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夏問孝. 子曰: "色難. 有事, 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 曾是以爲孝乎?"

자하가 효를 물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색을 살피기가 어려우니 일이 있으면 젊은 사람들이 그 수고로운 일에 힘쓰고 술과 밥이 있으면 먼저 태어나신 분께 드시게 하는 것, 일찍이 이것을 효라고 여겼는가?”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oFX3LvuniC0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游1)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자유가 효를 물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금의 효라는 것, 이것은 잘 부양하는 것을 말한다. 개와 말에 이르러서도 모두 잘 사육하는 것이 있으니 공경하지 않으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1) 子游: 공자의 제자 언언(言偃)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oFX3LvuniC0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孟武伯1)問孝. 子曰: "父母唯其疾之憂2)."

맹무백이 효를 물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는 오직 그 병을 근심하신다.”


1) 孟武伯: 노나라 대부 맹의자의 아들.

2) 唯其疾之憂: '唯목적어之술어' 구조.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oFX3LvuniC0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孟懿子1)問孝. 子曰: "無違."

맹의자가 효를 물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김이 없는(어기지 않는) 것이다.”

樊遲2)御,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 事之以禮; 死, 葬之以禮, 祭之以禮."

번지가 수레를 몰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그를 불렀다. “맹손(맹의자)이 나에게 효를 물었는데, 내가 대답하길 ‘어김이 없는(어기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다.” 
번지가 말했다. “무엇을 말씀하신 건가요?”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살아계시면 섬기기를 예로 하며, 돌아가시면 장례를 예로 지내며, 제사를 예로 지내는 것이다.”


1) 孟懿子: 노나라 대부.

2) 樊遲: 공자의 제자 번수(樊須).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oFX3LvuniC0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