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은 동아시아에서 공용되었던, 고대 중국어 기반의 서면어이다. 중국에서는 문언문(文言文, wényánwén)이라고 부른다. 사실 한문이라는 용어는 한족(漢族)의 문장이라는 뜻이다. 한자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시대적인 구분이 있지는 않다. 여기서 문제는 한문이 문언문, 즉 고대 중국어의 서면어라는 정의와 일치하는지 아닌지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한문이 아니라 고대 중국어1)라고 불러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우선 우리 선조들이 ≪논어≫나 ≪맹자≫로 대표되는 고대 중국어와 ≪주자어류(朱子語類)≫ 등의 근대 중국어를 용어 상으로 구분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겠다. 그러나 ≪주자어류≫의 문법과 어휘가 ≪논어≫나 ≪맹자≫와는 상이하다는 것을 인식했고, 근대 중국어 어휘풀이집이라고 할 수 있는 ≪어록해(語錄解)≫를 편찬했다.2) 이 사실은 조선 사람들이 비록 이름을 붙이지는 않았으나, 고대 중국어와 근대 중국어를 분리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현재 한문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고대 중국어에 대해서 주로 한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굳이 고대 중국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큰 오류는 없을 듯하다. 하지만 정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고대 중국어의 서면어(이하 한문으로 통칭)'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겠다.
1) 중국어는 중국에 존재하는 소수 민족의 언어까지 범위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한어(漢語)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중국어는 중국의 표준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으므로 이 점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이 게시글에서는 이와 관련해서 자세히 논의하지는 않겠다.
2) ≪어록해(語錄解)≫에 한어(漢語)라는 표현이 등장하긴 하지만 근대 중국어만을 구별해서 부른 표현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한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흔히 ‘한자가 문장을 이룬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다음의 예시는 모두 한자가 문장을 이룬 것이다.
A) 善化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夘乙抱遣去如1)
B) 春苑 紅尓保布 桃花 下照道尓 出立嫺嬬2)
C) 東臨碣石 以觀滄海 水何澹澹 山島竦峙 (하략)3)
D) 你 一會看我 一會看雲 我覺得 你看我時很遠 你看雲時很近4)
A)는 향가(鄕歌)로 고대 한국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B)는 ≪만요슈(萬葉集)≫에 수록된 노래로 고대 일본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C)는 고대 중국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D)는 현대 중국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네 가지는 모두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각기 다른 언어이다. 따라서 원어 화자들은 각자의 언어로 이 문장들을 읽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단순히 한자의 나열로 표기되었다고 해서 모두 한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렇다면 한문은 무엇일까? 우선 한문이 언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한 언어가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문법 체계와 어휘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문이 어떠한 문법 체계와 어휘를 가지는지 주목해야 한다.
고대 중국어: 상(商) – 주(周) – 진(秦) – 한(漢) – 위진(魏晉) 남북조
근대 중국어: 수(隋)·당(唐) – 송(宋) – 원(元) – 명(明) – 청(淸)
현대 중국어: 근현대 중국
한문(漢文)이란 고대 중국어의 서면어(書面語)를 의미한다. 통사 구조에 따른 중국어의 역사적 분류에는 고대 중국어(古代漢語), 근대 중국어(近代漢語), 현대 중국어(現代漢語)가 있다.5) 고대 중국어는 현재 확인되는 중국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로 상나라 때부터 위진 남북조 시대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를 거치며 앞의 시대와 비교했을 때 문법구조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이것이 바로 현대 중국어의 기초가 되는 근대 중국어이다. 현대 중국어는 ‘니 하오(你好)’라든가 ‘워 아이 니(我愛你)’로 대표되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중국어이다. 한문은 바로 이 고대 중국어의 문법 체계에 따라 한자라는 문자로 기록된 서면어를 가리키는 것이다.
한문은 물론 서면어지만 고대 중국어의 구어(口語)를 많이 반영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후 근대 중국어 시기에 접어들며 입말은 빨리 변하였으나, 비교적 보수적인 글말은 고대 중국어를 모방한 형태로 계속 사용했고 하나의 표준적인 문체를 이루었다.6) 이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입말과 글말(한문)이 점점 달라지는 결과를 낳았다.
