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내용을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一部》
1 一 일 yī / 하나
惟初太始, 道立於一, 造分天地, 化成萬物. 凡一之屬皆从一. [於悉切] 그림1, 古文一.
‘처음의 태극’이다. 도는 一에서 확립되어 천지를 만들어 나누고 모든 것을 변화시켜 이룬다. 무릇 一의 무리는 다 一을 따른다. [於와 悉의 반절이다] 그림1은 一의 고문이다.

그림1


2 元 원 yuán / 으뜸
始也. 从一, 从兀. [徐鍇曰: “元者, 善之長也, 故从一.” 愚袁切.]
‘처음’이다. 一을 따르고 兀(올)을 따른다. [서개가 말하였다. “元은 선의 으뜸이므로 一을 따른다.” 愚와 袁의 반절이다.]

3 天 천 tiān / 하늘
顚也. 至高無上. 从一, 大. [他前切]
‘이마’이다. 지극히 높아 위가 없다. 一과 大를 따른다. [他와 前의 반절이다]

4 丕 비 pī / 크다
大也. 从一, 不聲. [敷悲切]
‘큰 것’이다. 一을 따르며 不(비)가 발음이다. [敷와 悲의 반절이다]

5 吏 리 lì / 관리
治人者也. 从一, 从史. 史亦聲. [徐鍇曰: “吏之治人, 心主於一, 故从一.” 力置切.]
‘사람을 다스리는 자’이다. 一을 따르고 史를 따른다. 史는 발음이기도 하다. [서개가 말하였다. “관리가 사람을 다스리는 것은 마음이 한곳으로 모아야 하므로 一을 따른다.” 力과 置의 반절이다.]

文五, 重一.
이 부에 있는 글자는 5자이고 중문은 1자이다.

《丄部》
6 丄 상 shàng / 위
高也. 此古文上, 指事也. 凡丄之屬皆从丄. [時掌切] 그림2, 篆文丄.
‘높은 것’이다. 이것은 上의 고문이며 지사이다. 무릇 丄의 무리는 모두 丄을 따른다. [時와 掌의 반절이다] 그림2는 丄의 전문이다.

그림2


7 帝 제 dì / 임금
諦也. 王天下之號也. 从丄, 朿聲. [都計切] 그림3, 古文帝. 古文諸丄字皆从一. 篆文皆从二(상), 二(상)古文上字. 辛·示·辰·龍·童·音·章, 皆从古文丄.
‘살피는 것’이다. 천하에 왕노릇하는 칭호이다. 丄을 따르며 朿가 발음이다. [都와 計의 반절이다] 그림3은 帝의 고문이다. 고문의 여러 丄자는 모두 一을 따른다. 전문은 모두 二(상)을 따르는데 二(상)은 上자의 고문이다. 辛, 示, 辰, 龍, 童, 音, 章은 모두 丄의 고문을 따른다.

그림3


8 旁 방 páng / 곁
溥也. 从二(상), 闕, 方聲. [步光切] 그림4, 古文㫄. 그림5亦古文㫄. 그림6, 籒文.
‘펴는 것’이다. 二(상)을 따르고 나머지는 불확실하며 方이 발음이다. [步와 光의 반절이다] 그림4는 㫄의 고문이다. 그림5도 㫄의 고문이다. 그림6은 주문이다. 

그림4
그림5
그림6


9 丅 하 xià / 아래
底也. 指事. [胡雅切] 그림7, 篆文丅.
‘낮다’이다. 지사이다. [胡와 雅의 반절이다] 그림7은 丅의 전문이다. 

그림7


文四, 重七.
이 부에 있는 글자는 4자이고 중문은 7자이다.
 
《示部》
10 示 시 shì / 보이다
天垂象, 見吉凶, 所以示人也. 从二(상). [二(상), 古文上字] 三垂, 日月星也. 觀乎天文, 以察時變. 示, 神事也. 凡示之屬皆从示. [神至切] 그림8, 古文示.
‘하늘이 모습을 드리워서 길흉을 나타내고 사람에게 보이는 바’이다. 二(상)을 따른다. [二(상)은 上자의 고문이다] 세 가지 드리움은 해, 달, 별이다. 천문을 보아서 시기의 변화를 살핀다. 示는 신의 일이다. 무릇 示의 무리는 다 示를 따른다. [神과 至의 반절이다] 그림8은 示의 고문이다.

