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내용을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101 璑 무 wú / 광채 나는 옥
三采玉也. 从玉, 無聲. [武扶切]
‘세 가지 광채가 나는 옥’이다. 玉을 따르며 無가 발음이다. [武와 扶의 반절이다]

102 珛 후 xiù / 티 박힌 옥
朽玉也. 从玉, 有聲. 讀若畜牧之畜. [許救切]
‘하자가 있는 옥’이다. 玉을 따르며 有가 발음이다. 畜牧의 畜과 같이 읽는다. [許와 救의 반절이다]

103 璿 선 xuán / 구슬
美玉也. 从玉睿聲. 《春秋傳》曰: “璿弁玉纓.” [似沿切] 그림29, 古文璿. 그림30, 籒文璿.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睿가 발음이다. 《춘추좌씨전》에 “선옥 고깔과 옥 갓끈.”이라고 하였다. [似와 沿의 반절이다] 그림29는 璿의 고문이다. 그림30은 璿의 주문이다.
*지금 《춘추》에는 “瓊弁玉纓”으로 되어 있다.

그림29
그림30



104 球 구 qiú / 옥소리
玉聲也. 从玉, 求聲. [巨鳩切] 그림31, 球或从翏.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求가 발음이다. [巨와 鳩의 반절이다] 그림31은 球의 혹체이니 翏를 따른다.

그림31

 

105 琳 림 lín / 옥
美玉也. 从玉, 林聲. [力尋切]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林이 발음이다. [力과 尋의 반절이다]

106 璧 벽 bì / 구슬
瑞玉圜也. 从玉, 辟聲. [比激切]
‘상서로운 옥고리’이다. 玉을 따르며 辟이 발음이다. [比와 激의 반절이다]

107 瑗 원 yuàn / 구슬
大孔璧. 人君上除陛以相引. 从玉, 爰聲. 《爾雅》曰: “好倍肉謂之瑗, 肉倍好謂之璧.” [王眷切]
‘큰 구멍이 있는 옥고리’이다. 군주가 섬돌을 오르며 (시종과) 이 옥으로 서로 이끈다. 玉을 따르며 爰이 발음이다. 《이아》에 “가운데 난 구멍이 바깥 변의 두께의 두 배인 것을 瑗이라고 하며 바깥 변의 두께가 가운데 난 구멍의 두 배인 것을 璧이라고 한다”라고 했다. [王과 眷의 반절이다]

108 環 환 huán / 고리
璧也. 肉好若一謂之環. 从玉, 睘聲. [戶關切]
‘옥고리’이다. 바깥 변의 두께와 가운데 난 구멍과 동일한 것을 環이라고 한다. 玉을 따르며 睘이 발음이다. [戶와 關의 반절이다]

109 璜 황 huáng / 패옥
半璧也. 从玉, 黃聲. [戶光切]
‘반쪽 옥고리’이다. 玉을 따르며 黃이 발음이다. [戶와 光의 반절이다]

110 琮 종 cóng / 옥홀
瑞玉. 大八寸, 似車釭. 从玉, 宗聲. [藏宗切]
‘상서로운 옥’이다. (구멍의) 크기는 8촌이고 수레 바퀴통과 같다. 玉을 따르며 宗이 발음이다. [藏과 宗의 반절이다]

111 琥 호 hǔ / 호박
發兵瑞玉, 爲虎文. 从玉, 从虎, 虎亦聲. 《春秋傳》曰: “賜子家雙琥.” [呼古切]
‘병사를 일으키는 상서로운 옥’이니 호랑이 무늬를 새긴다. 玉을 따르고 虎를 따르며 虎는 발음이기도 하다. 《춘추좌씨전》에 “子家에게 호박 한 쌍을 하사하였다.”라고 하였다. [呼와 古의 반절이다]

112 瓏 롱 lóng / 옥 소리
禱旱玉. 龍文. 从玉, 从龍, 龍亦聲. [力鍾切]
‘가뭄으로 기도하는 옥’이다. 용 무늬가 있다. 玉을 따르고 龍을 따르며 龍은 발음이기도 하다. [力과 鍾의 반절이다]
 
113 琬 완 wǎn / 홀
圭有琬者. 从玉, 宛聲. [於阮切]
‘홀에 둥근 형태가 있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宛이 발음이다. [於와 阮의 반절이다]

114 璋 장 zhāng / 홀
剡上爲圭, 半圭爲璋. 从玉, 章聲. 《禮》: “六幣, 圭以馬, 璋以皮, 璧以帛, 琮以錦, 琥以繡, 璜以黼.” [諸良切]
위를 깎은 것이 圭이고 圭를 반으로 줄인 것이 璋이다. 玉을 따르며 章이 발음이다. 《주례》에 “여섯 가지 폐백에 圭는 말을 쓰고 璋은 가죽을 쓰고 璧은 비단을 쓰고 琮은 무늬 비단을 쓰고 琥는 자수를 쓰고 璜은 흑백 무늬 자수를 쓴다”라고 하였다. [諸와 良의 반절이다]

115 琰 염 yǎn / 옥
璧上起美色也. 从玉, 炎聲. [以冉切]
‘옥고리 위에 아름다운 빛을 내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炎이 발음이다. [以와 冉의 반절이다]
 
116 玠 개 jiè / 홀
大圭也. 从玉, 介聲. 《周書》曰: “稱奉介圭.” [古拜切]
‘큰 圭’이다. 玉을 따르며 介가 발음이다. 《서경·주서》에 “介圭를 받들며 말하였다.”라고 하였다.
*지금 《서경·주서》에는 "大保承介圭"와 "賓稱奉圭兼幣"라는 문장이 보인다. [古와 拜의 반절이다]

117 瑒 창 chàng / 옥잔
圭. 尺二寸, 有瓚, 以祠宗廟者也. 从玉, 昜聲. [丑亮切]
‘규(圭)’이다. 1척 2촌이며 찬(瓚)이 있는데 이로써 종묘에 제사 지내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昜이 발음이다. [丑과 亮의 반절이다]

118 瓛 환 huán / 옥홀
桓圭. 公所執. 从玉, 獻聲. [胡官切]
‘환규(桓圭)’이다. 공이 잡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獻이 발음이다. [胡와 官의 반절이다]

119 珽 정 tǐng / 옥 이름
大圭. 長三尺, 抒上, 終葵首. 从玉, 廷聲. [他鼎切]
‘큰 규(圭)’이다. 길이는 3척이고 위를 깎아서 뭉치 모양의 머리가 된다. 玉을 따르며 廷이 발음이다. [他와 鼎의 반절이다]

120 瑁 모 mào / 옥홀
諸侯執圭朝天子, 天子執玉以冒之, 似犂冠. 《周禮》曰: “天子執瑁四寸.” 从玉·冒, 冒亦聲. [莫報切] 그림32, 古文省.
제후는 규(圭)를 잡고 천자에게 조회하며 천자는 옥을 잡아서 그 위에 덮으니 이관(犂冠)과 같다. 《주례》에 “천자는 모(瑁)를 잡으니 4촌이다”라고 하였다. 玉과 冒를 따르며 冒는 발음이기도 하다. [莫과 報의 반절이다] 그림32 고문이니 생략형이다.

그림32



121 璬 교 jiǎo / 패옥
玉佩. 从玉, 敫聲. [古了切]
‘옥패’이다. 玉을 따르며 敫가 발음이다. [古와 了의 반절이다]

122 珩 형 héng / 노리개
佩上玉也. 所以節行止<步>也. 从玉, 行聲. [戶庚切]
‘옥패 위의 옥’이다. 행동을 절제하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行이 발음이다. [戶와 庚의 반절이다]
 
123 玦 결 jué / 패옥
玉佩也. 从玉, 夬聲. [古穴切]
‘옥패’이다. 玉을 따르며 夬이 발음이다. [古와 穴의 반절이다]
 
124 瑞 서 ruì / 상서롭다
以玉爲信也. 从玉·耑. [徐鍇曰: "耑, 諦也. 會意." 是僞切.]
‘옥으로 신표를 삼는 것’이다. 玉과 耑을 따른다. [서개: "耑은 '살피는 것'이다. 회의이다." 是와 僞의 반절이다.]

125 珥 이 ěr / 귀고리
瑱也. 从玉·耳, 耳亦聲. [仍吏切]
‘귀막이 옥’이다. 玉, 耳를 따르며 耳는 발음이기도 하다. [仍과 吏의 반절이다]

126 瑱 전 tiàn / 귀막이 옥
以玉充耳也. 从玉, 眞聲. 《詩》曰: “玉之瑱兮.” [臣鉉等曰: "今充耳字更从玉㫄充, 非是." 他甸切.] 그림33, 瑱或从耳.
‘옥으로 귀를 막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眞이 발음이다. 《시경》에 “옥 귀막이”라고 하였다. [신 현 등은 말한다. "지금 充耳는 글자가 玉을 따르는 充이 되었는데 옳지 않다." 他와 甸의 반절이다.] 그림33은 瑱의 혹체이니 耳를 따른다.

