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는 한 글자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번엔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본의(本義)란 최초에 나타내었던 의미를 뜻한다.

 

해(천체)

달(천체)

정벌하다

오른손

 

본의에서 파생을 통해 의미가 추가되는데 이것을 인신의(引伸義)라고 한다.1) 파생으로 통해 만들어진 의미이기 때문에 인신의는 본의와 관련이 깊다. 즉, 한 글자가 표시하던 단어가 다의어가 되면서 의미가 자연히 늘어난 경우이다.

 

해(천체) → 날(시간)

달(천체) → 달(시간)

정벌하다 → 바르게 하다

 

반면 본래 글자와 전혀 상관없으나 발음의 유사성으로 인해 글자를 빌려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가차의(假借義)라고 한다. 다시 말해 가차는 동음어(혹은 유사한 음의 단어)를 음차함으로써 의미가 늘어난 것이다.2)

 

코 → 스스로

새 → 어조사(=)

오른손 → 또

 

다시 말해 한 글자가 여러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는 1. 해당 글자가 나타내는 단어의 뜻이 늘어난 경우(인신), 2. 해당 글자가 나타내는 단어와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이의어(異義語)가 그 글자를 빌린 경우(가차)가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른바 일자다용(一字多用)이라는 현상이다. 는 본래 여자라는 뜻을 가진, 발음은 /*nraʔ/ 3)인 단어를 나타낸다. 그런데 어머니라는 뜻을 가진, 발음인 /*məʔ/ 4)인 단어에도 사용되었다. 이것이 한 글자를 여럿으로 쓰는 일자다용이다. 이것은 인신도 가차도 아닌 현상이다.

 

즉 인신, 가차, 일자다용으로 인해 하나의 한자가 여러 뜻, 혹은 여러 단어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1)​ 인신의를 파생의로 고쳐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인의 의견이 있다.

2) 가차는 음차와 같은 원리이나 현재는 보통 외래어에 대해 음차 내지는 음역이라는 용어를 쓰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3) 의 상고 중국어 발음. 중국의 언어학자 정장상팡(鄭張尚芳, 1933 - 2018)의 저서 ≪상고음계(上古音系)≫의 재구음을 따랐다.

4) 의 상고 중국어 발음. 같은 재구음을 따랐다.

모성재에서 월운 씀

많은 사람들이 한자가 표의문자(表意文字, ideogram)라고 말한다.1) 이는 한자가 뜻[idea]을 나타내는 문자라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는데 여기에는 문제가 있다. 일단 한자는 뜻만을 나타내지 않는다. 더 자세한 논의를 위해 문자란 무엇인지를 우선 명확히 하겠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문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인간의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

 

여기서 키워드는 언어와 기호이다. 문자란 언어가 담겨 있는 기호라는 의미이다. 자연어(natural language)는 공기의 진동, 즉 말소리를 매개로 전달된다. 문자의 발생이 필연적으로 언어의 발생보다 늦다는 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문자는 말소리를 기록하는 체계가 된다. 한자라고 다르란 법은 없다. 아래의 예시를 보라.

도상과 문자

이것은 중국의 언어학자 탕란(唐蘭, 1901~1971)이 그의 저서 중국 문자학(中國文字學)에서 제시한 사진이다. 왼쪽은 동굴 벽화, 다시 말해 그림이다. 반면 오른쪽은 갑골문으로 오른쪽에서부터 [인: 사람], [사: 쏘다], 鹿[록: 사슴]이다. 둘은 언뜻 보면 별 차이가 없는 듯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혀 다른 것이다. 왼쪽의 그림은 의미를 담고 있긴 하다. 그러나 언어가 담겨 있지는 않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 “사람이 사슴을 쏘다.”, “사슴이 사람에게 맞다.”, “사람이 사슴을 위협하다.”, “사람이 사슴을 쫓아내다.” 등등 매우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반면 오른쪽의 갑골문자는 고대 중국어의 문법 체계를 이해하고 갑골문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사람이 사슴을 쏘다.”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언어가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왼쪽의 사진은 차라리 픽토그램(pictogram)​​2)에 더 가깝다.

 

이제 문자가 무엇인지는 알아보았으니, 한자는 어떤 유형의 문자인지 밝힐 차례이다. 우리가 문자의 유형을 분류할 때는 그 문자가 표기하는 언어의 어떤 부분과 대응되는지를 본다. 한글 자모는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에, 로마자(Latin alphabet)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자음과 모음에 대응된다. 이 둘은 자음과 모음, 다시 말해 말소리의 최소 단위인 음소(音素, phoneme)를 나타내기 때문에 음소문자(alphabet)로 분류된다. 가나(假名) 문자는 일본어의 음절에 대응되기 때문에 음절문자(syllabary)로 분류된다. 음소문자와 음절문자 모두 해당 언어의 소리하고만 대응하는 표음문자(表音文字, phonogram)이다. 그렇다면 한자는 어떨까?

