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謂脩身在正其心者, 身1)有所忿2),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3),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에 있다고 말한 것은 마음에 화내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걱정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말이다.

心不在焉4),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마음이 거기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此謂脩身在正其心.

이것을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에 있다고 말한다.


1) 정자(程子)는 으로 고쳐 읽었으며 주자(朱子)도 이를 따랐다. (몸, 자기자신)을 그대로 보아야 한다는 후대의 비판도 받았다. 이 장은 수신(修身)과 정심(正心)을 상호연관 지어서 해석한 장이기 때문에 주자학(朱子學)의 논리 내에서는 으로 읽는 것이 자연스럽다.

2) 忿 (분), 懥 (치). 둘 다 '성내다, 화내다'라는 의미이다.

3) 는 '요'로 읽으며 '좋아하다'로 풀이한다. 도 같은 의미이다.

4) *於之에 상당하며 '거기에, 그곳에'로 풀이한다.


https://youtu.be/145pKe9KnbY

모성재에서 월운 씀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如惡1)惡臭, 如好2)好色, 此之謂自謙(慊)3), 故君子必愼其獨4)也.

그 생각을 (선으로) 채운다고 말한 것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니 나쁜 냄새를 싫어하는 것처럼 하며 아름다운 이성을 좋아하는 것처럼 하는 것이다. 이것을 스스로 만족한다고 말하니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 있을 때 (생각을) 신중히 한다.

小人閒5)居爲不善, 無所不至, 見君子而后厭(黶)然6), 7)其不善, 而著其善. 人之視己, 如見其肺肝然, 則何益矣. 此謂誠於中, 形8)於外, 故君子必愼其獨也. 

소인은 한가롭게 지낼 때 선하지 못한 짓을 하는데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가 군자를 본 뒤에 슬그머니 그 선하지 못함을 숨기고 그 선함을 드러낸다. 남이 자기를 보는 것이 그 속을 들여다보는 듯할 것이니 그러면 어찌 유익하겠는가? 이것을 속에 꽉 차면 밖에 드러난다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 있을 때 (생각을) 삼간다. 

曾子9)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

증자가 말하였다. “열 개의 눈이 보는 바이며 열 개의 손이 가리키는 바이니 엄하리라.”

富潤10)屋, 德潤10)身, 心廣體胖11), 故君子必誠其意.

부유함은 가옥을 윤택하게 하고 덕스러움은 자기 몸을 윤택하게 하니 마음이 넓어지면 몸이 펴진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생각을 (선으로) 채운다.


1) (오) 미워하다, 싫어하다.

2) 좋아하다.

3) 아름다운 여성(이성)

4) (겸) 속시원하다, 만족하다.

5) '愼其獨'의 '其獨'은 자기 혼자서만 알고 있는 마음속에 일어난 생각을 가리킨다. 이를 '홀로'라고 번역하면 이는 원문의 의미를 전혀 전달하지 못한다. '愼獨'은 마음이 발하고 난 뒤에 기미를 성찰하는 것을 말한다.  최석기, ≪대학(大學)≫ 106쪽 참고.

6) (烏斬反: 암, yǎn), ≪설문해자(說文解字)≫: "申(中)黑也." 黶然 감추는 모양.

사서율곡언해

7) 揜 (엄) 가리다, 숨기다.

8) 드러나다, 나타나다.

9)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 자()는 자여(子輿)이다.

10) 윤택하게 만들다.

11) (반) 몸이 펴지다.


https://youtu.be/rziBEBib8U4

모성재에서 월운 씀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1)

이것을 근본을 안다고 말하며, 이것을 앎이 지극해진 것이라고 말한다.

 

2)傳之五章, 蓋釋格物·致知之義, 而今亡矣.

이상은 전 5장이니 아마도 격물, 치지의 뜻을 해석한 것일 테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間嘗竊取程子之意以補之曰: "所謂致知在格物者, 言欲致吾之知, 在卽物而窮其理也. 蓋人心之靈莫不有知, 而天下之物莫不有理, 惟於理有未窮, 故其知有不盡也. 是以大學始敎, 必使學者卽凡天下之物, 莫不因其已知之理而益窮之, 以求至乎其極. 至於用力之久, 而一旦豁然3)貫通焉, 則衆物之表裏精粗無不到, 而吾心之全體大用4)無不明矣. 此謂物格, 此謂知之至也."

