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道(導)1)千乘之國2), 敬3)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전차 1,000대를 가진 나라를 지도하려면 일을 신중히 하여 믿음을 얻고, 비용을 절약하여 사람들을 사랑해주고, 백성에게 일을 시키되 제때(농한기)에 해야 한다."


1) (dǎo) 지도하다, 인도하다.

2) (shèng) 전차. 전차 1,000대를 운용할 수 있는 규모의 제후 국가.

3) 신중(愼重)히 하다.

4) 제때에, 적절한 시기에. 농한기(農閑期)를 가리킨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1RRUuRyIVIQ

모성재에서 월운 씀

 

曾子1)曰: "吾日三2)3)吾身

爲人謀而不忠4)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5)?"

증자가 말하였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다른 사람을 위하여 일을 계획할 때 진실하지 못했는가? 

친구들과 사귀는데 믿음직하지 못했는가? 

전수 받고도 익히지 못했는가?"


1)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 자()는 자여(子輿)이다. 이름자인 ''이 ''을 나타낸 것으로 보고 '증참'으로 읽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효()를 잘 이해했다고 한다.

2) 주희는 다음에 나오는 세 가지 항목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세 가지로'라고 풀이했으나 '세 차례, 수차례, 여러 번'이라는 의미일 가능성이 높다.

3) '성'으로 읽고 '반성하다, 성찰하다, 살피다'로 풀이한다.

4) 진실하다

5) 역대로 이설이 많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zZB523f6Nj4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巧言令1)色, 鮮2)矣仁3)."

스승께서 말씀하셨다. "말을 교묘히 꾸미고 안색을 좋게 짓는 이들 가운데 인(仁)한 이는 드물다."


1) 아름답게 하다, 좋게 하다.

2) 드물다, 적다. 尟 참고.

3) "仁鮮矣"의 도치.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ad5JX8YmdAU

모성재에서 월운 씀

有子1)曰:

"其爲人2)3)孝弟(悌),而好犯上4)者, 鮮5)6);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7)8).

유자가 말하였다.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손한데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적다.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悌)也者, 其爲仁之本與9)."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서고 도가 생겨난다. 효도와 공경이란 것은 아마 인(仁)을 행하는 근본일 것이다.”


1) 공자의 제자 유약(有若). 자(字)는 자유(子有). 예()를 잘 이해했다고 한다.

2) 사람됨, 인간성.

3) 문장의 가운데에서 일시적인 정지를 나타낸다.

4) 윗사람.

5) 드물다, 적다.  참고.

6) 문장의 종결과 변화(추측)의 어기를 나타낸다.

7) '有之'(그것이 있다)의 도치. (과거 부정)라는 부정어로 인해 대명사가 도치되었다.

8) 문장의 종결과 지속의 어기를 나타낸다.

9) 는 문장의 종결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참고. '~'는 수사 의문문으로 "아마 ~일 것이다."라고 풀이한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SVezUViLmPE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