*珫

그림33



127 琫 봉 běng / 칼집 장식
佩刀上飾. 天子以玉, 諸矦以金. 从玉, 奉聲. [邊空切]
‘차는 칼 위의 장식’이다. 천자는 옥을 쓰고 제후는 금속을 쓴다. 玉을 따르며 奉이 발음이다. [邊과 空의 반절이다]

128 珌 필 bì / 칼집 장식
佩刀下飾. 天子以玉. 从玉, 必聲. [卑吉切]
‘차는 칼 아래의 장식’이다. 천자는 옥을 쓴다. 玉을 따르며 必이 발음이다. [卑와 吉의 반절이다]

129 璏 체 zhì / 칼 콧등꾸미개
劍鼻玉也. 从玉, 彘聲. [直例切]
‘칼 콧등의 옥’이다. 玉을 따르며 彘가 발음이다. [直과 例의 반절이다]

130 瑵 조 zhǎo / 수레 꼭지
車蓋玉瑵. 从玉, 蚤聲. [側絞切]
‘수레 덮개의 옥 손잡이’이다. 玉을 따르며 蚤가 발음이다. [側과 絞의 반절이다]

131 瑑 전 zhuàn / 홀에 아로새기다
圭璧上起兆瑑也. 从玉, 篆省聲. 《周禮》曰: “瑑圭璧.” [直戀切]
‘규벽(圭璧) 위에 볼록한 무늬를 새기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篆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주례》에 “규벽(圭璧)을 아로새기다”라고 하였다. [直과 戀의 반절이다]
*지금 주례에는 “瑑圭璋璧琮”으로 되어 있다.

132 珇 조 zǔ / 옥홀 장식
琮玉之瑑. 从玉, 且聲. [則古切]
‘琮옥의 새김’이다. 玉을 따르며 且가 발음이다. [則과 古의 반절이다]

133 𤪌 기 qí / 피변 꾸미개
弁飾, 往往冒玉也. 从玉, 綦聲. [渠之切] 그림34, 𤪌或从基.
‘고깔 꾸미개’이니 뚜렷하게 옥을 덮는다. 玉을 따르며 綦가 발음이다. [渠와 之의 반절이다] 그림34는 𤪌의 혹체이니 基를 따른다.

그림34



134 璪 조 zǎo / 면류관 드림 옥
玉飾. 如水藻之文. 从玉, 喿聲. 《虞書》曰: “璪火黺米.” [子皓切]
‘옥 장식’이다. 물풀의 무늬와 같다. 玉을 따르며 喿가 발음이다. 《서경·우서》에 “璪, 불, 보불, 분미”라고 하였다. [子와 皓의 반절이다]
*지금 《서경·우서》에는 “宗彝·藻·火·粉米·黼·黻, 絺繡”라고 되어 있다.

135 瑬 류 liú / 드리우다
垂玉也. 冕飾. 从玉, 流聲. [力救切]
‘옥을 드리우는 것’이다. 면류관 장식이다. 玉을 따르며 流가 발음이다. [力과 救의 반절이다]

136 璹 숙 shú / 옥 그릇
玉器也. 从玉, 𠷎聲. 讀若淑. [殊六切]
‘옥 그릇’이다. 玉을 따르며 𠷎가 발음이다. 淑과 같이 읽는다. [殊와 六의 반절이다]

137 瓃 뢰 léi / 옥 그릇
玉器也. 从玉, 畾聲. [臣鉉等案: "靁字注象回轉之形, 畾不成字, 凡从畾者並當从靁省." 魯回切.]
‘옥 그릇’이다. 玉을 따르며 畾가 발음이다. [신 현 등은 말한다. "靁자의 설명에서 '회전하는 형태를 본떴다'고 했는데 畾는 글자를 이루지 못한다. 무릇 畾를 따라는 것은 다 마땅히 靁의 생략형을 따른다." 魯와 回의 반절이다.]

138 瑳 차 cuō / 곱다
玉色鮮白. 从玉, 差聲. [七何切]
‘옥빛이 곱고 흰 것’이다. 玉을 따르며 差가 발음이다. [七과 何의 반절이다]

139 玼 체 cǐ / 옥빛이 깨끗하다
玉色鮮也. 从玉, 此聲. 《詩》曰: “新臺有玼.” [千禮切]
‘옥빛이 고운 것’이다. 玉을 따르며 此가 발음이다. 시경에 “새 누대는 선명하다”라고 하였다. [千과 禮의 반절이다]
*지금 시경에는 “新臺有泚”로 되어 있다.

140 璱 슬 sè / 푸른 구슬
玉英華相帶如瑟弦. 从玉, 瑟聲. 《詩》曰: “瑟彼玉瓚.” [所櫛切]
‘옥 무늬가 서로 둘러서 거문고 현과 같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瑟이 발음이다. 《시경》에 “선명한 저 옥잔”이라고 하였다. [所와 櫛의 반절이다]

141 瑮 률 lì / 옥 무늬
玉英華羅列秩秩. 从玉, 㮚聲. 《逸論語》曰: “玉粲之璱兮. 其𤩰(⿰王㮚)猛也.” [力質切]
‘옥 무늬의 나열이 질서정연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㮚이 발음이다. 《일논어》에 “옥의 아름다움이 선명하구나 그 무늬가 넘쳐나는구나”라고 하였다. [力과 質의 반절이다]

142 瑩 영 yíng / 밝다
玉色. 从玉, 熒省聲. 一曰石之次玉者. 《逸論語》曰: “如玉之瑩.” [烏定切]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熒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일설에는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은 것이라고 한다. 《일논어》에 “옥의 빛과 같다”라고 하였다. [烏와 定의 반절이다]

143 璊 문 mén / 붉은 옥
玉䞓色也. 从玉, 㒼聲. 禾之赤苗謂之虋, 言璊, 玉色如之. [莫奔切] 그림35, 璊或从允.
‘옥이 붉은 빛인 것’이다. 玉을 따르며 㒼이 발음이다. 벼의 붉은 싹을 虋이라고 하니 璊이라고 말한 것은 옥색이 그렇다는 것이다. [莫과 奔의 반절이다] 그림35는 璊의 혹체이니 允을 따른다.

그림35



144 瑕 하 xiá / 허물
玉小赤也. 从玉, 叚聲. [乎加切]
‘옥이 조금 붉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叚가 발음이다. [乎와 加의 반절이다]

145 琢 탁 zhuó / 쪼다
治玉也. 从玉, 豖聲. [竹角切]
‘옥을 다듬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豖이 발음이다. [竹과 角의 반절이다]

146 琱 조 diāo / 아로새기다
治玉也. 一曰石似玉. 从玉, 周聲. [都寮切]
‘옥을 다듬는 것’이다. 일설에는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라고 한다. 玉을 따르며 周가 발음이다. [都와 寮의 반절이다]

147 理 리 lǐ / 다스리다
治玉也. 从玉, 里聲. [良止切]
‘옥을 다듬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理가 발음이다. [良과 止의 반절이다]

148 珍 진 zhēn / 보배
寶也. 从玉, 㐱聲. [陟鄰切]
‘보배’이다. 玉을 따르며 㐱이 발음이다. [陟과 鄰의 반절이다]

149 玩 완 wán / 희롱하다
弄也. 从玉, 元聲. [五換切] 그림36, 玩或从貝.
‘희롱하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元이 발음이다. [五와 換의 반절이다] 그림36은 玩의 혹체이니 貝를 따른다.

그림36



150 玲 령 líng / 옥 소리
玉聲. 从玉, 令聲. [郞丁切]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令이 발음이다. [郞과 丁의 반절이다]

151 瑲 창 qiáng / 옥 소리
玉聲也. 从玉, 倉聲. 《詩》曰: “鞗革有瑲.” [七羊切]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倉이 발음이다. 《시경》에 “고삐 고리 짤랑 거린다”라고 하였다. [七과 羊의 반절이다]
*지금 《시경》에는 “鞗革有鶬”으로 되어 있다. 

152 玎 정 dīng / 옥 소리
玉聲也. 从玉, 丁聲. 齊太公子伋謚曰玎公. [當經切]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丁이 발음이다. 제나라 태공의 아들인 伋의 시호가 玎公이다. [當과 經의 반절이다]

153 琤 쟁 chēng / 옥 소리
玉聲也. 从玉, 爭聲. [楚耕切]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爭이 발음이다. [楚와 耕의 반절이다]

154 瑣 쇄 suǒ / 자질구레하다
玉聲也. 从玉, 𧴪(⿱小貝)聲. [蘇果切]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𧴪(⿱小貝)가 발음이다. [蘇와 果의 반절이다]

155 瑝 황 huáng / 옥 소리
玉聲也. 从玉, 皇聲. [乎光切]
‘옥 소리’이다. 玉을 따르며 皇이 발음이다. [乎와 光의 반절이다]

156 瑀 우 yǔ / 패옥
石之似玉者. 从玉, 禹聲. [王矩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禹가 발음이다. [王과 矩의 반절이다]

157 玤 방 běng [bàng] / 옥돌
石之次玉者. 以爲系璧. 从玉, 丰聲. 讀若《詩》曰: “瓜瓞菶菶”. 一曰若𧊧(⿱合虫)蚌. [補蠓切]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은 것’이다. 이것으로 매는 璧을 만든다. 玉을 따르며 丰이 발음이다. 《시경》의 “瓜瓞菶菶”과 같이 읽는다. 일설에는 방합 조개와 같다고 한다. [補와 蠓의 반절이다]
*지금 《시경》에는 “瓜瓞唪唪”으로 되어 있다.

