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射不主皮, 爲力不同科, 古之道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활을 쏠 때 가죽(뚫기)을 주로 하지 않는 것은 힘이 같은 등급이 아니기 때문이니 옛날의 활쏘는 방도이다.”


1) 皮(피): ‘가죽 뚫기’
2) 爲(위): 거성(wèi)으로 읽고 ‘때문에’라고 풀이한다.
3) 科(과): 등급.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HsXFaNqtCKo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入大廟, 每事問.

或曰: "孰謂鄹人之子知禮乎? 入大廟, 每事問."

子聞之曰: "是禮也."

공자께서 태묘에 들어가셔 모든 일을 물어보셨다.

어떤 이가 말하였다. “누가 추땅 사람의 자식을 예를 안다고 말했는가? 태묘에 들어가서 모든 일을 물어보는구나.”

공자께서 듣고 말씀하셨다. “이것이 예이다.”


1) 大廟: ‘태묘(太廟).’ 역대 군주들을 모신 국가 사당이다.
2) 孰(숙): ‘누구.’
3) 鄹(추): 노나라 읍 이름. 공자의 아버지가 예전에 그곳에서 대부 벼슬을 했다. 추땅 사람의 자식은 공자를 촌놈이라고 무시하는 말이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mpMScfGL684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주나라가 하나라, 상나라 2대를 귀감 삼았으니 성대한 문화로다! 나는 주나라를 따르리라.”


1) 監: ‘귀감 삼다, 본받다.’
2) 郁郁乎: ‘성대한 모양’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6CQHsZQ9SMY

모성재에서 월운 씀

王孫賈問曰: "與其媚於奧, 寧媚於竈, 何謂也?"

子曰: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

왕손가가 물었다. “‘아랫목에 잘보이기보다는 차라리 부엌에 잘보이는 게 낫다’라고 하니 무엇을 말한 것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하늘에 죄를 얻으면 빌 곳도 없다.”


1) 王孫賈: 위나라 대부.
2) 媚: ‘아첨하다, 잘보이다.’
3) 禱: ‘기도하다, 빌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caDdv69Fyzw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