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내용을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201) 瑚 (호, hú) 산호
珊瑚也. 从玉, 胡聲.
‘산호’이다. 玉을 따르며 胡가 발음이다.
202) 𤥗 (류, liú) 옥돌
石之有光, 璧𤥗也. 出西胡中. 从玉, 戼聲.
‘돌 가운데 빛이 나는 것이니 벽류(璧𤥗)’이다. 서역 중에서 난다. 玉을 따르며 戼가 발음이다.
203) 琀 (함, hán) 빈함옥
送死口中玉也. 从玉, 从含, 含亦聲.
‘죽은 이의 입 속에 넣는 옥’이다. 玉을 따르고 含을 따르며 含은 발음이기도 하다.
204) 𤪎 (유, yǒu)
遺玉也. 从玉, 𣣸聲.
‘[죽은 이에게] 남겨주는 옥’이다. 玉을 따르며 𣣸가 발음이다.
205) 璗 (탕, dàng) 황금
金之美者. 與玉同色. 从玉, 湯聲. 《禮》: “佩刀, 諸矦璗琫而璆珌.”
‘쇠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다. 옥과 색이 같다. 玉을 따르며 湯이 발음이다. 예에 “차는 칼은 제후는 쇠로 칼 위를 장식하고 璆로 칼 아래를 장식한다.”
206) 𩆜 (령, líng) 신령
𩆜巫. 以玉事神. 从玉, 霝聲.
‘신령스러운 무당’이다. 옥으로 신을 섬긴다. 玉을 따르며 霝이 발음이다.
207) 珈 (가, jiā) 머리꾸미개
婦人首飾. 从玉, 加聲. 《詩》曰: “副筓六珈.”
‘부인의 머리 꾸미개’이다. 玉을 따르며 加가 발음이다. 시경에 “쪽비녀에 여섯 가지 꾸미개”라고 하였다.
※ 副笄六珈
208) 璩 (거, qú) 옥고리
環屬. 从玉, 豦聲. 見《山海經》.
옥고리 종류이다. 玉을 따르며 豦가 발음이다. 산해경에 보인다.
※ 산해경 중산경에는 鐻로 되어 있다.
209) 琖 (잔, zhǎn) 옥잔
玉爵也. 夏曰琖, 殷曰斚, 周曰爵. 从玉, 戔聲. 或从皿.
‘옥잔’이다. 하나라는 琖이라 하고 은나라는 斚라 하고 주나라는 爵이라 한다. 玉을 따르며 戔이 발음이다. 혹은 皿을 따른다.
210) 琛 (침, chēn) 보배
寶也. 从玉, 深省聲.
‘보배’이다. 玉을 따르며 深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211) 璫 (당, dāng) 귀고리 옥
華飾也. 从玉, 當聲.
‘화려한 장식’이다. 玉을 따르며 當이 발음이다.
212) 琲 (배, bèi) 구슬꿰미
珠五百枚也. 从玉, 非聲.
구슬 500매이다. 玉을 따르며 非가 발음이다.
213) 珂 (가, kē) 마노
玉也. 从玉, 可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可가 발음이다.
214) 玘 (기, qǐ) 패옥
玉也. 从玉, 己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己가 발음이다.
215) 珝 (후, xǔ) 옥 이름
玉也. 从玉, 羽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羽가 발음이다.
216) 璀 (최, cuǐ) 빛나다
璀璨, 玉光也. 从玉, 崔聲.
‘최찬(璀璨), 즉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崔가 발음이다.
217) 璨 (찬, càn) 옥빛
玉光也. 从玉, 粲聲.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粲이 발음이다.
218) 琡 (숙, chù) 옥 이름
玉也. 从玉, 叔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叔이 발음이다.
219) 瑄 (선, xuān) 도리옥
璧六寸也. 从玉, 宣聲.
‘璧이 6촌인 것’이다. 玉을 따르며 宣이 발음이다.
220) 珙 (공, gǒng) 옥
玉也. 从玉, 共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共이 발음이다.
221) 玨 (각, jué) 쌍옥
二玉相合爲一𤤴. 凡𤤴之屬皆从𤤴.
‘두 옥이 서로 합해져 하나의 쌍옥이 된 것’이다. 무릇 𤤴의 무리는 다 𤤴을 따른다.
222) 班 (반, bān) 나누다
分瑞玉. 从𤤴, 从刀.
‘상서로운 옥을 나눈 것’이다. 𤤴을 따르고 刀를 따른다.