한문의 문체는 주로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의 문헌을 전범(典範)으로 삼고 있다. 공자(551 - 479 BCE) 시대부터 진(秦)나라의 중국 통일(221 BCE) 때까지 사용된 중국어를 고전 중국어(古典中國語, Classical Chinese)라고 부르고 그 이전에 사용된 중국어를 전고전 중국어(前古典中國語, Preclassical Chinese)라고 부른다.7) 따라서 같은 한문이라도 시대에 따라 문법이 조금씩 다르다. 고전 중국어의 문헌으로는 ≪춘추좌전(春秋左傳)≫, ≪국어(國語)≫, ≪논어(論語)≫, ≪맹자(孟子)≫, ≪장자(莊子)≫, ≪순자(荀子)≫, ≪한비자(韓非子)≫ 등이 있으며 전고전 중국어의 문헌에는 상나라 때의 갑골문(甲骨文), 서주(西周) 시기의 금문(金文), ≪주역(周易)≫, ≪시경(詩經)≫, ≪상서(尚書)≫ 등이 있다.
2. 한문의 역할
한문은 전근대 동아시아 공통의 서면어로서 기능했다. 한문은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베트남 등 그 주변국에서도 사용되었다. 이는 당시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자국어를 표기할 문자를 아직 마련하지 못했거나, 설령 고유 문자가 있었더라도 아직 그 문자가 사회문화적 이유로 널리 퍼지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의 한자와 한문을 빌려 기록을 남겼고 이런 관습은 근대까지도 이어졌다. 특히 공식적인 문서에는 대부분 한문을 사용했다.
3. 한문과 한자의 구별
한문은 언어이고 한자는 한문의 문자인 동시에 어휘(혹은 형태소)가 된다. 한문은 고대 중국어의 서면어이고 한자는 그것을 기록하는 문자이다. 다만 한자는 다른 문자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한글이나 서양의 로마자를 예로 들어보자. ㄱ, ㄴ, ㄷ, ㅏ, ㅑ, ㅓ, ㅕ 등과 같은 글자를 배운다고 한국어를 구사할 수는 없다. 로마자의 경우도 역시 a, b, c, d, e, f, g 등을 배웠다고 영어나 프랑스어 등을 구사할 순 없다. 해당 언어를 말할 수 있는 단계가 되려면 단어를 배워야만 한다. {구름}, {나무}, {다람쥐}, {apple}, {book}, {card} 등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문자가 발음만을 표기하는 것에 비해 한자는 그 자체로도 하나의 단어를 표기할 수 있다. 家[가: 집]라는 글자를 배우는 순간 {집}을 의미하는 단어를 하나 배우는 것이다. 물론 후대로 갈수록 2음절 이상의 합성어들이 증가하지만 그럼에도 한자는 형태소를 표기하므로 여전히 하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한자가 다른 문자들에 비해 양이 많은 것이다.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의 수는 해당 언어의 말소리를 표기할 정도의 양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한자는 한문의 형태소를 표기할 수 있을 만큼의 글자 수가 필요하게 된다.8) 단기적으로는 학습에 있어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보다 양이 많아서 부담스럽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언어 학습의 목표는 해당 언어를 구사하는 것에 있고 결국 어휘 학습은 필수라는 점에서 볼 때, 문자와 단어가 합쳐져 있는 형식인 한자는 딱히 불리한 조건에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1) 선화공주님은 / 남 몰래 사랑을 나누고 / 맛둥 도련님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백제 무왕의 <서동요(薯童謠)>
2) 봄의 정원을 / 다홍으로 물들인 / 복숭아 꽃빛 / 내리쪼이는 길에 / 나와 서 있는 소녀.
오토모노 야카모치(大伴家持)의 <4139번 노래(4139番歌)>
3) 동쪽 갈석산에 올라 푸른 바다를 바라보니 / 물은 참으로 출렁출렁하고 산과 섬은 높이 솟아있네. (하략)
조조(曹操)의 <관창해(觀滄海)>
4) 당신은 / 잠깐 나를 보다가 / 잠깐 구름을 보네요 / 내 생각에는 / 당신이 나를 볼 때는 아주 멀고 / 당신이 구름을 볼 때는 아주 가까운 듯해요.
구청(顧城)의 <멂과 가까움(遠和近)>
5) 중국의 언어학자 뤼수샹(呂叔湘,1904 - 1998 )은 그의 저서 ≪근대중국어지시대체사·서문(近代漢語指代詞·序)≫에서 고대 중국어와 근대 중국어의 분기점을 만당(晩唐)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로 보았으나 구분의 편의상 수·당 시대를 모두 근대 중국어에 포함시켰음을 밝힌다.
6) 당나라의 변문(變文), 송나라의 어록(語錄), 화본(話本) 등 당시의 입말을 반영한 이른 시기의 백화문(白話文)이 등장하기도 했으나 격식을 차린 문서는 고대 중국어를 모방한 형태, 즉 한문을 사용했다. 이러한 현상은 백화문 운동이 일어나는 청나라 말까지 계속 이어진다.
