往자

우리는 이미 의미 부분과 발음 부분을 조합해서 만드는 형성자(形聲字)가 한자 전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의미이고 가 발음이며, 가 의미이고 이 발음, 도 역시 가 풀을 나타내고 가 발음을 알려주는 구성이다. 

고대 중국의 무기, 월(鉞)

가 발음 부분으로 포함된 글자로는 , , , , 등이 있으며 모두 '주'라고 발음된다. 그런데 往은 가 들어있는데 왜 '왕'으로 읽는 것일까? 발음이 '왕'이라면 이 들어가는 게 합리적일 텐데 말이다. 이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 고문자 형태를 봐야 한다.

갑골문 往

위의 갑골문 자형은 𡉚 형태(⿱㞢土)로 예정(隷定)1)할 수 있으며 이 상하로 결합한 구조이다. 자서의 발음은 '황(huáng)'이지만 사실 往의 초문(初文)이다.2) 는 사람의 발 모양을 본뜬 것이며, 은 날이 아래로 향한 도끼이다.(게시글 두 번째 이미지를 참고하라.) 우리에겐 익숙지 않은 이 자의 고대 버전은 육서 중 어디에 속할까? 의심의 여지 없이 형성이다. 발[]로 나아가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왕()으로 발음이 '왕'임을 표시한다. 

≪吳王光鑑≫의 往

그러다 춘추시대에 비로소 𡉚 형태(⿱㞢土)에 (척: 길을 본뜬 것)을 덧붙여 지금 자와 같은 구성이 되었다.3) 즉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모양은 사실 의 결합 형태가 간략해진 것이다. 또 전국시대에는 𡉚(⿱㞢土)에 ()을 덧붙인 𨓏()이 있는데 바로 ≪說文解字≫에서 말한 고문(古文)이다.

정리하자면 은 본래 (의미 부분)와 (발음 부분)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였으며, 나중에 의미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이 추가된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에 보이는 모양은 '주인 주'와 전혀 관련이 없고 가 점으로 간략화된 형태이다. 


1) 고문자를 해서체로 고쳐 적는 것.

2)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중국문자학의 이해≫(원서 ≪文字學槪要≫), 317쪽 참고.

3) 장스차오(張世超) 외, ≪金文形義通解≫, 378쪽, 1506쪽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eXkRWTYoSvY&list=PLWPw126ycfAZPPCBqCEjLCfcH3oO3hunC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