158 玪 감 jiān / 옥 이름
玪𤨙(⿱勒玉), 石之次玉者. 从玉, 今聲. [古函切]
‘감륵(玪𤨙(⿱勒玉))’이니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今이 발음이다. [古와 函의 반절이다]

159 𤨙 륵 lè / 옥돌
玪𤨙(⿱勒玉)也. 从玉, 勒聲. [盧則切]
‘감륵(玪𤨙(⿱勒玉))’이다. 玉을 따르며 勒이 발음이다. [盧와 則의 반절이다]

160 琚 거 jū / 패옥
瓊琚. 从玉, 居聲. 《詩》曰: “報之以瓊琚.” [九魚切]
‘경거(瓊琚)’이다. 玉을 따르며 居가 발음이다. “《시경》에 보답을 경거로 하다”라고 하였다. [九와 魚의 반절이다]

161 璓 수 xiù / 옥돌
石之次玉者. 从玉, 莠聲. 《詩》曰: “充耳璓瑩.” [息救切]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莠가 발음이다. 《시경》에 “귀걸이에 빛이 난다”라고 하였다. [息과 救의 반절이다]
*지금 시경에는 “充耳琇瑩”으로 되어 있다.

162 玖 구 jiǔ / 옥돌
石之次玉黑色者. 从玉久聲. 《詩》曰: “貽我佩玖.” 讀若芑. 或曰若人句脊之句. [擧友切]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고 검은 빛인 것’이다. 玉을 따르며 久가 발음이다. 《시경》에 “나에게 차는 구(玖)를 주었다”라고 하였다. 芑와 같이 읽는다. 어떤 사람은 人句脊의 句와 발음이 같다고 한다. [擧와 友의 반절이다]

163 㺿 이 yí / 화반석
石之似玉者. 从玉, 𦣞(⿷匚⿳丨口丨)聲. 讀若貽. [與之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𦣞(⿷匚⿳丨口丨)가 발음이다. 貽와 같이 읽는다. [與와 之의 반절이다]

164 珢 은 yín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艮聲. [語巾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艮이 발음이다. [語와 巾의 반절이다]

165 𤤺(⿰王曳) 예 yì / 옥 같은 돌
石之似玉者. 从玉, 曳聲. [余制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曳가 발음이다. [余와 制의 반절이다]

166 璅 소 zǎo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巢聲. [子浩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巢가 발음이다. [子와 浩의 반절이다]

167 璡 진 jīn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進聲. 讀若津. [將鄰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進이 발음이다. 津과 같이 읽는다. [將과 鄰의 반절이다]

168 㻸 잠 zēn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朁聲. [側岑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朁이 발음이다. [側과 岑의 반절이다]

169 璁 총 cōng / 옥 같은 돌
石之似玉者. 从玉, 悤聲. 讀若蔥. [倉紅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悤이 발음이다. 蔥과 같이 읽는다. [倉과 紅의 반절이다]

170 𤩭(⿰王號) 호 hào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號聲. 讀若鎬. [乎到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號가 발음이다. 鎬와 같이 읽는다. [乎와 到의 반절이다]

171 𤪍(⿰王舝) 할 xiá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舝聲. 讀若曷. [胡捌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舝이 발음이다. 曷과 같이 읽는다. [胡와 捌의 반절이다]

172 𤧩(⿱⿰目㕚玉) 완 wàn / 옥 같은 돌
石之似玉者. 从玉, 𥄗(⿰目㕚)聲. [烏貫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𥄗(⿰目㕚)이 발음이다. [烏와 貫의 반절이다]

173 𤫉 섭 xiè / 옥돌
石之次玉者. 从玉, 燮聲. [蘇叶切]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燮이 발음이다. [蘇와 叶의 반절이다]

174 玽 구 gǒu / 옥돌
石之次玉者. 从玉, 句聲. 讀若苟. [古厚切]
‘돌 가운데 옥보다 한 등급 낮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句가 발음이다. [古와 厚의 반절이다]

175 琂 언 yán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言聲. [語軒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言이 발음이다. [語와 軒의 반절이다]

176 璶 신 jìn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盡聲. [徐刃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盡이 발음이다. [徐와 刃의 반절이다]

177 琟 유 wéi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隹聲. 讀若維. [以追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維가 발음이다. 維와 같이 읽는다. [以와 追의 반절이다]

178 瑦 오 wǔ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烏聲. [安古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禹가 발음이다. [安과 古의 반절이다]

179 瑂 미 méi / 옥 같은 돌
石之似玉者. 从玉, 眉聲. 讀若眉. [武悲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眉가 발음이다. 眉와 같이 읽는다. [武와 悲의 반절이다]

180 璒 등 dēng / 옥 같은 돌
石之似玉者. 从玉, 登聲. [都騰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登이 발음이다. [都와 騰의 반절이다]

181 㺨 사 sī / 옥 같은 돌
石之似玉者. 从玉, 厶聲. 讀與私同. [息夷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厶가 발음이다. 私와 같이 읽는다. [息과 夷의 반절이다]

182 玗 우 yú / 옥돌
石之似玉者. 从玉, 于聲. [羽俱切]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禹가 발음이다. [羽와 俱의 반절이다]

183 𤣻 몰 mò / 옥 이름
玉屬. 从玉, 𠬸(⿱囘又)聲. 讀若沒. [莫悖切]
‘옥붙이’이다. 玉을 따르며 𠬸(⿱囘又)이 발음이다. 沒과 같이 읽는다. [莫과 悖의 반절이다]

184 瑎 해 xié / 검은 옥돌
黑石似玉者. 从玉, 皆聲. 讀若諧. [戶皆切]
‘검은 돌 가운데 옥과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皆가 발음이다. 諧와 같이 읽는다. [戶와 皆의 반절이다]
 
185 碧 벽 bì / 푸르다
石之青美者. 从玉·石, 白聲. [兵尺切]
‘돌 가운데 푸르고 아름다운 것’이다. 玉과 石을 따르고 白이 발음이다. [兵과 尺의 반절이다]

186 琨 곤 kūn / 옥돌
石之美者. 从玉, 昆聲. 《虞書》曰: “楊<揚>州貢瑤琨.” [古渾切] 그림37, 琨或从貫.
‘돌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다. 玉을 따르며 昆이 발음이다. 우서에 “양주에서 瑤琨을 바쳤다”라고 하였다. [古와 渾의 반절이다] 그림37은 琨의 혹체이니 貫을 따른다.
*《夏書》《禹貢》에 보인다.

그림37



187 珉 민 mín / 옥돌
石之美者. 从玉, 民聲. [武巾切]
‘돌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다. 玉을 따르며 民이 발음이다. [武와 巾의 반절이다]
 
188 瑶 요 yáo / 아름다운 옥
玉之美者. 从玉, 䍃聲. 《詩》曰: “報之以瓊瑤.” [余招切]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䍃가 발음이다. 《시경》에 “보답을 瓊瑤로 하다”라고 하였다. [余와 招의 반절이다]

189 珠 주 zhū / 구슬
蚌之陰精. 从玉, 朱聲. 《春秋國語》曰: “珠以禦火灾” 是也. [章俱切]
‘방합 조개 안의 음의 정기’이다. 玉을 따르며 朱가 발음이다. 《춘추국어》에 “주(珠)로 화재를 막는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다. [章과 俱의 반절이다]
*지금 《국어》에는 “珠足以御火災”로 되어 있다.

190 玓 적 dì / 빛나다
玓瓅, 明珠色. 从玉, 勺聲. [都歷切]
‘적력(玓瓅)’이니 밝은 구슬이다. 玉을 따르며 勺이 발음이다. [都와 歷의 반절이다]

191 瓅 력 lì / 옥빛
玓瓅. 从玉, 樂聲. [郞擊切]
‘적력(玓瓅)’이다. 玉을 따르며 樂이 발음이다. [郞과 擊의 반절이다]

192 玭 빈 pín / 구슬 이름
珠也. 从玉, 比聲. 宋弘云: “淮水中出玭珠.” 玭, 珠之有聲. [步因切] 그림38, 《夏書》玭从虫·賓.
‘구슬’이다. 玉을 따르며 比가 발음이다. 송홍이 말하길 “회수 안에서 玭珠가 나온다”라고 하였다. 玭은 珠 가운데 소리가 있는 것이다. [步와 因의 반절이다] 그림38은 《하서》의 玭이니 虫와 賓을 따른다.

