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고대 중국의 상나라 사람들은 전쟁, 제사, 농사, 정치 등 여러 가지 일을 점괘로 결정하였다. 거북의 배딱지에 길쭉한 모양의 홈, 그리고 동그란 모양의 홈을 판 뒤, 불을 붙여서 그 반대편에 균열을 내는 방식으로 점을 쳤다. 이때 생기는 균열이 바로 卜의 기원이다. 卜에 口를 추가해서 만든 占(점), 또 발음 부분인 圭를 추가해서 만든 卦(괘) 등의 글자도 있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현재 대한민국의 선거에서 투표용지에 찍는 도장의 문양으로 사용되고 있다.


https://youtu.be/AU6lmOZ8J-w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永은 본래 기다란 강의 지류를 상형한 글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물갈래'를 의미하는 /파/와 '길다'라는 의미의 /영/을 동시에 기록하게 되었다. 이것은 일자다용(一字多用) 현상으로 /파/와 /영/ 두 단어는 어원적인 관련이 없다. 고문자에는 좌우의 구별이 없었기 때문에 永과 𠂢 두 글자 모두 /파/, /영/을 기록할 수 있었다. 그러다 후대에 왼쪽을 향한 것은 /영/으로, 오른쪽을 향한 것은 /파/로 분화되었다. 𠂢(파)는 후대에 氵(水)를 추가해 派를 만들어 의미를 더 명확히 하였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https://youtu.be/lv572vDdjQM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女의 갑골문은 여자가 두 손을 모으고, 무릎을 구부리고 앉아 있는 모습을 상형하였다. 이것이 금문으로 오면서 다리가 펴지고, 점점 글자가 왼쪽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후 오른쪽 위의 획이 생략되면서 현대 해서체의 女가 되었다. 女는 육서 중의 상형에 해당한다.

반대로 男은 밭을 의미하는 田과 힘을 의미하는 力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육서 중의 회의이다. 力은 본래 농기구를 상형한 글자이며 耒(뢰)와 기원이 같다. 


https://youtu.be/r18G0HT4WiY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子는 아기가 강보에 싸여있는 모습을 상형한 글자이다. 원래 의미는 {아기}로 본래는 남녀의 구분이 없었다. 이후 남자 아기, 즉 아들을 주로 의미하게 되었다. 孑(혈)은 子를 생략하여 만든 글자라고 볼 수 있다. 子와 비슷하게 생긴 了(료)는 '마치다'라는 의미이며 특히 현대 중국어에서 어기조사로 사용된다. 


https://youtu.be/PwPjTdVQJ1w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