. 孔子曰: 「求非我徒也, 小子鳴鼓而攻之可也」 由此觀之, 君不行仁政而富之, 皆棄於孔子者也"라는 문장이 보인다. 두 문장의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맹자≫의 내용이 죽간의 내용과 거의 일치한다. 다만 ≪맹자≫에는 "無能改於其德, 而賦粟倍他日"가 사건 묘사(narrative)로 나타나는데 반해 죽간에서는 공자의 말(dialogue)로 나타난다. 

또 주목할 만한 점은 통행본에는 계씨의 가신이 되어 세금을 더 많이 거둔 주체가 求, 즉 염유인데 죽간본에는 由, 즉 자로이다. 이에 대해서는 현재 적어도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첫째는 통행본이 수정된 것이고 죽간본이 원본에 가깝다는 것이며 둘째는 죽간본이 수정된 것이고 통행본이 오히려 원본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염유는 염자(冉子)라고 일컬어졌을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던 인물로 보인다. 그런데 그는 계씨의 재산을 늘려주는 잘못을 범하였기 때문에 공자로부터 꾸지람을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치부를 감추기 위해 기록을 수정했을 동기가 있다. 섣부른 추측이지만 만약 그렇다면 이 죽간은 염유의 학파에서 전수되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현재로서는 죽간 자체가 정식으로 발표되지 않았고, 출토문헌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있는 정보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단정해서는 안 될 것이다. 후속 연구를 기다린다.

 

왕자주이 초간


참고 자료

- 江漢考古 2022-05-10 (http://weixin.qq.com/r/szidhTzEMmFNrXjm922h)

- https://freewechat.com/a/MzI4NjY0NzE0MQ==/2247486788/1


https://youtu.be/Mojma7W2H10

모성재에서 월운 씀

合9742

合9742正 탁본
合9742正 석문

①甲午卜(賓)貞: 西土受年.

갑오일에 균열을 내어 빈(賓)이 점친다. 서쪽 땅에 풍년이 들 것이다.

②貞: 西土不其受年.

점친다. 서쪽 땅에 아마도 풍년이 들지 않을 것이다.


참고자료

김혁,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김현철, 김시연, 김태은, 중국어학입문

최영애, ≪한자학강의

張玉金 , 최남규 외 편, ≪갑골문의 어법적 이해

郭末若主編, 胡厚宣總編輯, ≪甲骨文合集≫ 

劉釗, ≪古文字構形學≫

———, ≪新甲骨文編≫

劉釗, 馮克堅, ≪甲骨文常用字字典≫

裘錫圭, ≪文字學槪要≫

———, ≪裘錫圭學述文集≫


 

合12487

合12487正 탁본

 

천리로(千里路, 배딱지 한 가운데로 지나는 세로선)를 기준으로 오른쪽을 ①, 그것과 대칭을 이루는 왼쪽을 ②, ①의 바로 오른쪽을 ③, 천리로 바로 오른쪽을 ④라고 하자. 

合12487正 석문


①癸子(巳)卜爭貞今一月雨.

계사일에 균열을 내어 쟁(爭)이 점친다. 지금 한 달에 비가 내린다.

②癸子(巳)卜爭貞今一月不其雨.

계사일에 균열을 내어 쟁(爭)이 점친다. 지금 한 달에 아마도 비가 내리지 않는다.

③王占曰: "丙雨."

왕이 점괘를 보고 말하였다. “병일에 비가 내린다.”

④旬壬寅雨甲辰亦雨.

열흘 뒤 임인일에 비가 내렸고 갑진일에도 비가 내렸다.

合12487反 탁본
合12487反 석문


①己酉雨辛亥亦雨

기유일에 비가 내렸고 신해일에도 비가 내렸다.

②雀入(納)二百五十

작(雀)이 250개를 공납하였다.


참고자료

김혁,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최영애, ≪한자학강의

張玉金 , 최남규 외 편, ≪갑골문의 어법적 이해

郭末若主編, 胡厚宣總編輯, ≪甲骨文合集≫ 

劉釗, ≪古文字構形學≫

———, ≪新甲骨文編≫

劉釗, 馮克堅, ≪甲骨文常用字字典≫

裘錫圭, ≪文字學槪要≫

———, ≪裘錫圭學述文集≫


https://youtu.be/dJQAIMM_SoM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