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은 '나오다, 나가다, 출발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현대 해서체의 모양은 두 개의 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산이 아래위로 솟아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는 낭설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보는 해서체는 위진시대를 거쳐 당나라 이후에야 정립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설은 근거가 없다. 出의 갑골문 형태는 止와 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옛날 사람들은 움집에 살았는데 凵 혹은 𠙵은 움을 본뜬 것이다.("坎(감, 구덩이)의 상형 초문은 본래 "凵"으로 되어 있다). 전체의 자형은 발이 움집을 떠나는 것으로 밖에서 나가는 것을 나타내었다. 1) 그렇다면 '들어오다, 들어가다, 도착하다'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발을 나타내는 止를 상하반전시키면 되지 않을까?
실제로 갑골문에는 그런 글자가 있다. 이것은 𢓜(⿰彳各)의 초문(初文)이다. 자형은 발이 움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2) 各자의 소리를 가차하여 '각각, 각별' 등의 추상적 의미를 가지는 단어를 나타내었고, 본래 의미인 '도달하다, 오다' 등의 의미는 格자를 차용하여 표현하게 되었다. 3) ≪에기(禮記)≫<대학(大學)>에 나오는 "格物致知(사물의 이치에 이르러 나의 지식을 지극히 하다)"의 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1)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중국문자학의 이해≫(원서 ≪文字學槪要≫), 234쪽 참고.
2)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같은 책, 234, 235쪽 참고.
3) 김혁 저,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177쪽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S8MsClg4cP8
모성재에서 월운 씀
'한자학(문자학) > 고한자학(고문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1.09.26 |
---|---|
又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1.09.22 |
釋殷墟卜辭中與建築有關的兩個詞——“門塾”與“𠂤” (0) | 2021.09.01 |
往에는 왜 王이 아니라 主가 들어갈까? (0) | 2021.07.09 |
武에는 왜 戈가 아니라 弋이 들어갈까?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