223) 𨌥 (복, fú) 가죽 주머니
車笭閒皮篋. 古者使奉玉以藏之. 从車·𤤴. 讀與服同.
‘수레 난간 사이의 가죽 상자’이다. 옛날에 사신이 옥을 받들고 가는데 이곳에 보관하였다. 車, 𤤴을 따른다. 服과 같이 읽는다.
224) 气 (기, qì) 기운
雲气也. 象形. 凡气之屬皆从气.
‘구름의 기운’이다. 상형문자이다. 무릇 气의 무리는 다 气를 따른다.
225) 氛 (분, fēn)
祥气也. 从气, 分聲.
‘상서로운 기운’이다. 气를 따르며 分이 발음이다.
226) 士 (사, shì) 선비
事也. 數始於一, 終於十. 从一, 从十. 孔子曰: “推十合一爲士.” 凡士之屬皆从士.
‘일을 맡는 것’이다. 수는 一에서 시작해 十에서 끝난다. 一을 따르고 十을 따른다. 공자가 말하였다. “열 가지를 미루어서 하나에 부합시키는 사람이 士이다.” 무릇 士의 무리는 다 士를 따른다.
227) 壻 (서, xù) 사위
夫也. 从士, 胥聲. 《詩》曰: “女也不爽, 士貳其行.” 士者, 夫也. 讀與細同.
‘남편’이다. 士를 따르며 胥가 발음이다. 시경에 “여자는 잘못한 게 아니고 남자가 행실을 바꾼 것이다”라고 하니 士는 ‘남편’이다. 細와 같이 읽는다.
228) 壯 (장, zhuàng) 장하다
大也. 从士, 爿聲.
‘큰 것’이다. 士를 따르며 爿이 발음이다.
229) 壿 (준, zūn) 너풀거려 추다
舞也. 从士, 尊聲. 《詩》曰: “墫墫舞我.”
‘춤’이다. 士를 따르며 尊이 발음이다. 시경에 “너풀너풀 내게 춤을 춘다”라고 하였다.
※ 지금 시경에는 “蹲蹲舞我”로 되어 있다.
230) 丨 (곤, gǔn) 뚫다
上下通也. 引而上行讀若囟, 引而下行讀若𨓆. 凡丨之屬皆从丨.
‘위아래가 통하는 것’이다. 위로 끌어당기면 囟과 같이 읽고 아래로 끌어당기면 𨓆와 같이 읽는다. 무릇 丨의 무리는 다 丨을 따른다.
231) 中 (중, zhōng) 가운데
內也. 从口. 丨, 上下通.
‘안’이다. 口을 따른다. 丨은 위아래가 통하는 것이다.
232) 𣃘 (천, chǎn) 깃대
旌旗杠皃. 从丨, 从㫃, 㫃亦聲.
‘깃발 대의 모양’이다. 丨을 따르고 㫃을 따르며 㫃은 발음이기도 하다.
233) 屮 (철, chè) 싹 나다
艸木初生也. 象丨出形, 有枝莖也. 古文或以爲艸字. 讀若徹. 凡屮之屬皆从屮. 尹彤說.
‘풀과 나무가 처음 나는 것’이다. 丨이 나오는 형상을 본떴으며 가지와 줄기가 있는 것이다. 고문에는 간혹 艸자로 여겼다. 徹과 같이 읽는다. 무릇 屮의 무리는 다 屮을 따른다. 윤단(尹彤)의 설이다.
234) 屯 (둔/준, zhūn) 진 치다
難也. 象艸木之初生. 屯然而難. 从屮貫一. 一, 地也. 尾曲. 《易》曰: “屯, 剛柔始交而難生.”
‘어려움’이다. 풀과 나무가 처음 나는 것을 본떴다. 우여곡절 어려운 것이다. 屮이 一을 뚫는 것을 따른다. 一은 땅이다. 글자 꼬리가 구부러져 있다. 주역에 “屯은 강함과 부드러움이 처음 교차하여 나기 어려운 것이다”라고 하였다.
235) 每 (매, měi) 매양
艸盛上出也. 从屮, 母聲.
‘풀이 성장해 위로 나오는 것’이다. 屮을 따르며 母가 발음이다.
236) 毒 (독, dú)
厚也. 害人之艸, 往往而生. 从屮, 从毒.
‘두터운 것’이다. 사람을 해치는 풀이니 뚜렷하게 자란다. 屮을 따르며 毒을 따른다.
※ 서개의 계전에는 “从屮, 毐聲”으로 되어 있다.
