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갑골문을 보면 農은 본래 잡초와 농기구 辰을 조합하여 농사라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이후 금문에서 田이 추가되었다. 소전체에서는 잡초가 손모양 𦥑으로, 田이 囟으로 잘못 변했다. 이후 윗 부분이 다시 간략화되어 曲 모양이 되었다. 


https://youtu.be/y0XyA2hiUJI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予와 呂는 동원(同源: 동일한 기원) 관계이다. 呂는 본래 금속 덩어리를 상형하여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가차의 원리로 {나(1인칭)}라는 단어를 기록하게 되자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형태 자체를 바꾸어 予로 분화시켰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후한 말 경학자 허신이 편찬한 ≪설문해자≫에는 予를 상하반전시킨 𠄔(幻)이라는 글자가 있다. 허신은 "서로 속이고 미혹하는 것이다. 거꾸로 된 予의 의미를 따른다."라고 해석하였으나 이는 옳지 않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幻의 고문자 자형을 보면 왼쪽에 실타래가 있고 오른쪽에 곡선이 붙어있는 형태이며, 予나 呂의 자형과 전혀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언어학자 장스차오(張世超)는 활 시위를 상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https://youtu.be/tlhHmIVo1WE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逆의 갑골문은 아랫 부분은 이동을 의미하는 辶, 윗 부분은 大의 상하반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大는 성인 남성을 상형하여 만든 글자이다. 성인 남성은 아이나 여성보다 체구가 크기 때문에 '크다'라는 단어를 기록할 수 있었다. 이 大의 위아래를 거꾸로 하면 逆의 윗 부분이 된다. 따라서 逆은 '거스르다, 반대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고대 중국어에는 양입대전이라는 음운 현상이 있었다. 양입대전이란 비음으로 끝나는 음절이 파열음으로 끝나는 음절과 교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비음(-ng)으로 끝나는 迎은 파열음(-k)으로 끝나는 逆과 어원적으로 연관이 있다. 또한 반대편은 맞은편을 가리키고, 맞은편이 곧 반대편이므로 의미상으로도 연관이 있다. 결론적으로 逆은 '맞이하다'라는 의미 역시 가진다.


https://youtu.be/CGBIhLPTPcA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史와 관련이 있는 글자는 叓(事), 使, 吏 등이 있다. 이 네 개의 글자들은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다. 갑골문을 보면 아랫 부분은 손을 의미하는 又, 윗 부분은 사냥도구를 본뜬 것이다. 이것이 사냥도구라는 증거는 敢에서 찾을 수 있다. 敢의 갑골문은 윗 부분은 豕, 아랫 부분은 역시 사냥도구로 이루어져 있다. 앞에 나서서 사냥도구로 야생동물을 잡는 행위가 용감(勇敢)하다는 것이다. 샤냥은 과거에 중요한 일이었기 때문에 여기서 일하다, 종사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

따라서 일이라는 의미는 事로 나타내고, 사건의 기록, 즉 역사라는 의미는 史, 일을 시키다라는 의미는 人을 붙여서 使, 그 일을 하는 사람은 吏를 통해 나타내게 되었다.


https://youtu.be/788qRTcZVSM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