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세가>에서 말하였다. “공자는 이름이 구(丘)이고 자(字)는 중니(仲尼)이다. 그 선조는 송나라 사람이다. 아버지는 숙량 흘이고 어머니는 안씨이니 노나라 양공 22년인 경술년 11월 경자일에 노나라 창평향 추읍에서 공자를 낳았다. (공자는) 아이였을 적에 놀이를 할 때면 항상 제기를 늘어놓고 예의 바른 차림새를 갖추었다. 장성하자 위리(창고 관리자)가 되었는데 계산이 공평했고,위리(委吏)는 원래 계씨사(季氏史)라고 썼다. 색은에 말하길 “어떤 판본에는 위리(委吏)라고 되어 있으니 맹자와 부합한다.”라고 하니 지금 그것을 따른다.사직리(가축 관리자)가 되었을 때는 가축이 번성했다.職(직)은 주례(周禮) 우인(牛人)에 보이니 독음은 樴(직)이고 의미는 말뚝[杙]과 같다. 대개 희생을 기르는 곳이다. 이 관직은 맹자에서 말한 승전(乘田)이다.주나라로 가서 노자에게 예를 물었고 (노나라로) 돌아왔을 때는 제자들이 더욱 많이 찾아왔다. 소공 25년인 갑신년에 공자는 나이가 35세였는데 소공이 제나라로 달아나자 노나라가 혼란해졌다. 이에 제나라로 가서 고소자의 가신이 되어서 경공과 소통했다.소(韶) 음악을 듣고 정치를 물었다는 두 가지 일이 있었다.(경)공은 이계의 땅을 내려주고 싶었으나 안영이 동의하지 않으니 (경)공이 의혹하였다.계씨, 맹씨, 내가 늙었다는 말이 있었다.공자께서 마침내 (제나라를) 떠나서 노나라로 돌아왔다. 정공 원년인 임신년에 공자는 나이가 43세였는데 계씨가 강성해져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하고 그 가신인 양호가 난을 일으켜 정권를 독차지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벼슬하지 않으시고 물어나서 시서예악을 닦으셨고 제자들은 더욱 많아졌다. (정공) 9년인 경자년에 공자의 나이는 51세였다. 공산불유가 비읍을 근거지로 하여 계씨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공자를) 부르니 공자께서는 가고자 하셨으나 끝내 가지 않으셨다.자로에게 동주라고 답한 말이 있었다.정공이 공자를 중도재로 삼으니 1년이 지나 사방에서 그를 본받았고 마침내 사공이 되셨고 또 대사구가 되셨다. 10년인 신축년에 정공이 제나라 후작과 협곡에서 회맹하는 것을 도우니 제나라 임금이 빼앗은 땅을 노나라에 돌려주었다. 12년인 계묘년에 중유를 시켜 계씨의 재상이 되게 하여 삼도를 무너뜨리고 그 갑옷과 병기를 수거하였다. 맹씨가 성읍을 무너뜨리려고 하지 않자 그를 포위했으나 이기지 못했다. 정공 14년인 을사년에 공자는 나이가 56세였고 재상의 일을 겸하여 행했고 소정 묘를 죽이고 국정에 참여하여 들었다. 3개월이 지나 노나라가 잘 다스려졌다. 제나라 사람이 미녀인 연주자, 무용수들을 보내서 방해하니 계환자가 이를 받았다. 교 제사를 지내고도 제사에 쓴 고기를 대부들에게 보내지 않자 공자께서 떠나셨다.노세가에는 이 이상을 모두 12년의 일이라고 했다.위나라로 가서 자로의 처형 안탁추의 집에 머물렀다.맹자에서는 안수유(顏讎由)로 썼다.진(陳)나라로 갈 때 광땅을 지나는데 광땅 사람들이 (공자를) 양호라고 생각하고 붙잡았다.안연이 뒤처진 것과 문왕이 이미 세상을 떠나셨다는 말이 있었다.풀려났을 때 위나라로 돌아가서 거백옥의 집에 머물었고 남자를 만났다.자로에게 맹세한 것과 덕을 좋아하는 자를 보다는 말이 있었다.(위나라를) 떠나서 송나라로 갔는데 사마환퇴가 그를 죽이려 했다.하늘에 덕을 내려주었다는 말과 미복이 송나라를 지나간 일이 있었다.다시 떠나서 진(陳)나라로 가 사성정자의 집에 머물렀다. 3년을 지내다가 위나라로 돌아갔으나 영공이 등용하지 못했다.3년이면 성취가 있다는 말이 있었다.진(晉)나라 조씨의 가신 필힐이 중모를 근거지로 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공자를 불렀는데 공자는 가고자 했으나 역시 그러지 않았다.논어에 근거하면 양식이 떨어진 것이 이 때에 있어야 한다.장차 서쪽으로 가서 조간자를 만나려 했는데 황하에 도착해서는 돌아와 다시 거백옥의 집에 머물렀다. 영공이 진법에 대해 묻자 대답하지 않고 (위나라를) 떠나 다시 진(陳)나라로 갔다. 계환자가 생을 마감하고 강자에게 반드시 공자를 부르라는 말을 남겼는데 그 가신이 저지하니 강자가 곧 염구를 불렀다.사기에서는 논어의 돌아가자는 탄식이 이때에 있었다고 했고 또 맹자가 기록한 탄식하는 말이 사성정자의 집에 머물 때의 말이라고 했으나 의심컨대 그렇지 않다. 