237) 㞣 (분, fēn) 싹 트면서 향기롭다
艸初生, 其香分布. 从屮, 从分, 分亦聲.
‘풀이 처음 나는 것’이니 그 향이 퍼진다. 屮을 따르고 分을 따르며 分은 발음이기도 하다.
238) 𡴆 (륙, lù) 버섯
菌𡴆, 地蕈. 叢生田中. 从屮, 六聲.
‘균륙(菌𡴆)’이니 땅버섯이다. 밭 안에서 무더기로 난다. 屮을 따르며 六이 발음이다.
239) 熏 (훈, xūn) 불길
火煙上出也. 从屮, 从黑. 屮黑, 熏黑也.
‘불 연기가 위로 나오는 것’이다. 屮을 따르고 黑을 따른다. 屮黑은 그을음이다.
240) 艸 (초, cǎo) 풀
百芔也. 从二屮. 凡艸之屬皆从艸.
‘온갖 풀’이다. 두 개의 屮을 따른다. 무릇 艸의 무리는 다 艸를 따른다.
241) 莊
上諱.
‘황상(한나라 明帝)의 휘’이다.
242) 蓏 (라, luǒ) 열매
在木曰果, 在地曰蓏. 从艸, 从㼌.
나무에 있는 것을 果라 하고 땅에 있는 것을 蓏라고 한다. 艸를 따르고 㼌를 따른다.
243) 芝 (지, zhī) 향풀
神艸也. 从艸, 从之.
‘신령스러운 풀’이다. 艸를 따르고 之를 따른다.
244) 萐 (삽, shà) 상서풀 이름
萐莆, 瑞艸也. 堯時生於庖廚, 扇暑而涼. 从艸, 疌聲.
‘삽보(萐莆)’이니 상서로운 풀이다. 요임금 시대에 푸줏간에서 났는데 더위를 식히고 서늘하게 만든다. 艸를 따르며 疌이 발음이다.
245) 莆 (보, fǔ) 서초
萐莆也. 从艸, 甫聲.
‘삽보(萐莆)’이다. 艸를 따르며 甫가 발음이다.
246) 虋 (문, mén) 차조
赤苗, 嘉穀也. 从艸, 釁聲.
‘붉은 싹’이니 좋은 곡식이다. 艸를 따르며 釁이 발음이다.
247) 荅 (답, dá) 좀콩
小尗也. 从艸, 合聲.
‘작은 콩’이다. 艸를 따르며 合이 발음이다.
248) 萁 (기, qí) 콩깍지
豆莖也. 从艸, 其聲.
‘콩 줄기’이다. 艸을 따르며 其가 발음이다.
249) 𧆑 (곽, huò) 어린 콩잎
尗之少也. 从艸, 靃聲.
‘콩이 어린 것’이다. 艸를 따르며 靃이 발음이다.
250) 莥 (뉴, niǔ) 쥐눈이콩
鹿藿之實名也. 从艸, 狃聲.
‘쥐눈이콩의 열매 이름’이다. 艸를 따르며 狃가 발음이다.
251) 蓈 (랑, láng) 쭉정이
禾粟之𥝩, 生而不成者, 謂之蕫蓈. 从艸, 郎聲.
‘벼와 조의 이삭 가운데 났지만 알맹이가 없는 것을 蕫蓈이라고 한다. 艸을 따르며 郎이 발음이다.
252) 莠 (유, yǒu) 가라지
禾粟下生莠. 从艸, 秀聲. 讀若酉.
’벼와 조 아래에서 자라는 것‘이 莠이다. 艸를 따르며 秀가 발음이다. 酉와 같이 읽는다.
253) 萉 (비, féi) 피하다
枲實也. 从艸, 肥聲.
’삼씨‘이다. 艸를 따르며 肥가 발음이다.
254) 芓 (자, zì) 암삼
麻母也. 从艸, 子聲. 一曰芓卽枲也.
’삼의 어미‘이다. 艸를 따르며 子가 발음이다. 일설에는 芓가 곧 삼이라고 한다.
255) 䔬 (이, yì) 연교
芓也. 从艸, 異聲.
’삼‘이다. 艸를 따르며 異가 발음이다.
256) 蘇 (소, sū) 차조기
桂荏也. 从艸, 穌聲.
’차조기‘이다. 艸를 따르며 穌가 발음이다.
257) 荏 (임, rěn) 들깨
桂荏, 蘇. 从艸, 任聲.
