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君子不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MBm5-lXUuTU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溫1)2)而知新, 可以爲師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스승이 될 수 있다.”


1) 溫: 익히다.

2) 故: 옛 것.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www.youtube.com/watch?v=5BjxsnxO2Gk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視其所以1), 觀其所由, 察其所安, 人焉廋2)哉? 人焉廋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가 하는 바를 보며, 그가 거쳐가는 바를 자세히 보며, 그가 편안해 하는 바를 잘 살펴 보면, 사람이 어찌 숨기겠는가? 사람이 어찌 숨기겠는가?”


1) 以: ~로써 하다.

2) 廋: 숨기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www.youtube.com/watch?v=ma0ByYhiX3s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吾與1)言終日, 不違如愚. 退而省其私, 亦足以發2). 也, 不愚.”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안회와 대화를 하루종일 했는데 어기지 않아 바보 같았다. 물러나서 그 사생활을 살펴보니 역시 충분히 실천하고 있었다. 안회는 바보가 아니다.”


1) 回: 공자의 제자 안연(顏淵)

2) 發: 발명하다, 실천하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www.youtube.com/watch?v=v2ImK4tHEuE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