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君子無所爭, 必也1)射乎. 

2)讓而升, 下而飮, 其爭也君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다투는 것이 없으나 반드시 해야 한다면 사격일 것이다. 

읍하며 사양하고 올라가 (활을 쏘고) 내려와서 술을 마시니 그 경쟁이 군자답다.”


1) 必也: 반드시 한다면.

2) 揖: 읍하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ce7D9j4EDw8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季氏1)泰山.

子謂冉有2)曰: “女(汝)弗能救與?”

對曰: “不能.” 

子曰: “嗚呼! 曾謂泰山不如林放乎?”

계씨가 태산에 여 제사를 지냈다. 

공자께서 염유(염구)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구제할 수 없었느냐?” 

염유가 대답했다. “할 수 없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 일찍이 태산(의 신령)이 임방만 못하다고 여겼는가?”


1) 旅: 여 제사.

2) 冉有: 공자의 제자 염구(冉求), 자(字)가 자유(子有).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Gs1DpYPDep4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夷狄之有君, 不如1)諸夏之亡2)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민족에게 임금이 있는 것은 중원 국가들에 (임금이) 없는 것과 같지 않다.”


1) A不如B: A는 B만 못하다.

2) 亡: 없다. (무)로 읽기도 하고 혹은 罔과 같이 (망)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설도 있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iGdD6vPPmhQ

모성재에서 월운 씀

林放問禮之本. 
子曰: “大哉問! 禮, 與其奢也, 寧儉1); 喪, 與其易2)也, 寧戚(慽)3).”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위대한 질문이구나! 예법은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한 것이고, 상례는 쉽게 잘 처리하기보다는 차라리 슬퍼하는 것이다.”


1) 與其A寧B: A하기보다는 차라리 B하다.

2) 易: (이). 쉽게 잘 처리하다.

3) 戚: 슬퍼하다. Cf. 慽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lekXuSKUXjs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