 

미국의 중국학자 존 드프랜시스(John DeFrancis, 1911 - 2009)는 그의 저서 "중국어: 사실과 환상(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Chinese characters represent words (or better, morphemes), not ideas, and they represent them phonetically, for the most part, as do all real writing systems despite their diverse techniques and differing effectiveness in accomplishing the task.

한자는 단어(더 알맞게는, 형태소)를 나타내지 뜻을 나타내지는 않고, 대부분의 경우, 역할 완수에 있어 다양한 기술과 상이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실질적인 문자 체계가 그러하듯 한자는 형태소를 음성적으로 나타낸다."

 

"Boodberg has suggested that it be replaced by the term "logographic,"……

부드버그3)는 이것이 '표어문자'(表語文字, logogram)라는 용어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I think we should therefore answer the question posed at the beginning of this section by saying that Chinese characters have evolved from pictographic symbols to a morphosyllabic (or possibly syllabomorphemic) system of writing.

나는 그러므로 우리가 이 부분의 처음에 제기된 질문(From Pictographs to What?)에 ‘한자는 도상적(圖像的)인 기호에서부터 형태소-음절(혹은 음절-형태소) 체계의 문자로 진화했다’고 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의 논의와 같이 한자는 중국어의 형태소[語素]와 대응되며 대개의 경우 음성적인 방식으로 의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래: 오다]는 ‘보리[]’를 상형한 문자이다. 그렇기에 본래 의미도 {보리}였다. 원래는 보리 그림과 는 차이가 거의 없었을 것이다. 그러다 어느 순간 {보리}를 의미하는 고대 중국어 단어인 /*mrɯːɡ/ 4)와 연결되면서 언어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는 문자의 모양뿐만 아니라 소리까지도 의미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여기까지만 들어서는 아직 한자의 음성적인 기능이 크다는 사실을 납득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기서 훗날 가차(假借)라고 명명되는, 음성적 차용(phonetic loan)이 일어난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오다}라는 단어가 우연히도 /*m·rɯːɡ/ 5)으로 발음되었다. 그러나 그때 아직 {오다}에 대응되는 글자가 존재하지 않았는데 두 단어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라는 글자를 빌려서 {오다}도 표기하게 되었다. {오다}라는 단어와 라는 글자가 연결된 것은 단순히 음성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자는 많은 경우에 중국어의 단어(간혹 형태소)와 대응하며, 그 발음은 단음절(monosyllable), 즉 하나의 음절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한자를 단순히 표의문자로 볼 것이 아니라 표어문자, 더 정확히는 형태소-음절 문자로 분류해야 한다.


1) 한자를 상형문자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한자의 조자(造字) 원리를 공부하고 나면 틀린 말임을 너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이 게시글에서는 다루지 않겠다.

2)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를 직접적으로 묘사한 그림. 컴퓨터의 아이콘, 올림픽의 종목별 표지, 비상구 표지, 남녀 화장실 표지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3) 미국의 중국학자 피터 A. 부드버그(Peter A. Boodberg, 1903 - 1972)를 가리킨다.

4) 의 상고 중국어 발음. 중국의 언어학자 정장상팡(鄭張尚芳, 1933 - 2018)의 저서 ≪상고음계(上古音系)≫의 재구음을 따랐다.

5) 의 상고 중국어 발음. 같은 재구음을 따랐다.

모성재에서 월운 씀

1. Ctext: https://ctext.org/zh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歡迎 歡迎您來到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首頁。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是一個線上開放電子圖書館,為中外學者提供中國歷代傳世文獻,力圖超越印刷媒體限制,通過電子科技探索新方式與古代文