7) 캐나다의 중국학자 에드윈 풀리블랭크(Edwin Pulleyblank, 1922 - 2013)의 저서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Outline of Classical Chinese Grammar)≫를 참고했다.
8) 물론 실제로는 두 개 이상의 로마자를 합해 또 다른 소리를 표기하기도 하듯이(c와 h가 합쳐져 /tʃ/ 소리를 나타내는 등) 한자도 조합을 통해 어휘를 나타내는 방식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모든 단어마다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한자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정식명은 Chinese Text Project이다. 중국고전의 원문과 일부 번역을 볼 수 있다. 좌측 상단에서 영어, 중국어(번체), 중국어(간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先秦兩漢(진나라 이전과 서한, 동한 시기)에서는 서주 시기와 춘추전국시대를 비롯한 먼 옛날의 문헌을 볼 수 있고, 漢代之後(한나라 시대 이후)에서는 위진남북조부터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 등을 거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지금과 비교적 가까운 옛날의 글을 싣고 있다. 카테고리는 사상서의 경우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 학파 별로 나뉘어져 있다. 역사서류와 사전류는 각각 史書, 字書로 따로 분류했으며 ≪시경≫, ≪상서(서경)≫, ≪주역≫ 등 춘추전국시대에도 이미 고전이었던 문헌들은 經典文獻에 들어가 있다. 눈여겨볼 만한 것은 곽점초묘와 마왕퇴에서 각각 발견된 ≪노자≫ 판본 두 가지를 出土文獻에 싣고 있다는 점이다. 漢代之後부터는 시대별로 글을 나누었다. 송나라 때 주희의 ≪사서장구집주"와 ≪주자어류"가 볼 만하다. 검색은 좌측 하단에서 가능하며, 내용으로 검색할 경우 카테고리를 선택한 뒤 찾으려고 하는 원문을 넣으면 된다. 바로 아래에서는 책 이름으로 검색도 가능하다.
한적 리포그램의 일본 발음을 줄여서 붙인 이름이다. 사고전서 검색이 가능하다. Catalog에서 찾으려는 문헌이 포함된 파트를 선택하면 전체 목록을 볼 수 있다. 검색은 페이지 상단에서 가능하며 Title Search(제목 검색)보다는 Text Search(내용 검색)이 정확한 편이다.
한국학 데이터베이스에서 '역사/고전'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고전 원문과 번역을 이용할 수 있다. 볼 만한 것은 성백효 역주의 사서삼경과 ≪고문진보≫, ≪소학≫, ≪효경≫ 등이 있다. 간혹 글자 가운데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은 텍스트가 아니라 이미지로 구현해 놓은 것이 있으므로 복사해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또 항목 가운데 누락된 것이 간혹 존재한다.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동양고전 번역서 및 영상 강의를 볼 수 있다. 서명별로 찾기를 추천한다. 유학 경전 외에도 당나라, 송나라 시대 문학가들의 작품이나 순자, 한비자 등 제자백가들의 사상서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춘추좌씨전≫이나 ≪동래박의≫도 볼 만하다. 특히 ≪논어주소≫를 포함한 13경 주소를 서비스하고 있다.
역시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한다. 현재(2021년 7월) 기준으로 베타 버전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제한이 다소 있다. 한때 유행했던 패턴 학습법을 한문에 적용시켜서 공부할 수 있는 ≪한문독해 기본패턴≫과 ≪사서 독해첩경≫을 이용 가능하다. 또 사서의 언해와 한자의 뜻음, 풀이를 볼 수 있다. 또 서명별 동양고전에 들어가면 ㄷ 항목에서 확인 가능한 ≪동양고전 해제집≫도 참고할 만하다.
한국고전번역원의 데이터베이스이다. 고전번역서 다수와 한국문집총간의 원문과 번역을 볼 수 있다. 사전류 카테고리에 보이는 고전번역서 각주정보, 고전용어 시소러스, 이체자 정보 등이 유용하다. 부가서비스로 있는 한중일 연호검색과 경서성독도 참고할 만하며 최근 화제가 되었던 한문고전 자동번역기(현재는 승정원일기와 천문고전만 가능)도 역시 이 항목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한자학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다. 한자의 형태와 관련된 자료가 많다. 字形에 찾고 싶은 한자를 넣으면 이체자(異體字), 자형연변(字形演變), 소전, 금문, 갑골문 등 고문자 자형 등을 볼 수 있다. 추가로 고대의 한자 발음이나 현대 중국어 방언, ≪강희자전≫ 검색 등 여러 기능이 있다.