그림8


11 祜 호 hù / 복
上諱. [臣鉉等曰: "此漢安帝名也. 福也. 當从示, 古聲. 候古切."]
황상의 휘이다. [신 현 등은 말한다. "이것은 한나라 안제의 이름이다. '복'이다. 마땅히 示를 따르고 古가 발음인 것이다. 候와 古의 반절이다."]

12 禮 례 lǐ / 예도
履也. 所以事神致福也. 从示, 从豊, 豊亦聲. [靈啓切] 그림9, 古文禮.
‘밟는 것’이다. 신을 섬겨 복을 이르게 하는 바이다. 示를 따르고 豊를 따르고 豊는 발음이기도 하다. [靈과 啓의 반절이다] 그림9는 禮의 고문이다.

그림9


13 禧 희 xī / 복
禮吉也. 从示, 喜聲. [許其切]
‘예를 행하여 길하게 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喜가 발음이다. [許와 其의 반절이다]

14 禛 진 zhēn / 복 받다
以眞受福也. 从示, 眞聲. [側鄰切]
‘진정성으로 인해 복을 받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眞이 발음이다. [側과 鄰의 반절이다]

15 祿 록 lù / 복
福也. 从示, 彔聲. [盧谷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彔이 발음이다. [盧와 谷의 반절이다]
 
16 禠 사 sī / 복
福也. 从示, 虒聲. [息移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虒가 발음이다. [息과 移의 반절이다]

17 禎 정 zhēn / 상서롭다 
祥也. 从示, 貞聲. [陟盈切]
‘상서로움’이다. 示를 따르며 貞이 발음이다. [陟과 盈의 반절이다]

18 祥 상 xiáng / 상서롭다
福也. 从示, 羊聲. 一云善. [似羊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羊이 발음이다. 일설에는 '훌륭함'이라고도 한다. [似와 羊의 반절이다]

19 祉 지 zhǐ / 복
福也. 从示, 止聲. [敕里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止가 발음이다. [敕과 里의 반절이다]

20 福 복 fú / 복
祐也. 从示, 畐聲. [方六切]
‘도움’이다. 示를 따르며 畐이 발음이다. [方과 六의 반절이다]

21 祐 우 yòu / 복
助也. 从示, 右聲. [于救切]
‘도움’이다. 示를 따르며 右가 발음이다. [于와 救의 반절이다.]
 
22 祺 기 qí / 길하다 
吉也. 从示, 其聲. [渠之切] 그림10, 籒文, 从基.
‘길함’이다. 示를 따르며 其가 발음이다. [渠와 之의 반절이다] 그림10은 주문이니 基를 따른다.

그림10


23 祗 지 zhī / 공경
敬也. 从示, 氐聲. [旨移切]
‘공경’이다. 示를 따르며 氐가 발음이다. [旨와 移의 반절이다]

24 禔 제 zhī / 복
安福也. 从示, 是聲. 《易》曰: “禔旣平.” [市支切]
‘안락한 복’이다. 示를 따르며 是가 발음이다. 《주역》에 “안락하고 이미 평안하다.”라고 하였다. [市와 支의 반절이다]
*지금 《주역》에서는 “祗”로 쓰는데 虞翻은 “평안함이다(平也)”라고 하였고 “祗旣平”에 대해 李善道 《周易集解簒疏》에서 “이미 안락하고도 평안한 것이다(旣安且平)”라고 하였다.

25 神 신 shén / 귀신
天神, 引出萬物者也. 从示·申. [食鄰切]
‘하늘의 신’이니 모든 것을 이끌어 내는 자이다. 示와 申을 따른다. [食과 鄰의 반절이다]

26 祇 기 qí / 땅귀신
地祇, 提出萬物者也. 从示, 氏聲. [巨支切]
‘땅의 신’이니 모든 것을 이끌어 내는 자이다. 示를 따르며 氏가 발음이다. [巨와 支의 반절이다]
 
27 祕 비 bì [mì] / 숨기다
神也. 从示, 必聲. [兵媚切]
‘신’이다. 示를 따르며 必이 발음이다. [兵과 媚의 반절이다]
 