193 珕 려 lì / 굴
蜃屬. 从玉, 劦聲. 《禮》: “佩刀, 士珕琫而珧珌.” [臣鉉等曰: "劦亦音麗, 故以爲聲." 郞計切.]
‘조개붙이’이다. 玉을 따르며 劦(려)가 발음이다. 예에 “차는 칼은 사는 여(珕)로 칼 위를 장식하고 요(珧)로 칼 아래를 장식한다”라고 하였다. [신 현 등은 말한다. "劦(협)은 음이 麗(려)도 있기 때문에 발음으로 삼은 것이다." 郞과 計의 반절이다.]

194 珧 요 yáo / 꼬막
蜃甲也. 所以飾物也. 从玉, 兆聲. 禮云: “佩刀, 天子玉琫而珧珌.” [余昭切]
‘조개 껍데기’이다. 물건을 장식하는 것이다. 玉을 따르며 兆가 발음이다. 예법에 “차는 칼은 천자는 옥으로 칼 위를 장식하고 珧로 칼 아래를 장식한다”라고 하였다. [余와 昭의 반절이다]

195 玟 매 [민] méi / 아름다운 돌
火齊, 玫瑰也. 一曰石之美者. 从玉, 文聲. [莫桮切]
‘불로 만든 것이니 매괴(玫瑰)’이다. 일설에는 돌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라고 한다. 玉을 따르며 文이 발음이다. [莫과 桮의 반절이다]

196 瑰 괴 guī / 불구슬
玟瑰. 从玉, 鬼聲. 一曰圜好. [公回切]
‘매괴(玫瑰)’이다. 玉을 따르며 鬼가 발음이다. 일설에는 둥글고 모양이 좋은 것이라고 한다. [公과 回의 반절이다]

197 璣 기 jī / 구슬
珠不圜也. 从玉, 幾聲. [居衣切]
‘구슬이 둥글지 않은 것’이다. 玉을 따르며 幾가 발음이다. [居와 衣의 반절이다]

198 琅 랑 láng / 옥돌
琅玕, 似珠者. 从玉, 良聲. [魯當切]
‘낭간(琅玕)’이니 주(珠)와 비슷한 것이다. 玉을 따르며 良이 발음이다. [魯와 當의 반절이다]

199 玕 간 gān / 옥돌
琅玕也. 从玉, 干聲. 《禹貢》: “雝州球琳琅玕.” [古寒切] 그림39, 古文玕.
‘낭간(琅玕)’이다. 玉을 따르며 干이 발음이다. 우공에 “옹주는 [공납품이] 球, 琳, 琅玕이다”라고 하였다. [古와 寒의 반절이다] 그림39는 玕의 고문이다.
*《夏書·禹貢》에 보인다.

그림39



200 珊 산 shān / 산호
珊瑚, 色赤, 生於海, 或生於山. 从玉, 刪省聲. [蘇干切]
‘산호’이니 색이 붉고 바다에서 나며 혹은 산에서 난다. 玉을 따르며 刪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蘇와 干의 반절이다]


許愼, ≪說文解字≫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이충구 외 역, ≪역주 설문해자주 1≫

하영삼, ≪완역 설문해자 1≫


모성재에서 월운 씀

본 게시글의 내용을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一部》
1 一 일 yī / 하나
惟初太始, 道立於一, 造分天地, 化成萬物. 凡一之屬皆从一. [於悉切] 그림1, 古文一.
‘처음의 태극’이다. 도는 一에서 확립되어 천지를 만들어 나누고 모든 것을 변화시켜 이룬다. 무릇 一의 무리는 다 一을 따른다. [於와 悉의 반절이다] 그림1은 一의 고문이다.

그림1


2 元 원 yuán / 으뜸
始也. 从一, 从兀. [徐鍇曰: “元者, 善之長也, 故从一.” 愚袁切.]
‘처음’이다. 一을 따르고 兀(올)을 따른다. [서개가 말하였다. “元은 선의 으뜸이므로 一을 따른다.” 愚와 袁의 반절이다.]

3 天 천 tiān / 하늘
顚也. 至高無上. 从一, 大. [他前切]
‘이마’이다. 지극히 높아 위가 없다. 一과 大를 따른다. [他와 前의 반절이다]

4 丕 비 pī / 크다
大也. 从一, 不聲. [敷悲切]
‘큰 것’이다. 一을 따르며 不(비)가 발음이다. [敷와 悲의 반절이다]

5 吏 리 lì / 관리
治人者也. 从一, 从史. 史亦聲. [徐鍇曰: “吏之治人, 心主於一, 故从一.” 力置切.]
‘사람을 다스리는 자’이다. 一을 따르고 史를 따른다. 史는 발음이기도 하다. [서개가 말하였다. “관리가 사람을 다스리는 것은 마음이 한곳으로 모아야 하므로 一을 따른다.” 力과 置의 반절이다.]

文五, 重一.
이 부에 있는 글자는 5자이고 중문은 1자이다.

《丄部》
6 丄 상 shàng / 위
高也. 此古文上, 指事也. 凡丄之屬皆从丄. [時掌切] 그림2, 篆文丄.
‘높은 것’이다. 이것은 上의 고문이며 지사이다. 무릇 丄의 무리는 모두 丄을 따른다. [時와 掌의 반절이다] 그림2는 丄의 전문이다.

그림2


7 帝 제 dì / 임금
諦也. 王天下之號也. 从丄, 朿聲. [都計切] 그림3, 古文帝. 古文諸丄字皆从一. 篆文皆从二(상), 二(상)古文上字. 辛·示·辰·龍·童·音·章, 皆从古文丄.
‘살피는 것’이다. 천하에 왕노릇하는 칭호이다. 丄을 따르며 朿가 발음이다. [都와 計의 반절이다] 그림3은 帝의 고문이다. 고문의 여러 丄자는 모두 一을 따른다. 전문은 모두 二(상)을 따르는데 二(상)은 上자의 고문이다. 辛, 示, 辰, 龍, 童, 音, 章은 모두 丄의 고문을 따른다.

그림3


8 旁 방 páng / 곁
溥也. 从二(상), 闕, 方聲. [步光切] 그림4, 古文㫄. 그림5亦古文㫄. 그림6, 籒文.
‘펴는 것’이다. 二(상)을 따르고 나머지는 불확실하며 方이 발음이다. [步와 光의 반절이다] 그림4는 㫄의 고문이다. 그림5도 㫄의 고문이다. 그림6은 주문이다. 

그림4
그림5
그림6


9 丅 하 xià / 아래
底也. 指事. [胡雅切] 그림7, 篆文丅.
‘낮다’이다. 지사이다. [胡와 雅의 반절이다] 그림7은 丅의 전문이다. 

그림7


文四, 重七.
이 부에 있는 글자는 4자이고 중문은 7자이다.
 
《示部》
10 示 시 shì / 보이다
天垂象, 見吉凶, 所以示人也. 从二(상). [二(상), 古文上字] 三垂, 日月星也. 觀乎天文, 以察時變. 示, 神事也. 凡示之屬皆从示. [神至切] 그림8, 古文示.
‘하늘이 모습을 드리워서 길흉을 나타내고 사람에게 보이는 바’이다. 二(상)을 따른다. [二(상)은 上자의 고문이다] 세 가지 드리움은 해, 달, 별이다. 천문을 보아서 시기의 변화를 살핀다. 示는 신의 일이다. 무릇 示의 무리는 다 示를 따른다. [神과 至의 반절이다] 그림8은 示의 고문이다.

그림8


11 祜 호 hù / 복
上諱. [臣鉉等曰: "此漢安帝名也. 福也. 當从示, 古聲. 候古切."]
황상의 휘이다. [신 현 등은 말한다. "이것은 한나라 안제의 이름이다. '복'이다. 마땅히 示를 따르고 古가 발음인 것이다. 候와 古의 반절이다."]

12 禮 례 lǐ / 예도
履也. 所以事神致福也. 从示, 从豊, 豊亦聲. [靈啓切] 그림9, 古文禮.
‘밟는 것’이다. 신을 섬겨 복을 이르게 하는 바이다. 示를 따르고 豊를 따르고 豊는 발음이기도 하다. [靈과 啓의 반절이다] 그림9는 禮의 고문이다.

그림9


13 禧 희 xī / 복
禮吉也. 从示, 喜聲. [許其切]
‘예를 행하여 길하게 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喜가 발음이다. [許와 其의 반절이다]

14 禛 진 zhēn / 복 받다
以眞受福也. 从示, 眞聲. [側鄰切]
‘진정성으로 인해 복을 받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眞이 발음이다. [側과 鄰의 반절이다]

15 祿 록 lù / 복
福也. 从示, 彔聲. [盧谷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彔이 발음이다. [盧와 谷의 반절이다]
 
16 禠 사 sī / 복
福也. 从示, 虒聲. [息移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虒가 발음이다. [息과 移의 반절이다]

17 禎 정 zhēn / 상서롭다 
祥也. 从示, 貞聲. [陟盈切]
‘상서로움’이다. 示를 따르며 貞이 발음이다. [陟과 盈의 반절이다]

18 祥 상 xiáng / 상서롭다
福也. 从示, 羊聲. 一云善. [似羊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羊이 발음이다. 일설에는 '훌륭함'이라고도 한다. [似와 羊의 반절이다]

19 祉 지 zhǐ / 복
福也. 从示, 止聲. [敕里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止가 발음이다. [敕과 里의 반절이다]

20 福 복 fú / 복
祐也. 从示, 畐聲. [方六切]
‘도움’이다. 示를 따르며 畐이 발음이다. [方과 六의 반절이다]

21 祐 우 yòu / 복
助也. 从示, 右聲. [于救切]
‘도움’이다. 示를 따르며 右가 발음이다. [于와 救의 반절이다.]
 
