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謂脩身在正其心者, 身1)有所忿2),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3),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에 있다고 말한 것은 마음에 화내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걱정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말이다.

心不在焉4),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마음이 거기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此謂脩身在正其心.

이것을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에 있다고 말한다.


1) 정자(程子)는 으로 고쳐 읽었으며 주자(朱子)도 이를 따랐다. (몸, 자기자신)을 그대로 보아야 한다는 후대의 비판도 받았다. 이 장은 수신(修身)과 정심(正心)을 상호연관 지어서 해석한 장이기 때문에 주자학(朱子學)의 논리 내에서는 으로 읽는 것이 자연스럽다.

2) 忿 (분), 懥 (치). 둘 다 '성내다, 화내다'라는 의미이다.

3) 는 '요'로 읽으며 '좋아하다'로 풀이한다. 도 같은 의미이다.

4) *於之에 상당하며 '거기에, 그곳에'로 풀이한다.


https://youtu.be/145pKe9KnbY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