28 齋 재 zhāi / 재계하다
戒·潔也. 从示, 齊省聲. [側皆切] 그림11, 籒文齋, 从그림12省. [그림12音禱]
‘재계’와 ‘청결’이다. 示를 따르며 齊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側과 皆의 반절이다] 그림11은 齋의 주문이니 그림12의 생략형을 따른다. [그림12는 음이 禱이다]

그림11
그림12


29 禋 인 yīn / 제사 지내다
潔祀也. 一曰精意以享爲禋. 从示, 垔聲. [於眞切] 그림13, 籒文, 从宀.
‘청결한 제사’이다. 일설에는 '정성스러운 뜻으로 바치는 것'이 禋이라고 한다. 示를 따르며 垔이 발음이다.  [於와 眞의 반절이다] 그림13은 주문이니 宀을 따른다.

그림13


30 祭 제 jì / 제사
祭祀也. 从示·以手持肉. [子例切]
‘제사’이다. 示와 손으로 잡은 고기를 따른다. [子와 例의 반절이다]

31 祀 사 sì / 제사
祭無巳(已)也. 从示, 巳聲. [詳里切] 그림14, 祀或从異.
‘제사가 멈춤이 없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巳가 발음이다. [詳과 里의 반절이다] 그림14는 祀의 혹체이니 異를 따른다.

그림14


32 祡 시 chái / 제사 지내다
燒祡<柴>燓燎以祭天神. 从示, 此聲. 《虞書》曰: “至于岱宗, 祡.” [仕皆切] 그림15, 古文祡, 从隋省.
‘땔감을 태우고 횃불을 피워서 하늘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此가 발음이다. 《서경·우서》에 “대종에 이르러 시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였다. [仕와 皆의 반절이다] 그림15는 祡의 고문이니 隋의 생략형을 따른다.

그림15


33 禷 류 lèi / 제사 이름
以事類祭天神. 从示, 類聲. [力遂切]
‘일의 종류로 하늘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類가 발음이다. [力과 遂의 반절이다]

34 祪 궤 guǐ / 제천 사당
祔·祪, 祖也. 从示, 危聲. [過委切]
祔와 祪는 ‘사당’이다. 示를 따르며 危가 발음이다. [過와 委의 반절이다]

35 祔 부 fù / 합사하다
後死者合食於先祖. 从示, 付聲. [符遇切]
‘뒤에 죽은 자를 선조와 합사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付가 발음이다. [符와 遇의 반절이다]

36 祖 조 zǔ / 조상
始廟也. 从示, 且聲. [則古切]
‘시조의 사당’이다. 示를 따르며 且가 발음이다. [則과 古의 반절이다]

37 𥛱(⿱彭示) 팽 bēng / 제사
門內祭, 先祖所以徬徨. 从示, 彭聲. 《詩》曰: “祝祭于𥛱(⿱彭示).” [補盲切.] 그림16, 𥛱(⿱彭示)或从方.
'문 안의 제사'이니 (문 안은) 선조가 돌아다니던 곳이다. 示를 따르며 彭이 발음이다. 《시경》에 “축관이 사당 문 안에서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補와 盲의 반절이다.] 그림16은 𥛱(⿱彭示)의 혹체이니 方을 따른다.
*지금 《시경》에서는 “祊”으로 쓴다.

그림16


38 祰 고 kǎo / 고유제
告祭也. 从示, 从告聲. [苦浩切]
‘고하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告의 발음을 따른다. [苦와 浩의 반절이다]
 
39 祏 석 shí / 위패
宗廟主也. 周禮有郊·宗·石室. 一曰大夫以石爲主. 从示从石, 石亦聲. [常隻切]
‘종묘의 신주’이다. 주나라 예법에 교(郊), 종(宗), 석실(石室)이 있다. 일설에 대부는 돌로 신주를 만든다고 한다. 示를 따르고 石을 따르며 石은 발음이기도 하다. [常과 隻의 반절이다]
 
40 䃾 비 bǐ / 제사 이름
以豚祠司命. 从示比聲. 漢律曰: “祠䃾司命.” [卑履切]
'돼지로 사명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고 比가 발음이다. 한나라 율법에 “사명 신에게 돼지로 제사 지낸다”라고 하였다. [卑와 履의 반절이다]