22 祺 기 qí / 길하다 
吉也. 从示, 其聲. [渠之切] 그림10, 籒文, 从基.
‘길함’이다. 示를 따르며 其가 발음이다. [渠와 之의 반절이다] 그림10은 주문이니 基를 따른다.

그림10


23 祗 지 zhī / 공경
敬也. 从示, 氐聲. [旨移切]
‘공경’이다. 示를 따르며 氐가 발음이다. [旨와 移의 반절이다]

24 禔 제 zhī / 복
安福也. 从示, 是聲. 《易》曰: “禔旣平.” [市支切]
‘안락한 복’이다. 示를 따르며 是가 발음이다. 《주역》에 “안락하고 이미 평안하다.”라고 하였다. [市와 支의 반절이다]
*지금 《주역》에서는 “祗”로 쓰는데 虞翻은 “평안함이다(平也)”라고 하였고 “祗旣平”에 대해 李善道 《周易集解簒疏》에서 “이미 안락하고도 평안한 것이다(旣安且平)”라고 하였다.

25 神 신 shén / 귀신
天神, 引出萬物者也. 从示·申. [食鄰切]
‘하늘의 신’이니 모든 것을 이끌어 내는 자이다. 示와 申을 따른다. [食과 鄰의 반절이다]

26 祇 기 qí / 땅귀신
地祇, 提出萬物者也. 从示, 氏聲. [巨支切]
‘땅의 신’이니 모든 것을 이끌어 내는 자이다. 示를 따르며 氏가 발음이다. [巨와 支의 반절이다]
 
27 祕 비 bì [mì] / 숨기다
神也. 从示, 必聲. [兵媚切]
‘신’이다. 示를 따르며 必이 발음이다. [兵과 媚의 반절이다]
 
28 齋 재 zhāi / 재계하다
戒·潔也. 从示, 齊省聲. [側皆切] 그림11, 籒文齋, 从그림12省. [그림12音禱]
‘재계’와 ‘청결’이다. 示를 따르며 齊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側과 皆의 반절이다] 그림11은 齋의 주문이니 그림12의 생략형을 따른다. [그림12는 음이 禱이다]

그림11
그림12


29 禋 인 yīn / 제사 지내다
潔祀也. 一曰精意以享爲禋. 从示, 垔聲. [於眞切] 그림13, 籒文, 从宀.
‘청결한 제사’이다. 일설에는 '정성스러운 뜻으로 바치는 것'이 禋이라고 한다. 示를 따르며 垔이 발음이다.  [於와 眞의 반절이다] 그림13은 주문이니 宀을 따른다.

그림13


30 祭 제 jì / 제사
祭祀也. 从示·以手持肉. [子例切]
‘제사’이다. 示와 손으로 잡은 고기를 따른다. [子와 例의 반절이다]

31 祀 사 sì / 제사
祭無巳(已)也. 从示, 巳聲. [詳里切] 그림14, 祀或从異.
‘제사가 멈춤이 없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巳가 발음이다. [詳과 里의 반절이다] 그림14는 祀의 혹체이니 異를 따른다.

그림14


32 祡 시 chái / 제사 지내다
燒祡<柴>燓燎以祭天神. 从示, 此聲. 《虞書》曰: “至于岱宗, 祡.” [仕皆切] 그림15, 古文祡, 从隋省.
‘땔감을 태우고 횃불을 피워서 하늘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此가 발음이다. 《서경·우서》에 “대종에 이르러 시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였다. [仕와 皆의 반절이다] 그림15는 祡의 고문이니 隋의 생략형을 따른다.

그림15


33 禷 류 lèi / 제사 이름
以事類祭天神. 从示, 類聲. [力遂切]
‘일의 종류로 하늘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類가 발음이다. [力과 遂의 반절이다]

34 祪 궤 guǐ / 제천 사당
祔·祪, 祖也. 从示, 危聲. [過委切]
祔와 祪는 ‘사당’이다. 示를 따르며 危가 발음이다. [過와 委의 반절이다]

35 祔 부 fù / 합사하다
後死者合食於先祖. 从示, 付聲. [符遇切]
‘뒤에 죽은 자를 선조와 합사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付가 발음이다. [符와 遇의 반절이다]

36 祖 조 zǔ / 조상
始廟也. 从示, 且聲. [則古切]
‘시조의 사당’이다. 示를 따르며 且가 발음이다. [則과 古의 반절이다]

37 𥛱(⿱彭示) 팽 bēng / 제사
門內祭, 先祖所以徬徨. 从示, 彭聲. 《詩》曰: “祝祭于𥛱(⿱彭示).” [補盲切.] 그림16, 𥛱(⿱彭示)或从方.
'문 안의 제사'이니 (문 안은) 선조가 돌아다니던 곳이다. 示를 따르며 彭이 발음이다. 《시경》에 “축관이 사당 문 안에서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補와 盲의 반절이다.] 그림16은 𥛱(⿱彭示)의 혹체이니 方을 따른다.
*지금 《시경》에서는 “祊”으로 쓴다.

그림16


38 祰 고 kǎo / 고유제
告祭也. 从示, 从告聲. [苦浩切]
‘고하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告의 발음을 따른다. [苦와 浩의 반절이다]
 
39 祏 석 shí / 위패
宗廟主也. 周禮有郊·宗·石室. 一曰大夫以石爲主. 从示从石, 石亦聲. [常隻切]
‘종묘의 신주’이다. 주나라 예법에 교(郊), 종(宗), 석실(石室)이 있다. 일설에 대부는 돌로 신주를 만든다고 한다. 示를 따르고 石을 따르며 石은 발음이기도 하다. [常과 隻의 반절이다]
 
40 䃾 비 bǐ / 제사 이름
以豚祠司命. 从示比聲. 漢律曰: “祠䃾司命.” [卑履切]
'돼지로 사명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고 比가 발음이다. 한나라 율법에 “사명 신에게 돼지로 제사 지낸다”라고 하였다. [卑와 履의 반절이다]

41 祠 사 cí / 사당
春祭曰祠. 品物少, 多文詞也. 从示, 司聲. 仲春之月, 祠不用犧牲, 用圭璧及皮幣. [似玆切]
‘봄 제사’를 祠라고 한다. 물건은 적고 문사가 많다. 示를 따르며 司가 발음이다. 중춘의 달(음력 2월)에 사 제사는 희생물을 쓰지 않고 옥과 가죽을 쓴다. [似와 玆의 반절이다]

42 礿 약 yuè / 봄 제사
夏祭也. 从示, 勺聲. [以灼切]
‘여름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勺이 발음이다. [以와 灼의 반절이다]
 
43 禘 체 dì / 제사
諦祭也. 从示, 帝聲. 周禮曰: “五歲一禘.” [特計切]
‘살피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帝가 발음이다. 주나라 예법에 “5년에 한번 체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特과 計의 반절이다]

44 祫 협 xiá / 합사하다
大合祭先祖親疏遠近也. 从示·合. 周禮曰: “三歲一祫.” [侯來切]
‘선조의 친소원근을 크게 합하여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와 合을 따른다. 주나라 예법에 “3년에 한 번 협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侯와 來의 반절이다]

45 祼 관 guàn / 강신제
灌祭也. 从示, 果聲. [古玩切]
‘술을 붓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果가 발음이다. [古와 玩의 반절이다]
 
46 䄟 체 cuì / 사례하다
數祭也. 从示, 毳聲. 讀若舂麥爲䄟之䄟. [臣鉉等曰: "舂麥爲䄟. 今無此語, 且非異文, 所未詳也." 此芮切.]
‘여러 번 지내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毳가 발음이다. 舂麥爲䄟의 䄟와 같이 읽는다. [신 현 등은 말한다. "舂麥爲䄟는 지금은 이런 말이 없는데 이문도 아니니 상세하지 못한 부분이다." 此와 芮의 반절이다.]
 
47 祝 축 zhù / 빌다
祭主贊詞者. 从示从人·口. 一曰从兌省. 《易》曰: “兌, 爲口, 爲巫.”. [之六切]
‘제사에서 고하는 말을 주관하는 자’이다. 示를 따르고 人과 口를 따른다. 일설에는 兌의 생략형을 따른다고 한다. 《주역》에 “兌는 입이고 무당이다”라고 하였다. [之와 六의 반절이다]
 
48 𥛽(⿰示畱) 류 liù / 주술 부리다
祝𥛽(⿰示畱)也. 从示, 畱聲. [力救切]
‘주술’이다. 示를 따르며 畱(류)가 발음이다. [力과 救의 반절이다]

49 祓 불 fú / 푸닥거리하다
除惡祭也. 从示, 犮聲. [敷勿切]
‘나쁜 것을 없애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犮이 발음이다. [敷와 勿의 반절이다]

50 祈 기 qí / 빌다
求福也. 从示, 斤聲. [渠稀切]
‘복을 구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斤이 발음이다. [渠와 稀의 반절이다]

51 禱 도 dǎo / 빌다
告事求福也. 从示, 壽聲. [都浩切] 그림17, 禱或省. 그림18, 籒文禱.
‘일을 고하여 복을 구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壽가 발음이다. [都와 浩의 반절이다] 그림17은 禱의 혹체이니 생략형이다. 그림18은 禱의 주문이다.