대개 논어와 맹자에서 기록한 것은 본래 모두 이 한 때의 말이나 기록한 것이 다름이 있을 뿐이다.공자는 채나라로 갔고 섭에 도착했다.섭공이 물었는데 자로가 대답하지 않은 것, 장저와 걸닉이 밭을 갈던 것, 하조장인등의 일이 있었다. 사기에서 말하길 “이때 초나라 소왕이 사람을 시켜 공자를 불렀는데 공자가 가고자 하여 절을 하였으나 진나라와 채나라의 대부가 무리를 일으켜 포위하였으므로 공자께서는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양식이 떨어지셨다”라고 하니 온견과 자공에게 일이관지라고 알린 말이 있었다. 살펴보건대 이때 진나라와 채나라는 초나라를 신하로서 섬겼으니 만약 초나라 왕이 공자를 불러오게 한다면 진나라와 채나라의 대부들이 어떻게 감히 포위했겠는가. 또 논어를 근거하면 양식이 떨어진 것이 위나라를 떠나 진나라로 가던 때에 있어야 한다.초나라 소왕이 장차 서사땅을 공자에게 봉해주려 했으나 영윤 자서가 동의하지 않아서 곧 그만두었다.사기에서는 “서사땅은 700리이다”라고 했는데 아마 이럴 리는 없을 듯하다. 이때는 접여의 노래가 있었다.다시 위나라로 돌아갔는데 이때는 영공이 이미 생을 마감하였고 위나라 임금 첩이 공자를 얻어 정치를 하고자 하였다.노나라와 위나라는 형제라는 것과 자공에게 백이숙제, 자로에게 정명을 답한 말이 있었다.염구가 계씨의 장수가 되어 제나라와 싸워서 공을 세우니 강자가 곧 공자를 불렀고 공자는 노나라로 돌아갔으니 실로 애공 12년인 정사년에 공자는 나이가 67세였다.애공과 강자에게 대답한 말이 있었다.그러나 노나라는 끝내 공자를 등용하지 못했고 공자도 벼슬을 구하지 않아서 곧 서전, 예기의 차례를 바로잡았다.기나라와 송나라, 덜어낸 것과 더해진 것, 주나라를 따르겠다 등의 말이 있었다.시를 산삭하고 음악을 바로잡았고태사에게 말한 것과 음악이 바르게 되었다는 말이 있었다.주역 단전, 계사전, 상전, 설괘전, 문언전을 차례 지었다.제자 가운데 안회가 가장 훌륭하나 일찍 죽어서 뒤에 오직 증삼이 공자의 도를 전할 수 있었다.제자는 거의 3천명이었고 몸소 육예에 통달한 자가 72 사람이었다. 14년인 경신년에 노나라의 서쪽에서 기린을 잡았고아무도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다.공자는 춘추를 지었다.나를 알고 나를 욕한다 등의 말이 있었고 논어의 진항을 성토하길 청한다는 일이 역시 이 해에 있었다.다음 해인 신유년에 자로가 위나라에서 죽었다. 16년인 임술년 4월 기축일에 공자가 생을 마감하였는데 나이가 73세였고 노성 북쪽 사수 가에 장사 지냈다. 제자가 모두 마음으로 상복을 3년 동안 입고 떠났는데 오직 자공만은 무덤가에 여막을 짓고 모두 6년을 보냈고 공자는 리(鯉)를 낳았는데 자(字)는 백어(伯魚)이고 먼저 생을 마감했다. 백어는 급(伋)을 낳았는데 자(字)는 자사(子思)이고 중용을 지었다.”자사는 증자에게 배웠고 맹자는 자사의 문인에게 학업을 받았다.
하씨(하안)가 말하였다. “노나라 논어는 20편이다. 제나라 논어는 <문왕>편과 <지도>편이 따로 있어 모두 22편이다. 그 20편 안의 장구가 노나라 논어보다 꽤 많다. 옛 논어가 공씨의 벽 속에서 나왔는데 <요왈> 아래의 장인 자장문을 나누어서 한 편으로 만들어 두 개의 <자장>편이 있으니 모두 21편으로 편차가 제나라 논어와 같지 않다.”
程子曰: “≪論語≫之書, 成於有子曾子之門人, 故其書獨二子以子稱.”
정자가 말하였다. “≪논어≫란 책은 유자, 증자의 문인들에게서 만들어졌으므로 그 책에서 오직 두 선생만 선생이라고 부른다.”
정자가 말하였다. “≪논어≫를 읽을 때, 다 읽고 전혀 아무 일도 없는 자가 있고, 다 읽은 뒤에 한두 구절을 깨달아 기뻐하는 자가 있으며, 다 읽은 뒤에 논어를 좋아할 줄 아는 자가 있고, 다 읽은 뒤에 곧장 손이 춤추고 발이 뛰는 것을 알아채지도 못하는 자가 있다.”
程子曰: “今人不會讀書. 如讀≪論語≫, 未讀時是此等人, 讀了後又只是此等人, 便是不曾讀.”
정자가 말하였다. “지금 사람들은 책을 읽을 줄 모른다. 만약 ≪논어≫를 읽을 때, 아직 읽지 않았을 때에도 이 정도 사람이고, 다 읽은 뒤에도 그저 이 정도 사람이면 아직 읽지 않은 것이다.”
程子曰: “頤自十七八讀≪論語≫, 當時已曉文義. 讀之愈久, 但覺意味深長.”
정자가 말하였다. “내가 17 - 18세때부터 ≪논어≫를 읽었는데 그때 이미 글의 의미는 깨달았다. 독서가 더욱 길어졌을 때 다만 의미가 깊고 크다는 것을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