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이미지를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블로그 이름,URL링크가운데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心不亂.

현명함을 숭상하지 않아 백성들을 다투게 만들지 않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아 백성들이 도둑질하게 만들지 않고, 욕심 낼 만한 것을 보지 않아서 마음이 어지러워지게 만들지 않는다.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強其骨.

이 때문에 성인(통치자)의 다스림은 그 (백성의) 마음을 비우고 그  (백성의) 배를 채우며, 그  (백성의) 의지를 약하게 하고 그  (백성의) 뼈대를 강하게 한다.

常使民無知無欲. 使夫知1)者不敢爲也. 

爲無爲, 則無不治.

항상 백성들이 욕망도 없고 지혜도 없도록 하고, 저 지혜로운 자가 감히 억지로 행하지 못하게 한다. 억지로 하지 않는 것을 행하면 잘 다스려지지 않는 경우가 없다.


1) 知: 흔히 '지혜롭다'로 풀이한다.  智 참고.

백서본 "恒使民無知·無欲也, 使夫知不敢·弗爲而已, 則無不治矣."

주첸즈(朱謙之)는 ≪老子校釋≫에서 不敢과 弗爲를 따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6, 17쪽 참고.

"今案「不敢」、乃二事,與前文無知無欲相對而言,斷句。文三十章以取强,各本下有字,字衍文。但六十七章不敢爲天下先,六十九章不敢爲主而爲客不敢進寸而退尺,七十三章勇於不敢則活,以不敢不爲對,知文有誤脫。老子原意謂常使一般人民無知無欲,常使少數知者不敢不爲,如是則清静自化,而无不治。

又案不敢不爲,卽不治治之。論衡自然篇曰:蘧伯玉子貢使人問之:『何以治對曰:治治之。治之治,無爲之道也。誼卽本此。蓋老子之意,以爲太上無治。世之所謂治者,尚賢則民争;貴難得之貨,則民爲盜;見可欲則心亂。今一反之,使民不見可尚之人,可貴之貨,可欲之事。如是,則混混沌沌,反朴守醇,常使民無知無欲,則自然泊然,不盜不亂,此所以知者不敢不爲。至德之世,上如標枝,民如野鹿;含哺而熙,鼓腹而遊。此則太古无爲而民自化,翱翔自然而無物治者也。"


참고자료

이석명, ≪도덕경≫

임채우, ≪왕필의 노자주≫

임헌규, ≪노자≫

高明, ≪帛書老子校注

國家文物局古文獻硏究室編, ≪馬王堆漢墓帛書[]≫

樓宇烈, ≪老子道德經注校釋

裘錫圭, ≪老子今硏

朱謙之, 老子校釋

池田知久(이케다 도모히사), ≪老子全譯注


https://www.youtube.com/watch?v=CwbE8tbEf9Q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