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攻1)2)異端, 斯害也已.”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단을 전공하면 이에 해로울 뿐이다.”


1) 攻: 전공하다, 연구하다. 정주본(定州本)에는 功으로 되어 있다.

2) 乎: ~에 대해. Cf) 于, 乎. 또는 영어의 major in의 in을 참고하라.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5SbUoQ41ja4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없고, 생각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O7OSmeczntI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君子周1)而不比2), 小人比而不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두루 잘 지내고 편당하지 않으며 소인은 편당하고 두루 잘 지내지 않는다.”


1) 周: 두루두루 잘 지내다.

2) 比: 끼리끼리만 지내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MBm5-lXUuTU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貢問君子. 子曰: “先行其言, 而後從之.”

자공이 군자를 물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그 말을 행하고 나중에 (그 말이 행동을) 따르게 하는 것이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MBm5-lXUuTU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