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는 한 글자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번엔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본의(本義)란 최초에 나타내었던 의미를 뜻한다.
日 해(천체)
月 달(천체)
正 정벌하다
自 코
隹 새
又 오른손
본의에서 파생을 통해 의미가 추가되는데 이것을 인신의(引伸義)라고 한다.1) 파생으로 통해 만들어진 의미이기 때문에 인신의는 본의와 관련이 깊다. 즉, 한 글자가 표시하던 단어가 다의어가 되면서 의미가 자연히 늘어난 경우이다.
日 해(천체) → 날(시간)
月 달(천체) → 달(시간)
正 정벌하다 → 바르게 하다
반면 본래 글자와 전혀 상관없으나 발음의 유사성으로 인해 글자를 빌려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가차의(假借義)라고 한다. 다시 말해 가차는 동음어(혹은 유사한 음의 단어)를 음차함으로써 의미가 늘어난 것이다.2)
自 코 → 스스로
隹 새 → 어조사(=惟)
又 오른손 → 또
다시 말해 한 글자가 여러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는 1. 해당 글자가 나타내는 단어의 뜻이 늘어난 경우(인신), 2. 해당 글자가 나타내는 단어와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이의어(異義語)가 그 글자를 빌린 경우(가차)가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른바 일자다용(一字多用)이라는 현상이다. 女는 본래 여자라는 뜻을 가진, 발음은 /*nraʔ/ 3)인 단어를 나타낸다. 그런데 어머니라는 뜻을 가진, 발음인 /*məʔ/ 4)인 단어에도 사용되었다. 이것이 한 글자를 여럿으로 쓰는 일자다용이다. 이것은 인신도 가차도 아닌 현상이다.
즉 인신, 가차, 일자다용으로 인해 하나의 한자가 여러 뜻, 혹은 여러 단어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1) 인신의를 파생의로 고쳐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인의 의견이 있다.
2) 가차는 음차와 같은 원리이나 현재는 보통 외래어에 대해 음차 내지는 음역이라는 용어를 쓰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3) 女의 상고 중국어 발음. 중국의 언어학자 정장상팡(鄭張尚芳, 1933 - 2018)의 저서 ≪상고음계(上古音系)≫의 재구음을 따랐다.
4) 母의 상고 중국어 발음. 같은 재구음을 따랐다.
모성재에서 월운 씀
'한자학(문자학) > 한자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의 구성 원리, 육서(六書) (0) | 2021.07.08 |
---|---|
한자란 무엇인가 (0) | 2021.07.07 |
문자학(文字學)이란 명칭에 대해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