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管仲1)之器小哉!”
或曰: “管仲儉乎?”
曰: “管氏有三歸2), 官事不攝3), 焉得儉?”
“然則管仲知禮乎?”
曰: “邦君樹4)塞門5), 管氏亦樹塞門; 邦君爲兩君之好, 有反坫, 管氏亦有反坫, 管氏而知禮, 孰不知禮?”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중의 그릇은 작구나!”
어떤 이가 공자에게 물었다. “관중은 검소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씨는 삼귀대를 가졌으며 관직 일을 겸하지 않았으니 어찌 검소할 수 있겠는가?”
어떤 이가 말했다. “그렇다면 관중은 예를 알았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라의 임금이라야 색문을 세우는데 관씨도 색문을 세웠으며 나라의 임금이라야 두 임금의 우호를 위해 반점을 가지는데 관씨도 반점을 가졌으니 관씨가 예를 알면 누가 예를 모르겠는가?”
1) 管仲: 과거 제나라의 재상. 당시 제나라 군주인 환공이 패자가 될 수 있도록 보좌했다.
2) 三歸: ‘삼귀대’라는 전망대의 이름. ‘세 번 아내를 취했다’라고 풀이하는 설도 있다.
3) 攝: ‘겸하다’
4) 樹: ‘세우다.’
5) 塞門: ‘가림문, 집 내부를 가리는 문.’
6) 反坫: ‘술잔 받침대’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모성재에서 월운 씀
'논어 論語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註)≫ <팔일(八佾)> 24장 (0) | 2022.07.26 |
---|---|
≪논어집주(論語集註)≫ <팔일(八佾)> 23장 (0) | 2022.07.26 |
≪논어집주(論語集註)≫ <팔일(八佾)> 21장 (0) | 2022.07.26 |
≪논어집주(論語集註)≫ <팔일(八佾)> 20장 (0) | 2022.07.26 |
≪논어집주(論語集註)≫ <팔일(八佾)> 19장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