한자의 발음에 대한 정보가 많으며 중국어 역사 음운학을 공부할 때 도움이 된다. ≪광운(廣韻)≫, ≪洪武正韻牋≫ 등 운서를 검색할 수 있다. 한자의 발음이나 성조 차이에 의한 의미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王은 평성으로 읽을 때 '임금', 거성으로 읽을 때 '통치하다'라는 의미이다.
중국 언어학에 관련된 사이트이다. 현대 중국어 방언이나 소수민족언어도 검색할 수 있으며, 语言学文库에서는 언어학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中古音查询과 上古音查询에서 한자의 고대 발음에 대한 학자들의 재구를 비교해서 볼 수 있다. 중고음이나 상고음을 검색할 때 참고하기 좋다.
[한문문법] "○○은 뻔한 패턴의 반복이다"의 한문 버전. 패턴 학습은 한계점이 명확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일정한 규칙에 익숙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이 있다. 논어나 맹자도 아직 읽어보지 않은 단계에서 한문을 시작한다면 추천.
4. 한문문법 기본상식 64(陳必祥 저, 이종호 역, 지성인)
[한문문법] 천비샹(陳必祥) 주편으로 1993년 상해고적출판사에서 간행된 ≪古代漢語三百題≫에서 어법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번역한 것. 者와 所, 也와 矣 등 비슷한 듯 다른 어휘들을 비교하면서 설명한 것이 장점.
5. 고대중국어(郭錫良 외 저, 학이사 역, 역락)
[한문문법] 궈시량(郭錫良) 등 고대중국어 전공 교수들이 함께 편찬한 ≪古代漢語≫ 중 고대중국어상식 부분을 번역한 책이다. 위에서 소개한 한문문법 기본상식 64와 내용이 비슷하지만 더 상세하고 분량이 많으며 문자, 문법 등의 언어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지리, 제도, 역사 등 배경지식을 갖출 수 있다.
6. Outline of Classical Chinese Grammar(Edwin G. Pulleyblank, UBC Press)
[한문문법] 고전중국어에 대한 구조주의 문법의 집대성. 문자, 음운, 통사론을 종합한 설명과 다양한 용례가 장점이다. 합음(合音) 현상에 다소 집착하는 단점도 있다. 번역서(양세욱 역, 궁리)는 아쉽게도 절판되어서 도서관이나 중고서점 등을 이용해야 한다.
7. AI 시대 기초 한문공부(김종호 저, 한티미디어)
[한문문법] 생성문법 관점에서 중학교 한문을 분석한 책이다. [하다 DO], [이다 BE], [되다 BECOME], [시키다 CAUSE-BECOME] 총 4개의 경동사(輕動詞, light verb)를 한문해석에 적용했고, 표로 문장을 분석한 것이 특징이다. 한문은 생략이 잦은데 표를 통해 빠진 성분을 하나하나 짚어볼 수 있다.
8. 한문 해석 공식: 촘스키가 논어를 읽는다면(김종호 저, 한티미디어)
[한문문법] 위에 소개한 책의 저자가 논어의 구절 일부를 문법적으로 분석한 책으로 더 심화된 수준이다. 논어라는 유학 경전을 바탕으로 한문문법 지식이 실제 문장 해석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잘 살펴볼 수 있으며, 표뿐만 아니라 수형도(tree diagram)을 통해 문장 성분이 어떤 순서로 결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설이 많은 논어 문장들에 대해 언어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저자가 그 나름의 해석을 제시한다는 특징이 돋보인다. 다만 논어의 일반적인 편차가 아닌 문장구조를 기본으로 서술하였고 또 문장 색인이 없기 때문에 원하는 문장을 찾을 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9. 고대중국어 문법론(梅廣 저, 박정구 외 역, 한국문화사)
[한문문법] ≪上古漢語語法綱要≫의 번역서이다. 고대중국어를 생성문법으로 해석한 책 가운데 가장 내용이 방대하고 설명이 자세하다. 언어학적으로 한문을 읽고자 한다면 필독해야 한다.
10. 고대중국어 어휘의미론(蔣紹愚 저, 이강재 역, 차이나하우스)
[어휘론] ≪古漢語詞彙綱要≫의 번역서이다. 가차와 의미 파생, 유의어와 반의어, 단어의 의미 변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전통훈고학의 성과와 현대언어학의 이론을 잘 조화시킨 장점이 있다. 또 고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 사이에 위치하여 아직 연구가 부족한 근대중국어의 어휘에 대해서 다소간 정보를 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