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君子懷1)德, 小人懷土2); 君子懷刑3), 小人懷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덕을 마음에 품고 소인은 땅(처지)을 마음에 품으며, 군자는 법을 마음에 품고 소인은 은혜 받을 것을 마음에 품는다.”


1) 품다, 생각하다.

2) 땅, 처지.

3) 형벌, 법.


이인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DxL6mpNKP6U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君子之於1)天下也, 無適2)也, 無莫3)也. 義之與比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천하를 대함(다스림)은 무조건 알맞다고 하는 것도 없고 무조건 안 된다고 하는 것도 없어서 오직 의로움을 따른다.”


1) 대하다.

2) 알맞다고 여기다.

3) 안된다고 여기다.

4) 與義比의 도치.


이인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K8J0NthVHZ0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士志於道而恥1)惡衣惡食者, 未足2)與議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士, 관료)가 도에 뜻을 두고서도 안 좋은 옷과 안 좋은 음식을 싫어하는 자는 아직 함께 의논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1) 부끄럽다고 여기다.

2) 충분하다.


이인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Sns__UW21CM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朝聞道, 夕死可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한 곳에 사는 것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인한 곳에서 지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로울 수 있겠는가?”


이인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amDLogBoctk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