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謂治國必先齊其家者, 其家不可敎而能敎人者, 無之. 故君子不出家而成敎於國. 孝者, 所以1)事君也; 弟(悌)者, 所以事長2)也; 慈者, 所以使衆也. 

나라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먼저 그 집안을 동등하게 대해야 한다고 말한 것은 자기 집안은 교화시키지 못하는데 다른 사람을 교화시킬 수 있는 자는 없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집을 나서지 않고도 나라에 교화를 이룩한다. 효도는 군주를 섬기는 수단이고, 공경은 어른을 섬기는 수단이고, 자애는 사람들을 부리는 수단이다.

<康誥>曰: “如保3)赤子.” 心誠4)求之, 雖不中5)不遠矣. 未有學養子而后嫁者也.

≪상서≫<강고>편에 말하길 “갓난 아이를 업어주는 듯이 한다”라고 하였으니 성심으로 그것을 구하면 비록 딱 들어맞지는 않더라도 멀지도 않을 것이다. 애 키우는 법을 다 배운 뒤에 시집 가는 자는 있지 않았다.

一家仁, 一國興6)仁; 一家讓, 一國興讓; 一人貪戾7), 一國作亂. 其機如此. 此謂一言僨8)事, 一人定國.

한 집안 전체가 인(仁)하면 한 나라 전체가 인에 흥기되고, 한 집안 전체가 겸양하면 한 나라 전체가 겸양에 흥기되며, 한 사람이 이익을 탐하면 한 나라 전체가 난을 일으키니, 그 기미가 이와 같다. 이것을 한 마디 말이 일을 그르치며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고 말한다.

堯·舜帥9)天下以仁, 而民從之; 桀·紂帥9)天下以暴, 而民從之. 其所令反其所好, 而民不從. 

요임금과 순임금은 천하를 인(仁)으로 거느렸는데 백성들이 따랐고, 걸왕과 주왕은 천하를 포악함으로 거느렸는데 백성들이 따랐다. 그(군주)가 명령하는 것이 그(군주)가 좋아하는 것과 반대되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다.

是故君子有諸10)己而后求諸人, 無諸己而后非11)諸人. 所藏乎12)身不恕13), 而能喻諸人者, 未之有也14)

이 때문에 군자는 자기에게 그것(선)이 있고 난 뒤에 다른 사람에게 그것(선)을 요구하며 자기에게 그것(악)이 없고 난 뒤에 다른 사람에게 그것(악)을 비판한다. 자신에게 간직한 것이 서(恕)하지 않은데 다른 사람에게 깨우쳐 줄 수 있는 자는 있지 않았다. 

故治國在齊其家.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자기 집안을 동등하게 대하는 것에 있다.

詩云: “桃之夭夭15), 其葉蓁蓁16). 之子于歸17), 宜18)其家人.” 宜其家人, 而后可以敎國人.

시에 말하길 “복숭아나무 싱그럽고, 그 잎사귀 무성하니, 저 아이가 시집 가면, 그 집 사람 잘 대하리”라고 하니 그 집안 사람들을 잘 대한 뒤에 나라 사람들을 교화시킬 수 있다.

詩云: “宜兄宜弟.” 宜兄宜弟, 而后可以敎國人.

시에 말하길 “그 형에게 잘 대하며 아우에게 잘 대한다”라고 하니 형을 잘 대하고 아우를 잘 대한 뒤에 나라 사람들을 교화시킬 수 있다.

詩云: “其儀不忒19), 正是四國20).” 其爲父子兄弟足法21), 而后民法之也.

시에 말하길 “그 몸가짐이 그르지 않아, 사방의 나라 바로잡으리”라고 하니 그 부모와 자식과 형과 아우 되는 이가 충분히 본받은 뒤에 백성들이 그를 본받는 것이다. 

此謂治國在齊其家.

이것을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그 집안을 동등하게 대하는 것에 있다고 말한다.


1) 수단, 방법.

2) zhǎng. 어른. 

3) 본래 의미가 '업어주다'이다. '보호하다'는 파생 의미이다.

4) 진심으로, 정말로.

5) zhòng. 적중하다, 들어맞다.

6) ~에 맞춰 흥기(興起)하다.

7) (려). 이익.

8) (분). 그르치다.

9) '솔'로 읽고 '거느리다'로 풀이한다.  참고.

10) 之於의 축약이다. 이때 之는 대명사 '그, 그것'으로 '선악(善惡)'을 가리킨다.

11) 비판하다, 잘못이라고 한다.

12) 은 '간직하다'라는 의미이고, 이때 , 와 같이 '~에'로 풀이한다.

13) 주희(朱熹)는 를 "推己以及人(자기를 미루어서 남에게 이르게 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14) 부정어 로 인해 대명사 목적어인 가 서술어 有 앞으로 도치되었다. 고전중국어에서 흔히 보이는 문법 현상이다.

15) 어리고 예쁜 모양.

16) 아름답고 무성한 모양.

17) 이때 는 '그'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흔히 보이는 의 용법과 유사하다. 는 '아이, 아가씨'이며 '어린 여자'를 말한다. 는 '가다'라는 의미로 과 유사하다. 는 '시집, 시가'를 말한다. 

18) ~에 마땅하다, ~에 알맞다.

19) (특). 그르다, 잘못되다.

20) 온 나라, 즉 전국(全國)을 말한다. 동서남북 사방에 있는 네 개의 다른 나라들이 아니다.

21) 법으로 알다, 모범 삼다, 본받다.


https://youtu.be/Jq08MXNh6bk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