그림17
그림18


52 禜 영 yòng / 재앙 막는 제사
設緜蕝爲營, 以禳風雨·雪霜·水旱·癘疫於日月星辰山川也. 从示, 榮<營>省聲. 一曰禜·衞, 使灾不生. 《禮記》曰: “雩, 禜. 祭水旱.” [爲命切]
‘명주실을 설치해 묶어 둘레를 만들어서 해, 달, 별, 산천에 대하여 비바람, 눈서리, 장마와 가뭄, 역병을 막는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營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일설에 禜은 ‘보위하는 것’이니 재해가 생기지 않게끔 하는 것이라 한다. 예기에 “雩는 禜이니 장마와 가뭄 때문에 제사 지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爲와 命의 반절이다]
*지금 《예기》에는 宗으로 쓴다.

53 禳 양 ráng / 제사 이름
磔禳祀, 除癘殃也. 古者燧人禜子所造. 从示, 襄聲. [汝羊切]
‘희생물을 찢어 죽이고 액을 막는 제사’이니 질병과 재앙을 없애는 것이다. 옛날에 수인씨가 자식들의 액을 막으려 만든 것이다. 示를 따르며 襄이 발음이다. [汝와 羊의 반절이다]

54 禬 회 guì / 푸닥거리
會福祭也. 从示, 从會, 會亦聲. 《周禮》曰: “禬之祝號.” [古外切]
‘복을 모으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고 會를 따르며 會는 발음이기도 하다. 《주례》에 “회 제사의 축호이다.”라고 하였다. [古와 外의 반절이다]
*축호: 축문(祝文)에 쓰는 호칭. 《주례·조축》에 "詛祝, 掌盟·詛·類·造·攻·說·禬·禜之祝號."라는 문장이 보인다.

55 禪 선 shàn / 제사
祭天也. 从示, 單聲. [時戰切]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單이 발음이다. [時와 戰의 반절이다]

56 禦 어 yù / 막다
祀也. 从示, 御聲. [魚擧切]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御가 발음이다. [魚와 擧의 반절이다]

57 䄆 활 huó / 제사
祀也. 从示, 𠯑(⿱氏口)聲. [古末切]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𠯑(⿱氏口)(괄)이 발음이다. [古와 末의 반절이다]

58 禖 매 méi / 매제
祭也. 从示, 某聲. [莫桮切]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某가 발음이다. [莫과 桮의 반절이다]

59 𥚩(⿰示胥) 서 xǔ / 젯메쌀
祭具也. 从示, 胥聲. [私呂切]
‘제사 기구’이다. 示를 따르며 胥가 발음이다. [私와 呂의 반절이다]
 
60 祳 신 shèn / 제육
社肉, 盛以蜃, 故謂之祳. 天子所以親遺同姓. 从示, 辰聲. 《春秋傳》曰: “石尚來歸祳.” [時忍切]
‘토지신 제사의 고기’이니 큰 조개로 담으므로 祳이라고 말한다. 천자가 동성 제후들에게 친히 나눠주는 것이다.  《춘추좌씨전》에 “석상이 와서 신(祳)을 주었다.”라고 하였다.  [時와 忍의 반절이다]
*지금 《춘추》에는 “脤”으로 쓴다.

61 祴 개 gāi / 풍류 이름
 宗廟奏祴樂. 从示, 戒聲. [古哀切]
‘종묘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다. 示를 따르며 戒가 발음이다. [古哀切]

62 禡 마 mà / 마제
師行所止, 恐有慢其神, 下而祀之曰禡. 从示, 馬聲. 周禮曰: “禡於所征之地.” [莫駕切]
‘군대가 행진하다가 멈추는 곳에서 그 신에게 태만한 마음이 있을까봐 말에서 내려 제사 지내는 것’을 禡라고 한다. 示를 따르며 馬가 발음이다. 주나라 예법에 “마 제사를 정벌하는 땅에서 지낸다”라고 하였다. [莫과 駕의 반절이다]
*《예기·왕제》에 보인다.

63 禂 도 dǎo / 빌다
禱牲馬祭也. 从示, 周聲. 《詩》曰: “旣禡旣禂.” [都皓切] 그림19, 或从馬, 壽省聲.
‘기르는 말에게 기도하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周가 발음이다. 《시경》에 “마 제사를 지냈고 도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였다. [都와 皓의 반절이다] 그림19는 혹체이니 馬를 따르고 壽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지금 《시경》에는 “旣伯旣禱”로 되어 있다. 

그림19


64 社 사 shè / 토지신
地主也. 从示·土. 《春秋傳》曰: “共工之子句龍爲社神.” 《周禮》: “二十五家爲社, 各樹其土所宜之木.” [常者切] 그림20, 古文社.
‘땅의 주인’이다. 示와 土를 따른다. 《춘추좌씨전》에 “공공의 아들 구룡이 사신이 되었다.”라고 하였으며 주나라 예법에 “25가구가 사를 만들고 각각 그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는다.”라고 하였다. [常과 者의 반절이다] 그림 20은 社의 고문이다.
※ 지금 《춘추》에는 “共工氏有子曰句龍, 爲后土”라고 되어 있다.

그림20


65 禓 양 yáng / 길제사
道上祭. 从示, 昜聲. [與章切]
‘길 위의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昜이 발음이다. [與와 章의 반절이다]

66 祲 침 jìn / 요기
精氣感祥. 从示, 㑴省聲. 《春秋傳》曰: “見赤黑之𥛆(⿰示⿱帚又).” [子林切]
‘정기가 상서로움에 감응하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㑴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춘추좌씨전》에 “붉고 검은 𥛆(⿰示⿱帚又)을 보다.”라고 하였다. [子와 林의 반절이다]
*지금 《춘추》에는 “吾見赤黑之祲”으로 되어 있다.

67 禍 화 huò / 재앙
 害也, 神不福也. 从示, 咼聲. [胡果切]
‘재해’이니 신이 복을 내리지 않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咼가 발음이다. [胡와 果의 반절이다]

68 祟 수 suì 빌미
神禍也. 从示, 从出. [雖遂切] 그림21, 籒文祟, 从그림22省.
‘신의 화’이다. 示를 따르고 出을 따른다. [雖와 遂의 반절이다] 그림21은 祟의 주문이니 그림22를 따른다.

그림21
그림22


69 䄏 요 yāo / 재앙
地反物爲䄏也. 从示, 芺聲. [於喬切]
‘땅이 물성에 반하는 것’이 䄏이다. 示를 따르며 芺가 발음이다. [於와 喬의 반절이다]

70 祘 산 suàn / 산가지
明視以筭之. 从二示. 《逸周書》曰: “士分民之祘. 均分以祘之也.” 讀若筭. [蘇貫切]
‘밝게 보아서 셈하는 것’이다. 2개의 示를 따른다. 《일주서》에 “사는 백성의 祘을 나누는데 균등히 나누어서 셈한다”라고 하였다. 筭과 같이 읽는다. [蘇와 貫의 반절이다]

71 禁 금 jìn / 금하다
吉凶之忌也. 从示, 林聲. [居蔭切]
‘길흉의 꺼림’이다. 示를 따르며 林이 발음이다. [居와 蔭의 반절이다]

72 禫 담 dàn / 담제
除服祭也. 从示, 覃聲. [徒咸切]
‘상복을 벗는 제사’이다. 示를 따르며 覃이 발음이다. [徒와 咸의 반절이다]

文六十, 重十三
이 부에 있는 글자는 60자이고 중문은 13자이다.

73 禰 녜 ní / 아버지 사당
[親廟也. 从示, 爾聲. 一本云古文𥜬(⿰示⿱爾王)也. 泥米切.]
[‘부친의 사당’이다. 示를 따르며 爾가 발음이다. 일설에는 𥜬(⿰示⿱爾王)의 고문이라고 한다. 泥와 米의 반절이다.]

74 祧 조 tiāo / 천묘
[遷廟也. 从示, 兆聲. 他彫切.]
[‘사당을 옮기는 것’이다. 示를 따르며 兆가 발음이다. 他와 彫의 반절이다.]

75 祆 현 xiān 하늘
[胡神也. 从示, 天聲. 火千切.]
[‘호인의 신’이다. 示를 따르며 天이 발음이다. 火와 千의 반절이다.]

