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갑골문을 보면 農은 본래 잡초와 농기구 辰을 조합하여 농사라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이후 금문에서 田이 추가되었다. 소전체에서는 잡초가 손모양 𦥑으로, 田이 囟으로 잘못 변했다. 이후 윗 부분이 다시 간략화되어 曲 모양이 되었다. 


https://youtu.be/y0XyA2hiUJI

모성재에서 월운 씀

合9742

合9742正 탁본
合9742正 석문

①甲午卜(賓)貞: 西土受年.

갑오일에 균열을 내어 빈(賓)이 점친다. 서쪽 땅에 풍년이 들 것이다.

②貞: 西土不其受年.

점친다. 서쪽 땅에 아마도 풍년이 들지 않을 것이다.


참고자료

김혁,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김현철, 김시연, 김태은, 중국어학입문

최영애, ≪한자학강의

張玉金 , 최남규 외 편, ≪갑골문의 어법적 이해

郭末若主編, 胡厚宣總編輯, ≪甲骨文合集≫ 

劉釗, ≪古文字構形學≫

———, ≪新甲骨文編≫

劉釗, 馮克堅, ≪甲骨文常用字字典≫

裘錫圭, ≪文字學槪要≫

———, ≪裘錫圭學述文集≫


 

合12487

合12487正 탁본

 

천리로(千里路, 배딱지 한 가운데로 지나는 세로선)를 기준으로 오른쪽을 ①, 그것과 대칭을 이루는 왼쪽을 ②, ①의 바로 오른쪽을 ③, 천리로 바로 오른쪽을 ④라고 하자. 

合12487正 석문


①癸子(巳)卜爭貞今一月雨.

계사일에 균열을 내어 쟁(爭)이 점친다. 지금 한 달에 비가 내린다.

②癸子(巳)卜爭貞今一月不其雨.

계사일에 균열을 내어 쟁(爭)이 점친다. 지금 한 달에 아마도 비가 내리지 않는다.

③王占曰: "丙雨."

왕이 점괘를 보고 말하였다. “병일에 비가 내린다.”

④旬壬寅雨甲辰亦雨.

열흘 뒤 임인일에 비가 내렸고 갑진일에도 비가 내렸다.

合12487反 탁본
合12487反 석문


①己酉雨辛亥亦雨

기유일에 비가 내렸고 신해일에도 비가 내렸다.

②雀入(納)二百五十

작(雀)이 250개를 공납하였다.


참고자료

김혁,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최영애, ≪한자학강의

張玉金 , 최남규 외 편, ≪갑골문의 어법적 이해

郭末若主編, 胡厚宣總編輯, ≪甲骨文合集≫ 

劉釗, ≪古文字構形學≫

———, ≪新甲骨文編≫

劉釗, 馮克堅, ≪甲骨文常用字字典≫

裘錫圭, ≪文字學槪要≫

———, ≪裘錫圭學述文集≫


https://youtu.be/dJQAIMM_SoM

모성재에서 월운 씀

본 게시글의 이미지를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블로그 이름URL 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갑골문자 개요

갑골문(甲骨文)은 상나라의 문자로 점을 칠 때 사용했다. 주로 거북 껍데기이나 소뼈에 새겼으며, 거북 껍데기 절대 다수가 배딱지였다. 등딱지가 아니다. 등딱지보다 배딱지가 더 평평하므로 문자를 새기기 편하다.

(왼쪽) 등딱지  (오른쪽) 배딱지

소의 경우는 어깨뼈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소 골격도

 

合6654

(왼쪽) 合6654 실물  (오른쪽) 착(鑿)과 찬(鑽)

이란 ≪甲骨文合集≫을 말한다. 그외에도 殷墟文字丙編≫, 殷墟花園莊東地甲骨≫ 등 여러 갑골판을 모아둔 서적이 있다. 갑골문은 앞부분을 , 반대쪽 뒷부분을 으로 표현한다. 뒷면에는 구멍이 있다. 바로 착()과 찬()이다.

착()은 대추씨 모양으로 생긴 홈이고, 찬()은 동전 모양이다. 그 둘을 포개지게 판 뒤, 불을 지져서 가열하면 정면에 ├ 형태의 균열이 생긴다. 이것을 복조(卜兆)라고 부르며 상나라 사람들은 그 모양을 보고 점괘의 길흉(吉凶)을 판단했다. 그 모양이 바로 한자 (점 복)자의 기원이 되었다.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갑골문의 실물을 볼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의 연구자들에게만 가능한 일이다. 일반적으로는 탁본을 본다.

合6654正 탁본

 

천리로(千里路, 배딱지 한 가운데로 지나는 세로선)를 기준으로 오른쪽을 ①, 왼쪽을 ②라고 하자. 

合6654正 석문

①辛酉卜𡧊(賓)1)貞: 关(送)2)𣥺化3)⿱屮戈(翦)4)⿱角𠬞(䚗)5).

신유일에 균열을 내어 賓이 점친다. 送족 𣥺化는 䚗나라를 멸할 것이다. 6)

②貞: 关(送)𣥺化弗其7)⿱屮戈(翦)⿱角𠬞(䚗).

점친다. 送족 𣥺化는 䚗나라를 멸하지 못할 것이다.


※ 갑골문으로 점을 칠 때는 한 번은 긍정, 한 번은 부정의 형식을 취한다. 이것을 정반 대정(正反對貞)이라고 한다. 

1) 정인(貞人), 즉 점치는 사람의 이름이다.

2) 족명(族名)이다. , 자 등의 구성요소로, 소전에서는 으로 쓴다. 자로 읽는다.

3) 사명(私名)이다. 

4) '전멸(翦滅)'의 의미이다.

5) 방국명(方國名)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의 "䚗, 擧角也."라는 내용에 따라 으로 읽는 것이 현재로서는 그나마 낫다.

6) 이하의 문장은 줄곧 의문문으로 해석되어 왔다. 이에 대해 처음으로 문제를 제기한 자들은 미국의 중국학자 데이비드 N. 케이틀리(David N. Keightley, 1932 - 2017)와 데이비드 S. 니비즌(David S. Nivison, 1923 - 2014)이었다. 이에 대해 중국의 리쉐친(李學勤, 1933 - 2019), 추시구이(裘錫圭) 등이 동의하였다. 그 이유는 문법적 측면에서 의문문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문장들(명령문 등)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말했듯 갑골문은 정반 대정을 상용하기 때문에 굳이 의문문을 사용하지 않아도 점을 칠 수 있다. 꽃잎을 하나하나 뜯으며 "나를 좋아한다.", "나를 좋아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꽃잎점과 유사하다. 굳이 "나를 좋아할까?"라고 의문의 형식을 취하지 않아도 된다.

7) 벨기에의 중국학자 파울 L-M. 세루이스(Paul L-M. Serruys, 1912 - 1999)는 정반 대정에서 점치는 사람이 원하지 않는 결과에 자가 들어간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것을 '세루이스 법칙(Rule of Serruys, 司禮義法則)'이라고 한다.


참고자료

김혁,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최영애, ≪한자학강의

張玉金 , 최남규 외 편, ≪갑골문의 어법적 이해

郭末若主編, 胡厚宣總編輯, ≪甲骨文合集≫ 

劉釗, ≪古文字構形學≫

———, ≪新甲骨文編≫

劉釗, 馮克堅, ≪甲骨文常用字字典≫

裘錫圭, ≪文字學槪要≫

———, ≪裘錫圭學述文集≫


https://youtu.be/FNWPmFRyEt0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