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孟子 > 맹자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집주(孟子集註)≫ 서설(序說) (0) | 2021.07.09 |
---|
≪맹자집주(孟子集註)≫ 서설(序說) (0) | 2021.07.09 |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3장 (0) | 2021.07.23 |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2장 (0) | 2021.07.14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1장 (0) | 2021.07.09 |
≪논어집주(論語集註)≫ 서설(序說) (0) | 2021.07.09 |
≪논어의 문법적 이해≫ (0) | 2021.07.08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3장 (0) | 2021.07.23 |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2장 (0) | 2021.07.14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1장 (0) | 2021.07.09 |
≪논어집주(論語集註)≫ 서설(序說) (0) | 2021.07.09 |
≪논어집주≫ (0) | 2021.07.09 |
1. Ctext: https://ctext.org/zh
정식명은 Chinese Text Project이다. 중국고전의 원문과 일부 번역을 볼 수 있다. 좌측 상단에서 영어, 중국어(번체), 중국어(간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先秦兩漢(진나라 이전과 서한, 동한 시기)에서는 서주 시기와 춘추전국시대를 비롯한 먼 옛날의 문헌을 볼 수 있고, 漢代之後(한나라 시대 이후)에서는 위진남북조부터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 등을 거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지금과 비교적 가까운 옛날의 글을 싣고 있다. 카테고리는 사상서의 경우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 학파 별로 나뉘어져 있다. 역사서류와 사전류는 각각 史書, 字書로 따로 분류했으며 ≪시경≫, ≪상서(서경)≫, ≪주역≫ 등 춘추전국시대에도 이미 고전이었던 문헌들은 經典文獻에 들어가 있다. 눈여겨볼 만한 것은 곽점초묘와 마왕퇴에서 각각 발견된 ≪노자≫ 판본 두 가지를 出土文獻에 싣고 있다는 점이다. 漢代之後부터는 시대별로 글을 나누었다. 송나라 때 주희의 ≪사서장구집주"와 ≪주자어류"가 볼 만하다. 검색은 좌측 하단에서 가능하며, 내용으로 검색할 경우 카테고리를 선택한 뒤 찾으려고 하는 원문을 넣으면 된다. 바로 아래에서는 책 이름으로 검색도 가능하다.
2. Kanripo: https://www.kanripo.org/
한적 리포그램의 일본 발음을 줄여서 붙인 이름이다. 사고전서 검색이 가능하다. Catalog에서 찾으려는 문헌이 포함된 파트를 선택하면 전체 목록을 볼 수 있다. 검색은 페이지 상단에서 가능하며 Title Search(제목 검색)보다는 Text Search(내용 검색)이 정확한 편이다.
3. 동방미디어: https://www.koreaa2z.com/#
한국학 데이터베이스에서 '역사/고전'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고전 원문과 번역을 이용할 수 있다. 볼 만한 것은 성백효 역주의 사서삼경과 ≪고문진보≫, ≪소학≫, ≪효경≫ 등이 있다. 간혹 글자 가운데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은 텍스트가 아니라 이미지로 구현해 놓은 것이 있으므로 복사해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또 항목 가운데 누락된 것이 간혹 존재한다.
4. 동양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동양고전 번역서 및 영상 강의를 볼 수 있다. 서명별로 찾기를 추천한다. 유학 경전 외에도 당나라, 송나라 시대 문학가들의 작품이나 순자, 한비자 등 제자백가들의 사상서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춘추좌씨전≫이나 ≪동래박의≫도 볼 만하다. 특히 ≪논어주소≫를 포함한 13경 주소를 서비스하고 있다.
5. 한문독해첩경: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list1.asp
역시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한다. 현재(2021년 7월) 기준으로 베타 버전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제한이 다소 있다. 한때 유행했던 패턴 학습법을 한문에 적용시켜서 공부할 수 있는 ≪한문독해 기본패턴≫과 ≪사서 독해첩경≫을 이용 가능하다. 또 사서의 언해와 한자의 뜻음, 풀이를 볼 수 있다. 또 서명별 동양고전에 들어가면 ㄷ 항목에서 확인 가능한 ≪동양고전 해제집≫도 참고할 만하다.
6.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 https://db.itkc.or.kr/
한국고전번역원의 데이터베이스이다. 고전번역서 다수와 한국문집총간의 원문과 번역을 볼 수 있다. 사전류 카테고리에 보이는 고전번역서 각주정보, 고전용어 시소러스, 이체자 정보 등이 유용하다. 부가서비스로 있는 한중일 연호검색과 경서성독도 참고할 만하며 최근 화제가 되었던 한문고전 자동번역기(현재는 승정원일기와 천문고전만 가능)도 역시 이 항목에서 이용할 수 있다.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원문과 번역문, 원본 이미지를 볼 수 있다. 그외에도 시대별, 형태별, 가나다 순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8. 샤오쉐탕(小學堂, 소학당): https://xiaoxue.iis.sinica.edu.tw/
한자학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다. 한자의 형태와 관련된 자료가 많다. 字形에 찾고 싶은 한자를 넣으면 이체자(異體字), 자형연변(字形演變), 소전, 금문, 갑골문 등 고문자 자형 등을 볼 수 있다. 추가로 고대의 한자 발음이나 현대 중국어 방언, ≪강희자전≫ 검색 등 여러 기능이 있다.
9. 윈뎬왕(韻典網, 운전망): https://ytenx.org/
한자의 발음에 대한 정보가 많으며 중국어 역사 음운학을 공부할 때 도움이 된다. ≪광운(廣韻)≫, ≪洪武正韻牋≫ 등 운서를 검색할 수 있다. 한자의 발음이나 성조 차이에 의한 의미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王은 평성으로 읽을 때 '임금', 거성으로 읽을 때 '통치하다'라는 의미이다.
10. 둥팡위옌쉐(東方語言學, 동방언어학): http://118.24.95.172/
중국 언어학에 관련된 사이트이다. 현대 중국어 방언이나 소수민족언어도 검색할 수 있으며, 语言学文库에서는 언어학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中古音查询과 上古音查询에서 한자의 고대 발음에 대한 학자들의 재구를 비교해서 볼 수 있다. 중고음이나 상고음을 검색할 때 참고하기 좋다.
모성재에서 월운 씀
한문 교과서 (0) | 2022.05.23 |
---|---|
답사 자료집(경남 진주시) (0) | 2022.03.28 |
애오잠(愛惡箴) (0) | 2021.10.10 |
한국어문회 8급 한자 (0) | 2021.07.12 |
한문(문언문) 공부 참고서 추천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