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번역은 출처를 밝히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경 면만 번역
綿蠻1)黃鳥, 止于丘阿.
道之云遠, 我勞如何.
꾀꼴하는 꾀꼬리는 언덕 위쪽에 머무르네.
가는 길이 멀다 하니 내 고생이 어떠하리?
飮2)之食3)之, 敎之誨4)之, 命彼後車, 謂之載之.
마시라 하고 먹으라 하고 가르치고 교육하고,
저 뒤 수레 명령하여 실으라고 말해주오.
綿蠻黃鳥, 止于丘隅.
豈敢憚5)行, 畏不能趨6).
꾀꼴하는 꾀꼬리는 언덕 구석에 머무르네.
어찌 감히 가기 싫으리 빨리 못 갈까 두렵다네.
飮之食之, 敎之誨之, 命彼後車, 謂之載之.
마시라 하고 먹으라 하고 가르치고 교육하고,
저 뒤 수레 명령하여 실으라고 말해주오.
綿蠻黃鳥, 止于丘側.
豈敢憚行, 畏不能極7).
꾀꼴하는 꾀꼬리는 언덕 옆쪽에 머무르네.
어찌 감히 가기 싫으리 도착 못할까 두렵다네.
飮之食之, 敎之誨之, 命彼後車, 謂之載之.
마시라 하고 먹으라 하고 가르치고 교육하고,
저 뒤 수레 명령하여 실으라고 말해주오.
1) 綿蠻: '꾀꼬리 소리'. 중국의 언어학자 정장상팡(鄭張尚芳, 1933 - 2018)은 /*men mroːn/으로 상고음을 재구했다.
2) 飮: '마시게 하다'. 전통적으로는 (임)으로 읽었다.
3) 食: '먹게 하다'. (사)로 읽는다. 飤 참고.
4) 誨 (회): '가르치다'.
5) 憚 (탄): '꺼리다, 싫어하다.'
6) 趨: '빨리 가다'.
7) 極: '도착하다.'
모성재에서 월운 씀
'중국고전선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운(切韻)≫ 서(序) (7) | 2023.09.02 |
---|---|
≪시경(詩經)≫ <기욱(淇奧)> (0) | 2021.09.21 |
≪시경(詩經)≫ <문왕(文王)> (0) | 2021.09.14 |
해하가(垓下歌) (0) | 2021.08.20 |
≪시경(詩經)≫ <관저(關雎)>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