41 祠 사 cí / 사당
春祭曰祠. 品物少, 多文詞也. 从示, 司聲. 仲春之月, 祠不用犧牲, 用圭璧及皮幣. [似玆切]
‘봄 제사’를 祠라고 한다. 물건은 적고 문사가 많다. 示를 따르며 司가 발음이다. 중춘의 달(음력 2월)에 사 제사는 희생물을 쓰지 않고 옥과 가죽을 쓴다. [似와 玆의 반절이다]

42 礿 약 yuè / 봄 제사
夏祭也. 从示, 勺聲. [以灼切]
‘여름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勺이 발음이다. [以와 灼의 반절이다]
 
43 禘 체 dì / 제사
諦祭也. 从示, 帝聲. 周禮曰: “五歲一禘.” [特計切]
‘살피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帝가 발음이다. 주나라 예법에 “5년에 한번 체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特과 計의 반절이다]

44 祫 협 xiá / 합사하다
大合祭先祖親疏遠近也. 从示·合. 周禮曰: “三歲一祫.” [侯來切]
‘선조의 친소원근을 크게 합하여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와 合을 따른다. 주나라 예법에 “3년에 한 번 협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侯와 來의 반절이다]

45 祼 관 guàn / 강신제
灌祭也. 从示, 果聲. [古玩切]
‘술을 붓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果가 발음이다. [古와 玩의 반절이다]
 
46 䄟 체 cuì / 사례하다
數祭也. 从示, 毳聲. 讀若舂麥爲䄟之䄟. [臣鉉等曰: "舂麥爲䄟. 今無此語, 且非異文, 所未詳也." 此芮切.]
‘여러 번 지내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毳가 발음이다. 舂麥爲䄟의 䄟와 같이 읽는다. [신 현 등은 말한다. "舂麥爲䄟는 지금은 이런 말이 없는데 이문도 아니니 상세하지 못한 부분이다." 此와 芮의 반절이다.]
 
47 祝 축 zhù / 빌다
祭主贊詞者. 从示从人·口. 一曰从兌省. 《易》曰: “兌, 爲口, 爲巫.”. [之六切]
‘제사에서 고하는 말을 주관하는 자’이다. 示를 따르고 人과 口를 따른다. 일설에는 兌의 생략형을 따른다고 한다. 《주역》에 “兌는 입이고 무당이다”라고 하였다. [之와 六의 반절이다]
 
48 𥛽(⿰示畱) 류 liù / 주술 부리다
祝𥛽(⿰示畱)也. 从示, 畱聲. [力救切]
‘주술’이다. 示를 따르며 畱(류)가 발음이다. [力과 救의 반절이다]

49 祓 불 fú / 푸닥거리하다
除惡祭也. 从示, 犮聲. [敷勿切]
‘나쁜 것을 없애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犮이 발음이다. [敷와 勿의 반절이다]

50 祈 기 qí / 빌다
求福也. 从示, 斤聲. [渠稀切]
‘복을 구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斤이 발음이다. [渠와 稀의 반절이다]

51 禱 도 dǎo / 빌다
告事求福也. 从示, 壽聲. [都浩切] 그림17, 禱或省. 그림18, 籒文禱.
‘일을 고하여 복을 구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壽가 발음이다. [都와 浩의 반절이다] 그림17은 禱의 혹체이니 생략형이다. 그림18은 禱의 주문이다.

그림17
그림18


52 禜 영 yòng / 재앙 막는 제사
設緜蕝爲營, 以禳風雨·雪霜·水旱·癘疫於日月星辰山川也. 从示, 榮<營>省聲. 一曰禜·衞, 使灾不生. 《禮記》曰: “雩, 禜. 祭水旱.” [爲命切]
‘명주실을 설치해 묶어 둘레를 만들어서 해, 달, 별, 산천에 대하여 비바람, 눈서리, 장마와 가뭄, 역병을 막는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營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일설에 禜은 ‘보위하는 것’이니 재해가 생기지 않게끔 하는 것이라 한다. 예기에 “雩는 禜이니 장마와 가뭄 때문에 제사 지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爲와 命의 반절이다]
*지금 《예기》에는 宗으로 쓴다.