요사이 이전에 삼가 정자의 뜻을 취하여서 보충하였으니 다음과 같다. 치지(앎을 지극히 하는 것)는 격물(사물에 나아감)에 있다고 말한 것은 나의 앎은 지극히 하려고 한다면 (그 방법은)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파고드는 것에 있음을 말한다. 사람 마음의 신령스러움에는 앎이 있지 않음이 없고 천하의 사물에는 이치가 있지 않음이 없지만 오직 이치에 대해 아직 다 파고들지 못한 게 있으므로 그 앎에 다하지 못함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학에서 처음 가르칠 때는 반드시 배우는 자를 시켜 모든 천하의 사물에 나아가 그의 이미 알고 있는 이치를 근거하여 더욱 파고들어서 그 지극함에 도달하기를 구하지 아니함이 없게끔 한 것이다. 힘쓴 지가 오래되어 하루 아침에 탁 트여서 관통하는 정도가 되면 여러 사물의 겉과 속, 정밀함과 조잡함이 도달하지 않음이 없고 내 마음의 온전한 본체와 큰 작용이 밝아지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이것을 사물이(그 이치가) 도달했다고 말하며 이것을 앎이 지극해진 것이라고 말한다.


1) 이 단구에 따르면 전이 비정상적으로 짧고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정자는 "此謂知本"을 연문(衍文)으로 보아 삭제할 것을 주장했다. 주자는 정자의 설을 수용하였으며, "此謂知之至也"를 앞의 내용이 사라지고[] 결론만 남은 문장으로 보았고 장구에서 이를 보충(補充)했다. 따라서 전 5장의 주석은 보망장(補亡章) 혹은 보전(補傳)이라고도 한다. 이는 ≪대학(大學)≫이라는 텍스트를 성리학적 관점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편집하고 해석한 것으로, 후대에 많은 비판을 받았다.

2) '이상, 이전'이라는 의미이다. 현재의 책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글을 쓰는 좌횡서(左橫書)인 것과는 달리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쓰는 우종서(右縱書)였다. 아래 이미지는 ≪대학장구(大學章句)≫의 조선시대 판본으로 붉은 점을 찍은 곳에서부터 읽어 내려간다. 가장 오른쪽 줄에서 "此謂知之至也."라는 전 5장의 마지막 문장을 확인할 수 있고, 셋째 줄에서 "右傳之五章"을 볼 수 있다.

≪대학장구(大學章句)≫ 조선시대 판본

3) : (활) 뚫린 골짜기.   豁然: 1. 환하게 터져 시원한 모양.  2 의문을 밝게 깨달은 모양.

4) 체()는 본체, 용()은 작용을 말한다. 옥계 노씨(玉溪盧氏)의 설에 의하면 표()와 조()는 이()의 용()이고 이()와 정()은 이()의 체()이다.  최석기, ≪대학≫, 104쪽 주석 참고. 


 전 5장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0

 

https://youtu.be/F_cSL2bkHP8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聽1)訟, 吾猶人也, 必也使2)無訟乎3)!"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소송을 판결하는 것은 
내가 남들과 같으나 반드시 (백성들에게) 소송이 없게끔 만들 것이다.”라고 하셨으니

無情者不得盡其辭. 大畏4)民志, 此謂知本.

진정성이 없는 자가 그 (허황된) 말을 다하지 못하게끔 하신 것이다. 백성들의 마음을 크게 긴장시킨 것이니 이것을 근본을 안다고 말한다.


1) 판결하다.

2) ~로 하여금, ~를 시켜서. 여기서는 '백성들'이 대상이다.

3) 문장 종결과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의문문은 일정한 맥락에서 강조를 위한 문장으로 쉽게 바뀐다.

4) 두렵게 하다, 긴장시키다. 외복(畏服)시키다.


 전 4장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0

 

https://youtu.be/uJmqj-hS_dU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