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猶는 동물 전반을 의미하는 犬과 발음을 나타내는 酋(추)로 이루어져 있다. 고문자에는 좌우 구별이 없으므로 猶와 猷는 원래 같은 글자였다. 猶는 본래 의미인 {원숭이} 이외에도 {꾀(謀猷)}, {같다(猶如)}, {오히려(猶可)} 등의 단어를 나타낼 수 있다. 한 글자에 여러 의미가 들어가면 혼동이 생기므로 {꾀}라는 단어는 猷라는 글자가 전담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때 猶에 있는 {오히려}라는 의미는 무슨 뜻일까?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광주천자문에는 猶에 '오힐-'이라는 뜻풀이가 달려 있는데, 同에서도 같은 뜻풀이가 발견된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중세 한국어의 '오힐-'은 猶뿐만 아니라 同의 뜻에도 대응된다. '오힐-'는 현대 한국어의 '같-다'라는 의미이며 '오히려'는 현대어의 '여전(如前)히'에 해당한다. 현대어의 '오히려'는 '도리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猶가 담당하는 {오히려}라는 단어는 실제로 "여전히"라는 의미이다.


참고자료

- [漢] 許愼 撰, [宋] 徐鉉 等 校定, ≪說文解字≫, 中華書局

- 김혁,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신아사

- 裘錫圭 저, 이홍진 역,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 염정상,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 이유기. 서정주의 시어에 대한 국어학적 해명. 한국문학연구. 2016; 52 431-462

- 마원걸. 부사 ‘猶’의 새김에 대하여-‘오히려’의 [동질성]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2020; 44 213-257


https://youtu.be/ntl4jJLqfHw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고대 중국의 상나라 사람들은 전쟁, 제사, 농사, 정치 등 여러 가지 일을 점괘로 결정하였다. 거북의 배딱지에 길쭉한 모양의 홈, 그리고 동그란 모양의 홈을 판 뒤, 불을 붙여서 그 반대편에 균열을 내는 방식으로 점을 쳤다. 이때 생기는 균열이 바로 卜의 기원이다. 卜에 口를 추가해서 만든 占(점), 또 발음 부분인 圭를 추가해서 만든 卦(괘) 등의 글자도 있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현재 대한민국의 선거에서 투표용지에 찍는 도장의 문양으로 사용되고 있다.


https://youtu.be/AU6lmOZ8J-w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永은 본래 기다란 강의 지류를 상형한 글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물갈래'를 의미하는 /파/와 '길다'라는 의미의 /영/을 동시에 기록하게 되었다. 이것은 일자다용(一字多用) 현상으로 /파/와 /영/ 두 단어는 어원적인 관련이 없다. 고문자에는 좌우의 구별이 없었기 때문에 永과 𠂢 두 글자 모두 /파/, /영/을 기록할 수 있었다. 그러다 후대에 왼쪽을 향한 것은 /영/으로, 오른쪽을 향한 것은 /파/로 분화되었다. 𠂢(파)는 후대에 氵(水)를 추가해 派를 만들어 의미를 더 명확히 하였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https://youtu.be/lv572vDdjQM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女의 갑골문은 여자가 두 손을 모으고, 무릎을 구부리고 앉아 있는 모습을 상형하였다. 이것이 금문으로 오면서 다리가 펴지고, 점점 글자가 왼쪽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후 오른쪽 위의 획이 생략되면서 현대 해서체의 女가 되었다. 女는 육서 중의 상형에 해당한다.

반대로 男은 밭을 의미하는 田과 힘을 의미하는 力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육서 중의 회의이다. 力은 본래 농기구를 상형한 글자이며 耒(뢰)와 기원이 같다. 


https://youtu.be/r18G0HT4WiY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