53 禳 양 ráng / 제사 이름
磔禳祀, 除癘殃也. 古者燧人禜子所造. 从示, 襄聲. [汝羊切]
‘희생물을 찢어 죽이고 액을 막는 제사’이니 질병과 재앙을 없애는 것이다. 옛날에 수인씨가 자식들의 액을 막으려 만든 것이다. 示를 따르며 襄이 발음이다. [汝와 羊의 반절이다]

54 禬 회 guì / 푸닥거리
會福祭也. 从示, 从會, 會亦聲. 《周禮》曰: “禬之祝號.” [古外切]
‘복을 모으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고 會를 따르며 會는 발음이기도 하다. 《주례》에 “회 제사의 축호이다.”라고 하였다. [古와 外의 반절이다]
*축호: 축문(祝文)에 쓰는 호칭. 《주례·조축》에 "詛祝, 掌盟·詛·類·造·攻·說·禬·禜之祝號."라는 문장이 보인다.

55 禪 선 shàn / 제사
祭天也. 从示, 單聲. [時戰切]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單이 발음이다. [時와 戰의 반절이다]

56 禦 어 yù / 막다
祀也. 从示, 御聲. [魚擧切]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御가 발음이다. [魚와 擧의 반절이다]

57 䄆 활 huó / 제사
祀也. 从示, 𠯑(⿱氏口)聲. [古末切]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𠯑(⿱氏口)(괄)이 발음이다. [古와 末의 반절이다]

58 禖 매 méi / 매제
祭也. 从示, 某聲. [莫桮切]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某가 발음이다. [莫과 桮의 반절이다]

59 𥚩(⿰示胥) 서 xǔ / 젯메쌀
祭具也. 从示, 胥聲. [私呂切]
‘제사 기구’이다. 示를 따르며 胥가 발음이다. [私와 呂의 반절이다]
 
60 祳 신 shèn / 제육
社肉, 盛以蜃, 故謂之祳. 天子所以親遺同姓. 从示, 辰聲. 《春秋傳》曰: “石尚來歸祳.” [時忍切]
‘토지신 제사의 고기’이니 큰 조개로 담으므로 祳이라고 말한다. 천자가 동성 제후들에게 친히 나눠주는 것이다.  《춘추좌씨전》에 “석상이 와서 신(祳)을 주었다.”라고 하였다.  [時와 忍의 반절이다]
*지금 《춘추》에는 “脤”으로 쓴다.

61 祴 개 gāi / 풍류 이름
 宗廟奏祴樂. 从示, 戒聲. [古哀切]
‘종묘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다. 示를 따르며 戒가 발음이다. [古哀切]

62 禡 마 mà / 마제
師行所止, 恐有慢其神, 下而祀之曰禡. 从示, 馬聲. 周禮曰: “禡於所征之地.” [莫駕切]
‘군대가 행진하다가 멈추는 곳에서 그 신에게 태만한 마음이 있을까봐 말에서 내려 제사 지내는 것’을 禡라고 한다. 示를 따르며 馬가 발음이다. 주나라 예법에 “마 제사를 정벌하는 땅에서 지낸다”라고 하였다. [莫과 駕의 반절이다]
*《예기·왕제》에 보인다.

63 禂 도 dǎo / 빌다
禱牲馬祭也. 从示, 周聲. 《詩》曰: “旣禡旣禂.” [都皓切] 그림19, 或从馬, 壽省聲.
‘기르는 말에게 기도하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周가 발음이다. 《시경》에 “마 제사를 지냈고 도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였다. [都와 皓의 반절이다] 그림19는 혹체이니 馬를 따르고 壽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지금 《시경》에는 “旣伯旣禱”로 되어 있다. 

그림19


64 社 사 shè / 토지신
地主也. 从示·土. 《春秋傳》曰: “共工之子句龍爲社神.” 《周禮》: “二十五家爲社, 各樹其土所宜之木.” [常者切] 그림20, 古文社.
‘땅의 주인’이다. 示와 土를 따른다. 《춘추좌씨전》에 “공공의 아들 구룡이 사신이 되었다.”라고 하였으며 주나라 예법에 “25가구가 사를 만들고 각각 그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는다.”라고 하였다. [常과 者의 반절이다] 그림 20은 社의 고문이다.
※ 지금 《춘추》에는 “共工氏有子曰句龍, 爲后土”라고 되어 있다.