76 祚 조 zuò / 복
[福也. 从示, 乍聲. 臣鉉等曰: "凡祭必受胙, 胙卽福也. 此字後人所加." 徂故切.]
[‘복’이다. 示를 따르며 乍가 발음이다. 신 현 등은 말한다. "무릇 제사는 반드시 胙를 받는데 胙는 곧 복이다. 이 글자는 후대의 사람이 더한 것이다." 徂와 故의 반절이다.]

文四. [新附]
글자는 4자이다. [새로 붙였다]

《三部》
77 三 삼 sān / 셋
天·地·人之道也. 从三數. 凡三之屬皆从三. [蘇甘切] 그림23, 古文三, 从弋.
하늘, 땅, 사람의 도이다. 3획을 따른다. 무릇 三의 무리는 다 三을 따른다. [蘇와 甘의 반절이다] 그림23은 三의 고문이니 弋을 따른다.

그림23


《王部》
78 王 왕 wáng / 임금
天下所歸往也. 董仲舒曰: “古之造文者, 三畫(劃)而連其中謂之王. 三者, 天·地·人也, 而參通之者王也.” 孔子曰: “一貫三爲王.” 凡王之屬皆从王. [李陽冰曰: "中畫(劃)近上. 王者, 則天之義." 雨方切.] 그림24, 古文王.
‘천하가 귀의하는 바’이다. 동중서가 말하였다. “옛날에 문자를 만드는 자가 세 번 획을 긋고 그 가운데를 이어 王이라고 하였다. 세 가지는 하늘, 땅, 사람이니 참여하여 통하는 자가 王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나로 셋을 꿰뚫는 것이 王이다.” 무릇 王의 무리는 다 王을 따른다. [이양빙이 말하였다. "가운데 획은 위에 가깝다. 왕은 하늘의 뜻이다." 雨와 方의 반절이다.] 그림24는 王의 고문이다.

그림24


79 閏 윤 rùn / 윤달
餘分之月, 五歲再閏, 告朔之禮, 天子居宗廟, 閏月居門中. 从王在門中. 《周禮》曰: “閏月, 王居門中, 終月也.” [如順切]
‘남은 달’이니 5년에 두 번 윤달이 있고 곡삭례에 천자는 종묘에 있는데 윤월에는 문 안에 있는다. 王이 문 안에 있는 것을 따른다.  《주례》에 “윤월에 왕이 문 안에 한달 내내 있었다.”라고 하였다. [如와 順의 반절이다]
*지금  《주례》에는 “閏月, 詔王居門終月”로 되어 있다.

80 皇 황 huáng / 임금
大也. 从自. 自, 始也. 始皇者, 三皇, 大君也. 自, 讀若鼻, 今俗以始生子爲鼻子. [胡光切]
‘큰 것’이다. 自를 따른다. 自는 ‘처음’이다. 始皇은 삼황이니 위대한 임금들이다. 自는 鼻와 같이 읽는데 지금 민간에서 처음 낳은 아이를 鼻子라고 한다. [胡와 光의 반절이다]

文三, 重一.
이 부에 있는 글자는 3자이고 중문은 1자이다.

《玉部》
81 玉 옥 yù / 구슬
石之美. 有五德, 潤澤以溫, 仁之方也; 䚡理自外, 可以知中, 義之方也; 其聲舒揚, 尃以遠聞, 智之方也; 不橈而折, 勇之方也; 銳廉而不技, 絜之方也. 象三玉之連. 丨, 其貫也. 凡玉之屬皆从玉. [陽冰曰: "三畫(劃)正均如貫玉也." 魚欲切.] 그림25, 古文玉.
‘돌 중에 아름다운 것’이다. 오덕이 있으니 윤택하여서 따뜻하게 하는 것은 인의 방면이고 표면의 무늬가 밖에서 보여 안을 알 수 있는 것은 의의 방면이고 그 소리가 퍼져 한결 같아서 멀리 들리는 것은 지의 방면이고 절대 굽혀지지 않고 차라리 부러지니 용의 방면이고 예리하여도 찌르지 않으니 혈의 방면이다. 세 옥이 이어진 것을 상형하였다. 丨은 뚫은 것이다. 무릇 玉의 무리는 다 玉을 따른다. [양빙이 말하였다. "세 획이 옥을 뚫은 것처럼 바르고 가지런하다." 魚와 欲의 반절이다.] 그림25는 玉의 고문이다.

25


82 璙 료 liáo / 옥
玉也. 从玉, 尞聲. [洛簫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尞가 발음이다. [洛과 簫의 반절이다]

83 瓘 관 guàn / 옥
玉也. 从玉, 雚聲. 《春秋傳》曰: “瓘斝.” [工玩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雚이 발음이다. 《춘추좌씨전》에 “관가(瓘斝)”라고 하였다. [工과 玩의 반절이다]

84 璥 경 jĭng / 경옥
玉也. 从玉, 敬聲. [居領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敬이 발음이다.  [居와 領의 반절이다]

85 琠 전 diǎn [tiǎn] / 귀막이
玉也. 从玉, 典聲. [多殄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典이 발음이다. [多와 殄의 반절이다]
*náo는 《광운》 他典切에 근거한 발음이다.

86 𤫕(⿰王夒) 노 róu [náo] / 옥 이름 
玉也. 从玉, 夒聲. 讀若柔. [耳由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夒가 발음이다. 柔와 같이 읽는다. [耳와 由의 반절이다]
*náo는 《광운》 奴刀切에 근거한 발음이다.

87 𤪢(⿰王毄) 력 lì 옥 이름
玉也. 从玉, 毄聲. 讀若鬲. [郞擊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毄이 발음이다. 鬲과 같이 읽는다. [郞과 擊의 반절이다]

88 璠 번 fán / 번여 옥
璵璠. 魯之寶玉. 从玉, 番聲. 孔子曰: “美哉璵璠. 遠而望之, 奐若也; 近而視之, 瑟若也. 一則理勝, 二則孚勝.” [附袁切]
‘번여(璵璠)’이니 노나라의 보옥이다. 玉을 따르며 番이 발음이다. 공자가 말하였다. “아름다운 여번(璵璠)이여! 멀리서 보아도 밝고 가까이서 보아도 깨끗하다. 첫째로는 무늬가 뛰어나고 둘째로는 광채가 뛰어나다.” [附와 袁의 반절이다]

89 璵 여 yú / 번여 옥
璵璠也. 从玉, 與聲. [以諸切]
‘번여(璵璠)’이다. 玉을 따르며 與가 발음이다.  [以와 諸의 반절이다]

90 瑾 근 jǐn / 아름다운 옥
瑾瑜, 美玉也. 从玉, 堇聲. [居隱切]
‘瑾瑜’이니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堇이 발음이다. [居와 隱의 반절이다]

91 瑜 유 yú 아름다운 옥
瑾瑜, 美玉也. 从玉, 兪聲. [羊朱切]
‘瑾瑜’이니 아름다운 옥이다. 玉을 따르며 兪가 발음이다. [羊과 朱의 반절이다]

92 玒 공 hóng / 옥 이름
玉也. 从玉, 工聲. [戶工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工이 발음이다.  [戶와 工의 반절이다] 

93 𤦃(⿱來玉) 래 lái / 옥 이름
𤦃(⿱來玉)瓄, 玉也. 从玉, 來聲. [落哀切]
‘내독’이니 옥이다. 玉을 따르며 來가 발음이다. [落과 哀의 반절이다]
*琜

94 瓊 경 qióng / 구슬
赤玉也. 从玉, 夐聲. [渠營切] 그림26, 瓊或从矞. 그림27, 瓊或从巂. 그림28, 瓊或从旋省. [臣鉉等曰: "今與璿同."]
‘붉은 옥’이다. 玉을 따르며 夐이 발음이다. [渠와 營의 반절이다] 그림26은 瓊의 혹체이니 矞을 따른다. 그림27는 瓊의 혹체이니 巂를 따른다. 그림28은 瓊의 혹체이니 旋의 생략형을 따른다. [신 현 등을 말한다. "지금은 璿과 같다."]

그림26
그림27
그림28


95 珦 향 xiàng / 옥 이름
玉也. 从玉, 向聲. [許亮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向이 발음이다. [許와 亮의 반절이다]

96 㻝 랄 là / 옥 이름
玉也. 从玉, 剌聲. [盧達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剌이 발음이다. [盧와 達의 반절이다]

97 珣 순 xún / 옥 이름
醫無閭珣玗琪, 《周書》所謂‘夷玉’也. 从玉, 旬聲. 一曰器, 讀若宣. [相倫切]
의무려 지역의 ‘순우기’이니 《서경·주서》에서 말한 '이옥'이다. 玉을 따르며 旬이 발음이다. 일설에는 그릇이라 하며 宣과 같이 읽는다. [相와 倫의 반절이다]

98 璐 로 lù / 아름다운 옥
玉也. 从玉路聲. [洛故切]
‘옥’이다. 玉을 따르며 路가 발음이다. [洛과 故의 반절이다]

99 瓚 찬 zàn / 옥잔
三玉二石也. 从玉, 贊聲. 《禮》: "天子用全, 純玉也; 上公用駹, 四玉一石; 侯用瓚; 伯用埒, 玉石半相埒也." [徂贊切]
60%는 옥이고 40%는 돌이다. 玉을 따르며 贊이 발음이다. 《주례》에 “천자는 전(全)옥을 쓰니 순수한 옥이고 상공은 방(駹)옥을 쓰니 80% 옥, 20% 돌이고 후작은 찬(瓚)옥을 쓰고 백작은 날(埒)옥을 쓰니 옥과 돌이 절반으로 비율이 서로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徂와 贊의 반절이다]
*지금 《주례》에는 "天子用全, 上公用龍, 侯用瓚, 伯用將."으로 되어 있다. 

