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謂齊其家在脩其身者, 人之1)其所親愛而辟2)焉, 之其所賤惡3)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4)而辟焉, 之其所敖惰5)而辟焉. 故好而知其惡, 惡3)而知其美者, 天下鮮6)矣.
그 집안을 동등하게 대하는 것이 자신을 수양하는 것에 있다고 말한 것은 사람은 그 친하게 여겨 좋아하는 것에 치우치게 되고, 그 천하게 여겨 싫어하는 것에 치우치게 되고, 그 두려워하여 공경하는 것에 치우치게 되고, 그 슬퍼하여 불쌍해하는 것에 치우치게 되고, 그 오만하고도 게으르게 대하는 것에 치우치게 되니 그러므로 좋아하는데 그 나쁨을 알고, 싫어하는데 그 아름다움을 아는 자는 천하에 드물다.
故諺7)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8)之碩9).”
그러므로 속담에 이런 말이 있으니 “사람은 아무도 자기 자식의 나쁨을 알지 못하며, 아무도 자기 싹의 큼을 알지 못한다.”
此謂身不脩不可以齊其家.
이것을 자신이 수양되지 않으면 그 집안을 동등하게 대할 수 없다고 말한다.
1) 한나라 정현(鄭玄)은 '가다(適)'로 설명했고, 주희(朱熹)는 '~에 대해(於)'로 보았다. 청나라 때 왕인지(王引之)는 "정현은 適으로 풀이했으나 잘못이다."라고 하였다.
2) 정현은 '譬(비)'로 읽고 '비유하다'로 풀이, 주희는 '僻(벽)'으로 읽고 '편벽되다, 치우치다'로 풀이했다.
3) (오) 싫어하다, 미워하다.
4) 矜 (긍) 불쌍해하다.
5) 敖 (오) 오만하게 대하다. 惰 (타) 게을리 하다.
6) 드물다, 적다. 尟 참고.
7) 諺 (언) 속담.
8) 苗 (묘) 모, 싹.
9) 碩 (석) 크다.
모성재에서 월운 씀
'대학 大學 > 대학장구(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장구(大學章句)≫ 전 10장(傳十章) (0) | 2021.08.26 |
---|---|
≪대학장구(大學章句)≫ 전 9장(傳九章) (1) | 2021.08.23 |
≪대학장구(大學章句)≫ 전 7장(傳七章) (0) | 2021.08.16 |
≪대학장구(大學章句)≫ 전 6장(傳六章) (0) | 2021.08.06 |
≪대학장구(大學章句)≫ 전 5장(傳五章) (0) | 202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