그림20


65 禓 양 yáng / 길제사
道上祭. 从示, 昜聲. [與章切]
‘길 위의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昜이 발음이다. [與와 章의 반절이다]

66 祲 침 jìn / 요기
精氣感祥. 从示, 㑴省聲. 《春秋傳》曰: “見赤黑之𥛆(⿰示⿱帚又).” [子林切]
‘정기가 상서로움에 감응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㑴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춘추좌씨전》에 “붉고 검은 𥛆(⿰示⿱帚又)을 보다.”라고 하였다. [子와 林의 반절이다]
*지금 《춘추》에는 “吾見赤黑之祲”으로 되어 있다.

67 禍 화 huò / 재앙
 害也, 神不福也. 从示, 咼聲. [胡果切]
‘재해’이니 신이 복을 내리지 않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咼가 발음이다. [胡와 果의 반절이다]

68 祟 수 suì 빌미
神禍也. 从示, 从出. [雖遂切] 그림21, 籒文祟, 从그림22省.
‘신의 화’이다. 示를 따르고 出을 따른다. [雖와 遂의 반절이다] 그림21은 祟의 주문이니 그림22를 따른다.

그림21
그림22


69 䄏 요 yāo / 재앙
地反物爲䄏也. 从示, 芺聲. [於喬切]
‘땅이 물성에 반하는 것’이 䄏이다. 示를 따르며 芺가 발음이다. [於와 喬의 반절이다]

70 祘 산 suàn / 산가지
明視以筭之. 从二示. 《逸周書》曰: “士分民之祘. 均分以祘之也.” 讀若筭. [蘇貫切]
‘밝게 보아서 셈하는 것’이다. 2개의 示를 따른다. 《일주서》에 “사는 백성의 祘을 나누는데 균등히 나누어서 셈한다”라고 하였다. 筭과 같이 읽는다. [蘇와 貫의 반절이다]

71 禁 금 jìn / 금하다
吉凶之忌也. 从示, 林聲. [居蔭切]
‘길흉의 꺼림’이다. 示를 따르며 林이 발음이다. [居와 蔭의 반절이다]

72 禫 담 dàn / 담제
除服祭也. 从示, 覃聲. [徒咸切]
‘상복을 벗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覃이 발음이다. [徒와 咸의 반절이다]

文六十, 重十三
이 부에 있는 글자는 60자이고 중문은 13자이다.

73 禰 녜 ní / 아버지 사당
[親廟也. 从示, 爾聲. 一本云古文𥜬(⿰示⿱爾王)也. 泥米切.]
[‘부친의 사당’이다. 示를 따르며 爾가 발음이다. 일설에는 𥜬(⿰示⿱爾王)의 고문이라고 한다. 泥와 米의 반절이다.]

74 祧 조 tiāo / 천묘
[遷廟也. 从示, 兆聲. 他彫切.]
[‘사당을 옮기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兆가 발음이다. 他와 彫의 반절이다.]

75 祆 현 xiān 하늘
[胡神也. 从示, 天聲. 火千切.]
[‘호인의 신’이다. 示를 따르며 天이 발음이다. 火와 千의 반절이다.]

76 祚 조 zuò / 복
[福也. 从示, 乍聲. 臣鉉等曰: "凡祭必受胙, 胙卽福也. 此字後人所加." 徂故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乍가 발음이다. 신 현 등은 말한다. "무릇 제사는 반드시 胙를 받는데 胙는 곧 복이다. 이 글자는 후대의 사람이 더한 것이다." 徂와 故의 반절이다.]

文四. [新附]
글자는 4자이다. [새로 붙였다]

《三部》
77 三 삼 sān / 셋
天·地·人之道也. 从三數. 凡三之屬皆从三. [蘇甘切] 그림23, 古文三, 从弋.
하늘, 땅, 사람의 도이다. 3획을 따른다. 무릇 三의 무리는 다 三을 따른다. [蘇와 甘의 반절이다] 그림23은 三의 고문이니 弋을 따른다.

그림23


《王部》
78 王 왕 wáng / 임금
天下所歸往也. 董仲舒曰: “古之造文者, 三畫(劃)而連其中謂之王. 三者, 天·地·人也, 而參通之者王也.” 孔子曰: “一貫三爲王.” 凡王之屬皆从王. [李陽冰曰: "中畫(劃)近上. 王者, 則天之義." 雨方切.] 그림24, 古文王.
‘천하가 귀의하는 바’이다. 동중서가 말하였다. “옛날에 문자를 만드는 자가 세 번 획을 긋고 그 가운데를 이어 王이라고 하였다. 세 가지는 하늘, 땅, 사람이니 참여하여 통하는 자가 王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나로 셋을 꿰뚫는 것이 王이다.” 무릇 王의 무리는 다 王을 따른다. [이양빙이 말하였다. "가운데 획은 위에 가깝다. 왕은 하늘의 뜻이다." 雨와 方의 반절이다.] 그림24는 王의 고문이다.