ctext.org

정식명은 Chinese Text Project이다. 중국고전의 원문과 일부 번역을 볼 수 있다. 좌측 상단에서 영어, 중국어(번체), 중국어(간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先秦兩漢(진나라 이전과 서한, 동한 시기)에서는 서주 시기와 춘추전국시대를 비롯한 먼 옛날의 문헌을 볼 수 있고, 漢代之後(한나라 시대 이후)에서는 위진남북조부터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 등을 거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지금과 비교적 가까운 옛날의 글을 싣고 있다. 카테고리는 사상서의 경우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 학파 별로 나뉘어져 있다. 역사서류와 사전류는 각각 史書, 字書로 따로 분류했으며 ≪시경≫, ≪상서(서경)≫, ≪주역≫ 등 춘추전국시대에도 이미 고전이었던 문헌들은 經典文獻에 들어가 있다. 눈여겨볼 만한 것은 곽점초묘와 마왕퇴에서 각각 발견된  ≪노자≫ 판본 두 가지를 出土文獻에 싣고 있다는 점이다. 漢代之後부터는 시대별로 글을 나누었다. 송나라 때 주희의 ≪사서장구집주"와 ≪주자어류"가 볼 만하다. 검색은 좌측 하단에서 가능하며, 내용으로 검색할 경우 카테고리를 선택한 뒤 찾으려고 하는 원문을 넣으면 된다. 바로 아래에서는 책 이름으로 검색도 가능하다.  

 

2. Kanripo: https://www.kanripo.org/

 

Kanripo 漢籍リポジトリ :

About Kanseki Repository Important note [2015-11-22]: This website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Please do not base an evaluation of its content or functionality on the current state, which might change every day. Blackouts and Failures are also expected

www.kanripo.org

한적 리포그램의 일본 발음을 줄여서 붙인 이름이다. 사고전서 검색이 가능하다. Catalog에서 찾으려는 문헌이 포함된 파트를 선택하면 전체 목록을 볼 수 있다. 검색은 페이지 상단에서 가능하며 Title Search(제목 검색)보다는 Text Search(내용 검색)이 정확한 편이다.

 

3. 동방미디어: https://www.koreaa2z.com/#

 

동방미디어

한국고전시가 겨레의 얼이 담긴 시가 문학의 정수! 한국 고전시가를 시대별 · 장르별 수록! 한시(漢詩)의 형태로 남겨진 고대가요(古代歌謠)를 제외하고, 우리 문학사에 가장 먼저 떠오른 향찰(

www.koreaa2z.com

한국학 데이터베이스에서 '역사/고전'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고전 원문과 번역을 이용할 수 있다. 볼 만한 것은 성백효 역주의 사서삼경과 ≪고문진보≫, ≪소학≫, ≪효경≫ 등이 있다. 간혹 글자 가운데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은 텍스트가 아니라 이미지로 구현해 놓은 것이 있으므로 복사해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또 항목 가운데 누락된 것이 간혹 존재한다.

 

4. 동양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동양고전종합DB

동양고전 번역서 동양고전 읽기가 쉬워졌습니다. 원문, 번역문, 주 보기 옵션 선택이 가능하고 나란히보기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원문이 긴 경우 문단 단위로 서비스합니다.

db.cyberseodang.or.kr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동양고전 번역서 및 영상 강의를 볼 수 있다. 서명별로 찾기를 추천한다. 유학 경전 외에도 당나라, 송나라 시대 문학가들의 작품이나 순자,  한비자 등 제자백가들의 사상서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춘추좌씨전≫이나 ≪동래박의≫도 볼 만하다. 특히 ≪논어주소≫를 포함한 13경 주소를 서비스하고 있다.

 

5. 한문독해첩경: https://h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list1.asp

 

한문독해첩경

도서별 심화학습 최근 토론 토론내용 문장/일시 늘 잘 참고하고 있씁니다. 해당 페이지에 null 값이 뜹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孟子: 智譬則巧也 聖 ~2021-01-13 네 질문 감사합니다. 아직 본 서비

hm.cyberseodang.or.kr

역시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한다. 현재(2021년 7월) 기준으로 베타 버전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제한이 다소 있다. 한때 유행했던 패턴 학습법을 한문에 적용시켜서 공부할 수 있는 ≪한문독해 기본패턴≫과 ≪사서 독해첩경≫을 이용 가능하다. 또 사서의 언해와 한자의 뜻음, 풀이를 볼 수 있다. 또 서명별 동양고전에 들어가면 ㄷ 항목에서 확인 가능한 ≪동양고전 해제집≫도 참고할 만하다.

