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人而1)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인하지 않다면 예법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이며 사람이 인하지 않다면 음악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인가?”


1) 종속절 명제와 상반되는 전제를 포함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논어≫ <술이>에 나오는 "富而可求也"라는 문장은 "부는 구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여기의 "人而無信"은 "사람은 신의가 없어선 안 된다"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고대중국어 문법론≫ (梅廣 저, 박정구 등 역) 214쪽 참고.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QB5VqaFetzQ

모성재에서 월운 씀

三家者以<雍(雝)>1)徹(撤)2).

子曰: “‘相3)4)辟公, 天子穆穆5).’ 奚取於三家之堂?”

세 집안 사람들이 〈옹〉음악으로 철상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돕는 이는 임금들이며 천자께서는 거룩하시다’(라는 가사)를 어찌 삼가의 당에서 취하는가?”


1) 雍: 시 〈옹(雝)〉 음악.

2) 徹: 철상하다, (제사상을) 거두다. Cf. 撤.

3) 相: 돕다. 

4) 維: 1. 영어의 is와 같은 계사설.  2. 초점을 표시하는 강조의 어기사설.

5) 穆穆: 심원하다, 거룩하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eaBgX2lDRu8

모성재에서 월운 씀

팔일무

孔子季氏: “八佾1)舞於庭, 

是可忍也, 孰2)不可忍也?”

공자께서 계씨에 대해 말씀하셨다. “여덟 줄로 뜰에서 춤을 추니 

이것이 용인할 만하다면 무엇이 용인되지 못하겠는가?”


1) 佾: 줄.

2) 孰: 무엇.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Unyj7yvBaQo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非其1)鬼而祭之, 諂2)也; 見義不爲, 無勇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귀신이 아닌데 제사 지내는 것은 아첨하는 것이다. 의로운 일을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1) 其: 제대로 된.

2) 諂: 아첨하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_mBYIH7u5fY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