그림24


79 閏 윤 rùn / 윤달
餘分之月, 五歲再閏, 告朔之禮, 天子居宗廟, 閏月居門中. 从王在門中. 《周禮》曰: “閏月, 王居門中, 終月也.” [如順切]
‘남은 달’이니 5년에 두 번 윤달이 있고 곡삭례에 천자는 종묘에 있는데 윤월에는 문 안에 있는다. 王이 문 안에 있는 것을 따른다.  《주례》에 “윤월에 왕이 문 안에 한달 내내 있었다.”라고 하였다. [如와 順의 반절이다]
*지금  《주례》에는 “閏月, 詔王居門終月”로 되어 있다.

80 皇 황 huáng / 임금
大也. 从自. 自, 始也. 始皇者, 三皇, 大君也. 自, 讀若鼻, 今俗以始生子爲鼻子. [胡光切]
‘큰 것’이다. 自를 따른다. 自는 ‘처음’이다. 始皇은 삼황이니 위대한 임금들이다. 自는 鼻와 같이 읽는데 지금 민간에서 처음 낳은 아이를 鼻子라고 한다. [胡와 光의 반절이다]

文三, 重一.
이 부에 있는 글자는 3자이고 중문은 1자이다.

《玉部》
81 玉 옥 yù / 구슬
石之美. 有五德, 潤澤以溫, 仁之方也; 䚡理自外, 可以知中, 義之方也; 其聲舒揚, 尃以遠聞, 智之方也; 不橈而折, 勇之方也; 銳廉而不技, 絜之方也. 象三玉之連. 丨, 其貫也. 凡玉之屬皆从玉. [陽冰曰: "三畫(劃)正均如貫玉也." 魚欲切.] 그림25, 古文玉.
‘돌 중에 아름다운 것’이다. 오덕이 있으니 윤택하여서 따뜻하게 하는 것은 인의 방면이고 표면의 무늬가 밖에서 보여 안을 알 수 있는 것은 의의 방면이고 그 소리가 퍼져 한결 같아서 멀리 들리는 것은 지의 방면이고 절대 굽혀지지 않고 차라리 부러지니 용의 방면이고 예리하여도 찌르지 않으니 혈의 방면이다. 세 옥이 이어진 것을 상형하였다. 丨은 뚫은 것이다. 무릇 玉의 무리는 다 玉을 따른다. [양빙이 말하였다. "세 획이 옥을 뚫은 것처럼 바르고 가지런하다." 魚와 欲의 반절이다.] 그림25는 玉의 고문이다.

25


82 璙 료 liáo / 옥
玉也. 从玉, 尞聲. [洛簫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尞가 발음이다. [洛과 簫의 반절이다]

83 瓘 관 guàn / 옥
玉也. 从玉, 雚聲. 《春秋傳》曰: “瓘斝.” [工玩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雚이 발음이다. 《춘추좌씨전》에 “관가(瓘斝)”라고 하였다. [工과 玩의 반절이다]

84 璥 경 jĭng / 경옥
玉也. 从玉, 敬聲. [居領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敬이 발음이다.  [居와 領의 반절이다]

85 琠 전 diǎn [tiǎn] / 귀막이
玉也. 从玉, 典聲. [多殄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典이 발음이다. [多와 殄의 반절이다]
*náo는 《광운》 他典切에 근거한 발음이다.

86 𤫕(⿰王夒) 노 róu [náo] / 옥 이름 
玉也. 从玉, 夒聲. 讀若柔. [耳由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夒가 발음이다. 柔와 같이 읽는다. [耳와 由의 반절이다]
*náo는 《광운》 奴刀切에 근거한 발음이다.