’차조기‘이니 蘇와 같다. 艸를 따르며 任이 발음이다.
258) 䒨 (시, shǐ) 쑥
菜也. 从艸, 矢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矢가 발음이다.
259) 䔇 (기, qǐ) 물고사리
菜之美者. 雲夢之䔇. 从艸, 豈聲.
’채소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다. 운몽의 䔇이다. 艸를 따르며 豈가 발음이다.
260) 葵 (규, kuí) 해바라기
菜也. 从艸, 癸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癸가 발음이다.
261) 䕬 (강, jiāng) 생강
禦溼之菜也. 从艸, 彊聲.
’습기를 막는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彊이 발음이다.
262) 蓼 (료, liǎo) 여뀌
辛菜, 薔虞也. 从艸, 翏聲.
’매운 채소‘이니 여뀌이다. 艸를 따르며 翏가 발음이다.
263) 䔃 (조, zǔ) 푸성귀
菜也. 从艸, 祖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祖가 발음이다.
264) 𦼫 (거, qú) 시화
菜也. 似蘇者. 从艸, 豦聲.
’채소‘이다. 차조기와 비슷한 것이다. 艸를 따르며 豦가 발음이다.
265) 薇 (미, wēi) 장미
菜也. 似藿. 从艸, 微聲.
’채소‘이다. 藿과 비슷하다. 艸를 따르며 微가 발음이다.
266) 蓶 (유, wéi) 푸성귀
菜也. 从艸, 唯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唯가 발음이다.
267) 菦 (근, qín) 미나리
菜, 類蒿. 从艸, 近聲. 《周禮》有菦菹.
’채소‘이니 蒿와 비슷하다. 艸를 따르며 近이 발음이다. 주례에 菦菹가 있다.
※ 지금 주례에는 芹菹로 되어 있다.
268) 䖆 (냥, niàng) 향유
菜也. 从艸, 釀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釀이 발음이다.
269) 莧 (현, xiàn) 비름
莧菜也. 从艸, 見聲.
’비름‘이다. 艸를 따르며 見이 발음이다.
270) 芋 (우, yù) 토란
大葉實根, 駭人, 故謂之芌也. 从艸, 亏聲.
큰 잎에 실한 뿌리로 사람을 놀라게 하므로 芌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亏가 발음이다.
271) 莒 (거, jǔ) 감자
齊謂芌爲莒. 从艸, 呂聲.
제나라에서는 芌를 莒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呂가 발음이다.
272) 蘧 (거, qú) 패랭이꽃
蘧麥也. 从艸, 遽聲.
’패랭이꽃‘이다. 艸를 따르며 遽가 발음이다.
273) 菊 (국, jú) 국화
大菊, 蘧麥. 从艸, 匊聲.
’큰 국화‘이니 ’패랭이꽃‘이라고도 한다. 艸를 따르며 匊이 발음이다.
274) 葷 (훈, hūn) 훈채
臭菜也. 从艸, 軍聲.
’냄새가 있는 채소‘이다. 艸을 따르며 軍이 발음이다.
275) 蘘 (양, ráng) 양하
蘘荷也. 一名葍蒩. 从艸, 襄聲.
’양하‘이다. 일명 복조이다. 艸를 따르며 襄이 발음이다.
276) 菁 (청, jīng) 우거지다
韭華也. 从艸, 青聲.
’부추 꽃‘이다. 艸를 따르며 青이 발음이다.
277) 蘆 (로, lú) 갈대
蘆菔也. 一曰薺根. 从艸, 盧聲.
’무‘이다. 일설에는 ’제근(薺根)‘이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盧가 발음이다.
278) 菔 (복, fú)
蘆菔. 似蕪菁, 實如小尗者. 从艸, 服聲.
’무‘이다. 순무와 비슷하고 열매는 작은 콩과 같다. 艸를 따르며 服이 발음이다.
279) 苹 (평, píng) 개구리밥
蓱也. 無根, 浮水而生者. 从艸, 平聲.
’개구리밥‘이다. 뿌리가 없고 물에 떠서 산다. 艸를 따르며 平이 발음이다.
280) 茞 (신, chén) 풀 이름
艸也. 从艸, 臣聲.
’풀‘이다. 艸를 따르며 臣이 발음이다.
281) 薲 (빈, pín) 네가래
大蓱也. 从艸, 賓聲.
’큰 개구리밥‘이다. 艸를 따르며 賓이 발음이다.
282) 藍 (람, lán) 쪽
染青艸也. 从艸, 監聲.