 

6.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 https://db.itkc.or.kr/

 

한국고전종합DB

 

db.itkc.or.kr

한국고전번역원의 데이터베이스이다. 고전번역서 다수와 한국문집총간의 원문과 번역을 볼 수 있다. 사전류 카테고리에 보이는 고전번역서 각주정보, 고전용어 시소러스, 이체자 정보 등이 유용하다. 부가서비스로 있는 한중일 연호검색과 경서성독도 참고할 만하며 최근 화제가 되었던 한문고전 자동번역기(현재는 승정원일기와 천문고전만 가능)도 역시 이 항목에서 이용할 수 있다.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

 

db.history.go.kr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원문과 번역문, 원본 이미지를 볼 수 있다. 그외에도 시대별, 형태별, 가나다 순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8. 샤오쉐탕(小學堂, 소학당): https://xiaoxue.iis.sinica.edu.tw/

 

小學堂

 

xiaoxue.iis.sinica.edu.tw

한자학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다. 한자의 형태와 관련된 자료가 많다. 字形에 찾고 싶은 한자를 넣으면 이체자(異體字), 자형연변(字形演變), 소전, 금문, 갑골문 등 고문자 자형 등을 볼 수 있다. 추가로 고대의 한자 발음이나 현대 중국어 방언, ≪강희자전≫ 검색 등 여러 기능이 있다.

초기 화면

 

9. 윈뎬왕(韻典網, 운전망): https://ytenx.org/

 

韻典網

韻典網是一個綜合韻書查詢工具,包含廣韻、中原音韻、洪武正韻牋、分韻撮要和上古音系。韻典網電報討論羣t.me/ytenx。 更多介紹… 廣韻 大宋重修廣韻是公元1008年,由陳彭年等人奉詔,據切

ytenx.org

한자의 발음에 대한 정보가 많으며 중국어 역사 음운학을 공부할 때 도움이 된다. ≪광운(廣韻)≫, ≪洪武正韻牋≫ 등 운서를 검색할 수 있다. 한자의 발음이나 성조 차이에 의한 의미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王은 평성으로 읽을 때 '임금', 거성으로 읽을 때 '통치하다'라는 의미이다. 

 

10. 둥팡위옌쉐(東方語言學, 동방언어학): http://118.24.95.172/

 

eastling

 

118.24.95.172

중국 언어학에 관련된 사이트이다. 현대 중국어 방언이나 소수민족언어도 검색할 수 있으며, 语言学文库에서는 언어학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中古音查询上古音查询에서 한자의 고대 발음에 대한 학자들의 재구를 비교해서 볼 수 있다. 중고음이나 상고음을 검색할 때 참고하기 좋다.

상고음(上古音) 검색


https://youtu.be/Z4ao86LsjS4

모성재에서 월운 씀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 교과서  (0) 2022.05.23
답사 자료집(경남 진주시)  (0) 2022.03.28
애오잠(愛惡箴)  (0) 2021.10.10
한국어문회 8급 한자  (0) 2021.07.12
한문(문언문) 공부 참고서 추천  (0) 2021.06.30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힘에 있으며 백성들을 새롭게 함에 있으며 지극한 선(善)에 머무름에 있다.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머무를 데를 안 뒤에 정함이 있게 되니 정해진 뒤에 고요해질 수 있으며 고요해진 뒤에 편안해질 수 있으며 편안해진 뒤에 생각할 수 있게 되며 생각한 뒤에 깨달을 수 있다.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물(物)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事]에는 끝과 시작이 있으니 먼저 하고 뒤에 할 바를 알면 도에 가까울 것이다.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欲齊其家者, 先脩其身; 欲脩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在格物.

옛날 천하 사람들에게 밝은 덕을 밝히고자 한 자는 먼저 그 나라를 다스렸고, 그 나라를 다스리고자 한 자는 먼저 그 집안을 동등하게 대했고, 그 집안을 동등하게 대하고자 한 자는 먼저 그 자신을 수양했고, 그 자신을 수양하고자 한 자는 먼저 그 생각을 채웠고, 그 생각을 채우고자 한 자는 먼저 그 앎을 지극하게 하였으니, 앎을 지극하게 함은 사물에 도달함에 있다.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脩, 身脩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天下平.

사물이 도달된 뒤에 앎이 지극해지고, 앎이 지극해진 뒤에 생각이 채워지고, 생각이 채워진 뒤에 마음이 바르게 되고,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 자신이 수양되고, 자신이 수양된 뒤에 집안이 동등하게 대해지고, 집안이 동등하게 대해진 뒤에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나라가 잘 다스려진 뒤에 천하가 평안하게 된다.

 

自天子以至於庶人, 壹是皆以脩身爲本.

천자로부터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이 다 자신을 수양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其本亂而末治者否矣, 其所厚者薄, 而其所薄者厚, 未之有也.

그 근본이 어지러운데 말단이 잘 다스려지는 경우는 없으며, 그 후하게 대할 자에게 박하게 대하고 박하게 대할 자에게 후하게 대하는 경우는 있지 않았다.


대학장구 경 1장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22

https://youtu.be/wKoMXz4U7tc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