87 𤪢(⿰王毄) 력 lì 옥 이름
玉也. 从玉, 毄聲. 讀若鬲. [郞擊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毄이 발음이다. 鬲과 같이 읽는다. [郞과 擊의 반절이다]

88 璠 번 fán / 번여 옥
璵璠. 魯之寶玉. 从玉, 番聲. 孔子曰: “美哉璵璠. 遠而望之, 奐若也; 近而視之, 瑟若也. 一則理勝, 二則孚勝.” [附袁切]
‘번여(璵璠)’이니 노나라의 보옥이다. 玉을 따르며 番이 발음이다. 공자가 말하였다. “아름다운 여번(璵璠)이여! 멀리서 보아도 밝고 가까이서 보아도 깨끗하다. 첫째로는 무늬가 뛰어나고 둘째로는 광채가 뛰어나다.” [附와 袁의 반절이다]

89 璵 여 yú / 번여 옥
璵璠也. 从玉, 與聲. [以諸切]
‘번여(璵璠)’이다. 玉을 따르며 與가 발음이다.  [以와 諸의 반절이다]

90 瑾 근 jǐn / 아름다운 옥
瑾瑜, 美玉也. 从玉, 堇聲. [居隱切]
‘瑾瑜’이니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堇이 발음이다. [居와 隱의 반절이다]

91 瑜 유 yú 아름다운 옥
瑾瑜, 美玉也. 从玉, 兪聲. [羊朱切]
‘瑾瑜’이니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兪가 발음이다. [羊과 朱의 반절이다]

92 玒 공 hóng / 옥 이름
玉也. 从玉, 工聲. [戶工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工이 발음이다.  [戶와 工의 반절이다] 

93 𤦃(⿱來玉) 래 lái / 옥 이름
𤦃(⿱來玉)瓄, 玉也. 从玉, 來聲. [落哀切]
‘내독’이니 옥이다. 玉을 따르며 來가 발음이다. [落과 哀의 반절이다]
*琜

94 瓊 경 qióng / 구슬
赤玉也. 从玉, 夐聲. [渠營切] 그림26, 瓊或从矞. 그림27, 瓊或从巂. 그림28, 瓊或从旋省. [臣鉉等曰: "今與璿同."]
‘붉은 옥’이다. 玉을 따르며 夐이 발음이다. [渠와 營의 반절이다] 그림26은 瓊의 혹체이니 矞을 따른다. 그림27는 瓊의 혹체이니 巂를 따른다. 그림28은 瓊의 혹체이니 旋의 생략형을 따른다. [신 현 등을 말한다. "지금은 璿과 같다."]

그림26
그림27
그림28


95 珦 향 xiàng / 옥 이름
玉也. 从玉, 向聲. [許亮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向이 발음이다. [許와 亮의 반절이다]

96 㻝 랄 là / 옥 이름
玉也. 从玉, 剌聲. [盧達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剌이 발음이다. [盧와 達의 반절이다]

97 珣 순 xún / 옥 이름
醫無閭珣玗琪, 《周書》所謂‘夷玉’也. 从玉, 旬聲. 一曰器, 讀若宣. [相倫切]
의무려 지역의 ‘순우기’이니 《서경·주서》에서 말한 '이옥'이다. 玉을 따르며 旬이 발음이다. 일설에는 그릇이라 하며 宣과 같이 읽는다. [相와 倫의 반절이다]

98 璐 로 lù / 아름다운 옥
玉也. 从玉路聲. [洛故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路가 발음이다. [洛과 故의 반절이다]

99 瓚 찬 zàn / 옥잔
三玉二石也. 从玉, 贊聲. 《禮》: "天子用全, 純玉也; 上公用駹, 四玉一石; 侯用瓚; 伯用埒, 玉石半相埒也." [徂贊切]
60%는 옥이고 40%는 돌이다. 玉을 따르며 贊이 발음이다. 《주례》에 “천자는 전(全)옥을 쓰니 순수한 옥이고 상공은 방(駹)옥을 쓰니 80% 옥, 20% 돌이고 후작은 찬(瓚)옥을 쓰고 백작은 날(埒)옥을 쓰니 옥과 돌이 절반으로 비율이 서로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徂와 贊의 반절이다]
*지금 《주례》에는 "天子用全, 上公用龍, 侯用瓚, 伯用將."으로 되어 있다. 

100 瑛 영 yīng / 옥빛 
玉光也. 从玉, 英聲. [於京切]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英이 발음이다. [於와 京의 반절이다]


許愼, ≪說文解字≫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