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不仁者不可以久處約1),不可以長處樂.

仁者安2)仁, 知者利3)仁."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한 곳에 사는 것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인한 곳에서 지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로울 수 있겠는가?”


1) 제약된 상태, 곤궁한 상태.

2) 편안하다고 여기다.  

3) 이롭다고 여기다.


이인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Z9Q_ldT7bDI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里1)仁爲美, 擇不處2)仁, 焉3)得知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이 인(仁)한 것이 아름다우니 선택하여 인한 곳에서 지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로울 수 있겠는가?”


1) 마을. <집주>: 里有仁厚之俗爲美 

2) 머무르다.

3) 어찌.

4) 지혜. Cf) 智


이인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a9pXOo36rE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居上不寬, 爲禮不敬, 臨喪不哀, 吾何以觀之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윗자리에 거하는데 관대하지 못하며 예를 행하는데 공경하지 않으며 상례에 임하였는데 슬퍼하지 않으면 내가 무엇으로 그를 보겠는가?”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Vlx_Jj-JVzY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謂<韶>1) “盡美矣, 又盡善也.”

謂<武>2) “盡美矣, 未盡善也.” 

공자께서 소 음악(순임금의 음악)에 대해 말씀하시길 “극진히 아름답고 또 극진히 선하다”라고 하시고 무 음악(무왕의 음악)에 대해 말씀하시길 “극진히 아름다우나 극진히 선하진 못하다”라고 하셨다.


1) 韶: ‘순임금의 음악’
2) 武: ‘주나라 무왕의 음악’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CXrce0zuBKE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