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미 의미 부분과 발음 부분을 조합해서 만드는 형성자(形聲字)가 한자 전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校는 木이 의미이고 交가 발음이며, 問은 口가 의미이고 門이 발음, 花도 역시 艹가 풀을 나타내고 化가 발음을 알려주는 구성이다.
主가 발음 부분으로 포함된 글자로는 注, 柱, 住, 駐, 註 등이 있으며 모두 '주'라고 발음된다. 그런데 往은 主가 들어있는데 왜 '왕'으로 읽는 것일까? 발음이 '왕'이라면 王이 들어가는 게 합리적일 텐데 말이다. 이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往의 고문자 형태를 봐야 한다.
위의 갑골문 자형은 𡉚 형태(⿱㞢土)로 예정(隷定)1)할 수 있으며 止와 王이 상하로 결합한 구조이다. 자서의 발음은 '황(huáng)'이지만 사실 往의 초문(初文)이다.2) 止는 사람의 발 모양을 본뜬 것이며, 王은 날이 아래로 향한 도끼이다.(게시글 두 번째 이미지를 참고하라.) 우리에겐 익숙지 않은 이 往자의 고대 버전은 육서 중 어디에 속할까? 의심의 여지 없이 형성이다. 발[止]로 나아가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왕(王)으로 발음이 '왕'임을 표시한다.
그러다 춘추시대에 비로소 𡉚 형태(⿱㞢土)에 彳(척: 길을 본뜬 것)을 덧붙여 지금 往자와 같은 구성이 되었다.3) 즉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主 모양은 사실 止와 王의 결합 형태가 간략해진 것이다. 또 전국시대에는 𡉚(⿱㞢土)에 辵(辶)을 덧붙인 𨓏(迬)이 있는데 바로 ≪說文解字≫에서 말한 고문(古文)이다.
정리하자면 往은 본래 止(의미 부분)와 王(발음 부분)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였으며, 나중에 의미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彳이 추가된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往에 보이는 主 모양은 '주인 주'와 전혀 관련이 없고 止가 점으로 간략화된 형태이다.
1) 고문자를 해서체로 고쳐 적는 것.
2)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중국문자학의 이해≫(원서 ≪文字學槪要≫), 317쪽 참고.
3) 장스차오(張世超) 외, ≪金文形義通解≫, 378쪽, 1506쪽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eXkRWTYoSvY&list=PLWPw126ycfAZPPCBqCEjLCfcH3oO3hunC
모성재에서 월운 씀
'한자학(문자학) > 고한자학(고문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1.09.26 |
---|---|
又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1.09.22 |
出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1.09.21 |
釋殷墟卜辭中與建築有關的兩個詞——“門塾”與“𠂤” (0) | 2021.09.01 |
武에는 왜 戈가 아니라 弋이 들어갈까?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