’푸른 색을 물들이는 풀‘이다. 艸를 따르며 監이 발음이다.
283) 藼 (훤, xuān) 원추리
令人忘憂艸也. 从艸, 憲聲. 《詩》曰: “安得藼艸?”
’사람이 근심을 잊도록 하는 풀‘이다. 艸를 따르며 憲이 발음이다. 시경에 “어디서 藼초를 얻을까?”라고 하였다.
※ 지금 시경에는 “焉得諼草”로 되어 있다.
284) 𦵡 (궁, qiōng) 궁궁이
𦵡藭, 香艸也. 从艸, 宮聲.
’궁궁이‘이니 향기로운 풀이다. 艸를 따르며 宮이 발음이다.
285) 藭 (궁, qióng) 궁궁이
藭也. 从艸, 窮聲.
’궁궁이‘이다. 艸를 따르며 窮이 발음이다.
286) 蘭 (란, lán) 난초
香艸也. 从艸, 闌聲.
’향기로운 풀‘이다. 艸를 따르며 闌이 발음이다.
287) 葌 (간, jiān) 띠
艸, 出吳林山. 从艸, 姦聲.
’풀‘이니 오림산에서 난다. 艸를 따르며 姦이 발음이다.
288) 葰 (수, suì) 생강
䕬屬. 可以香口. 从艸, 俊聲.
’생강 종류‘이다. 입을 향기롭게 할 수 있다. 艸를 따르며 俊이 발음이다.
289) 芄 (환, ) 왕골
芄蘭, 莞也. 从艸, 丸聲. 《詩》曰: “芄蘭之枝.”
’환란‘이니 莞이라고도 한다. 艸를 따르며 丸이 발음이다. 시경에 “환란의 가지”라고 하였다.
※ 지금 시경에는 “芄蘭之支”로 되어 있다.
290) 虈 (효, xiāo) 백지
楚謂之蘺, 晉謂之虈, 齊謂之茝. 从艸, 嚻聲.
초나라에서는 이(蘺)라 하고 진나라에서는 효(虈)라 하고 제나라에서는 채(茝)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嚻가 발음이다.
291) 蘺 (리, lí) 천궁
江蘺, 蘼蕪. 从艸, 離聲.
’강리(江蘺)‘이니 궁궁이 싹이다. 艸를 따르며 離가 발음이다.
292) 茝 (채, zhǐ) 궁궁이
虈也. 从艸, 𦣞聲.
’효(虈)‘이다. 艸를 따르며 𦣞가 발음이다.
293) 蘪 (미, méi) 천궁
蘪蕪也. 从艸麋聲.
’궁궁이 싹‘이다.
294) 薰 (훈, xūn) 향초
香艸也. 从艸, 熏聲.
’향기로운 풀‘이다. 艸를 따르며 熏이 발음이다.
295) 𦺇 (독, dú) 마디풀
水萹茿. 从艸, 从水, 毒聲. 讀若督.
’물 마디풀‘이다. 艸를 따르고 水를 따르며 毒이 발음이다. 督과 같이 읽는다.
296) 萹 (변, biān) 마디풀
萹茿也. 从艸, 扁聲.
’마디풀‘이다. 艸를 따르며 扁이 발음이다.
297) 茿 (축, zhú) 능수버들
萹茿也. 从艸, 筑省聲.
’마디풀‘이다. 艸를 따르며 筑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298) 𦼰 (갈, qiè) 향초
芞輿也. 从艸, 楬聲.
걸여(芞輿)이다. 艸를 따르며 楬이 발음이다.
299) 芞 (걸, qì ) 향초
芞輿也. 从艸, 气聲.
걸여(芞輿)이다. 艸를 따르며 气가 발음이다.
300) 苺 (매, méi) 딸기
馬苺也. 从艸, 母聲.
’큰 딸기‘이다. 艸를 따르며 母가 발음이다.
許愼, ≪說文解字≫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모성재에서 월운 씀
'설문해자 說文解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문해자(說文解字)≫ 정문(正文) 한국어 번역 (4/99) (10) | 2023.08.27 |
---|---|
≪설문해자(說文解字)≫ 정문(正文) 한국어 번역 (2/99) (0) | 2021.12.14 |
≪설문해자(說文解字)≫ 정문(正文) 한국어 번역 (1/99) (0) | 2021.12.13 |
≪설문해자(說文解字)≫ 540부수 한국어 훈음 (0) | 2021.12.11 |
≪설문해자(說文解字)≫ 서(序)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