100 瑛 영 yīng / 옥빛 
玉光也. 从玉, 英聲. [於京切]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英이 발음이다. [於와 京의 반절이다]


許愼, ≪說文解字≫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모성재에서 월운 씀

540부

1. 一 (일) 하나.

2. 丄 (상) 위.  Cf. 上

3. 示 (시) 보이다.

4. 三 (삼) 셋.

5. 王 (왕) 임금.

6. 玉 (옥) 옥.

7. 玨 (각) 쌍옥.

8. 气 (기) 기운.

9. 士 (사) 선비.

10. 丨 (곤) 뚫다.

11. 屮 (철) 싹나다.

12. 艸 (초) 풀.

13. 蓐 (욕) 깔개.

14. 茻 (망) 우거지다.

 

15. 小 (소) 작다.

16. 八 (팔) 여덟.

17. 釆 (변) 분별하다.

18. 半 (반) 반.

19. 牛 (우) 소.

20. 犛 (리) 검은 소.

21. 告 (고) 알리다.

22. 口 (구) 입.

23. 凵 (감) 입 벌리다.

24. 吅 (훤) 부르짖다.

25. 哭 (곡) 울다.

26. 走 (주) 달리다.

27. 止 (지) 그치다.

28. 𣥠 ⿰⿱⿰一〢一止 (발) 등지다.  Cf. 癶

29. 步 (보) 걷다.

30. 此 (차) 이.

31. 正 (정) 바르다.

32. 是 (시) 이.

33. 辵 (착) 가다.  Cf. 辶

34. 彳 (척) 걷다.

35. 廴 (인) 걷다.

36. 㢟 (천) 걷다.  Cf. 辿 

37. 行 (행) 다니다.

38. 齒 (치) 이.

39. 牙 (아) 어금니.

40. 足 (족) 발.

41. 疋 (소) 발.

42. 品 (품) 물건.

43. 龠 (약) 피리.

44. 冊 (책) 책.

 

45. 㗊 (집) 뭇입.

46. 舌 (설) 혀.

47. 干 (간) 방패.

48. 𧮫 ⿱仌口 (각) 입천장.  Cf. 臄

49. 只 (지) 다만.

50. 㕯 (눌) 말 더듬다.  Cf. 訥

51. 句 (구) 글귀. 

52. 丩 (구) 얽히다.  Cf. 糾

53. 古 (고) 옛.

54. 十 (십) 열.

55. 卅 (삽) 서른.

56. 言 (언) 말씀.

57. 誩 (경) 말다툼하다.

58. 音 (음) 소리.

59. 䇂 (건) 허물.

60. 丵 (착) 풀 무성하다.

61. 菐 (복) 번거롭다.

62. 𠬞 ⿰⿻丿𠄌又 (공) 들다.  Cf. 廾

63. 𠬜 ⿰又⿻乚𠃊 (반) 당기다.

64. 共 (공) 한가지.

65. 異 (이) 다르다.

66. 舁 (여) 마주 들다.

67. 𦥑 (국) 깍지 끼다.

68. 䢅 (신) 새벽.  Cf. 晨

69. 爨 (찬) 부뚜막.

70. 革 (혁) 가죽.

71. 鬲 (력) 솥.

72. 䰜 (력) 다리 굽은 솥.

73. 爪 (조) 손톱.

74. 丮 (극) 잡다.

75. 鬥 (투) 싸우다.

76. 又 (우) 오른손, 또.

77. 𠂇 (좌) 왼손.

78. 史 (사) 사기.

79. 支 (지) 지탱하다.

80. 𦘒 (녑) 붓.

81. 聿 (율) 붓.

82. 畫 (화) 그림/ (획) 긋다.

83. 隶 (대) 미치다.

84. 臤 (간) 굳다.

85. 臣 (신) 신하.

86. 殳 (수) 몽둥이.

87. 殺 (살) 죽이다.

88. 𠘧 ⿰丿㇍ (수) 새의 짧은 깃털.

89. 寸 (촌) 마디.

90. 皮 (피) 가죽.

91. 㼱 (연) 무두질한 가죽.

92. 攴 (복) 치다.

93. 敎 (교) 가르치다.

94. 卜 (복) 점.

95. 用 (용) 쓰다.

96. 爻 (효) 점괘.

97. 㸚 (리) 밝은 모양.

 

98. 𡕥 ⿱目夂 (혈) 눈짓하다.

99. 目 (목) 눈.

100. 䀠 (구) 두리번거리다.

101. 眉 (미) 눈썹.

102. 盾 (순) 방패.

103. 自 (자) 코, 스스로.

104. 白 [위와 같은 글자] 

105. 鼻 (비) 코.

106. 皕 (벽) 이백.

107. 習 (습) 익히다.

108. 羽 (우) 깃털.

109. 隹 (추) 새.

110. 奞 (수) 날개 치다.

111. 萑 (환) 물억새.

112. 𠁥 ⿱⿰入人丨 (개) 양 뿔.  Cf. 𦫳

113. 𥄕 ⿱卝目 (멸) 사팔눈.

114. 羊 (양) 양.

115. 羴 (선/전) 누린내.

116. 瞿 (구) 보다.

117. 雔 (수) 새 한 쌍.

118. 雥 (잡) 떼새.

119. 鳥 (조) 새.

120. 烏 (오) 까마귀.

121. 𠦒 ⿻⿻丨𠄟龷 (반) 키.

122.  冓 (구) 짜다.

123. 幺 (요) 작다.

124. 𢆶 ⿰幺幺 (유) 작다.

125. 叀 (전) 삼가다.

126. 玄 (현) 검다.

127. 予 (여) 주다.

128. 放 (방) 놓다.

129. 𠬪 ⿱爫又 (표) 떨어지다.

130. 𣦼 ⿰歺又 (잔) 뚫다가 남다.

131. 歺 (알) 부서진 뼈.

132. 死 (사) 죽다.

133. 冎 (과) 뼈 발라내다.

134. 骨 (골) 뼈.

135. 肉 (육) 고기.

136. 筋 (근) 힘줄.

137. 刀 (도) 칼.

138. 刃 (인) 칼날.

139. 㓞 (갈) 교묘히 새기다.

140. 丯 (개) 산란하다.

141. 耒 (뢰) 쟁기.

 

142. 角 (각) 뿔.

143. 竹 (죽) 대나무.

144. 箕 (기) 키.

145. 丌 (기) 책상.

146. 左 (좌) 돕다.  Cf. 佐

147. 工 (공) 장인.

148. 㠭 (전) 살펴보다.

149. 巫 (무) 무당.

150. 甘 (감) 달다.

151. 旨 (지) 맛, 뜻.

152. 曰 (왈) 말하다.

153. 乃 (내) 이에.

154. 丂 (고) 숨 내쉬다.

155. 可 (가) 옳다.

156. 兮 (혜) 어조사.

157. 号 (호) 부르짖다.

158. 亏 (우) 어조사.  Cf. 于

159. 喜 (희) 기쁘다.

160. 壴 (주) 악기.

161. 鼓 (고) 북.

162. 豈 (기) 개선가, 어찌.

163. 豆 (두) 제기, 콩.

164. 豊 (례) 예기.  Cf. 禮

165. 豐 (풍) 풍성하다.

166. 䖒 (희) 옛날 그릇.

167. 虍 (호) 호랑이 무늬.

168. 虎 (호) 호랑이.

169. 虤 (안) 호랑이가 성내다.

170. 皿 (명) 그릇.

171. 𠙴 ⿰𠃋㇏ (거) 밥그릇.

172. 去 (거) 가다.

173. 血 (혈) 피.

174. 丶 (주) 점. 

175. 丹 (단) 붉다.

176. 靑 (청) 푸르다.

177. 丼 (정) 우물.  Cf. 井.

178. 皀 (핍) 향기롭다.

179. 鬯 (창) 울창주.

180. 𩚁 ⿱亼㫐 (식) 먹다.  Cf. 食

181. 亼 (집) 삼합.

182. 會 (회) 모이다.

183. 倉 (창) 곳집.

184. 入 (입) 들어가다.

185. 缶 (부) 질그릇.

186. 矢 (시) 화살.

187. 高 (고) 높다.

188. 冂 (경) 멀다.

189. 𩫖 (곽) 헤아리다.

190. 京 (경) 서울.

191. 亯 (향) 드리다.  Cf.

192. 𣆪 ⿳日⿶凵口亅 (후) 두텁다.  Cf.

193. 畗 (복) 가득하다.  Cf. 畐

194. 㐭 (름) 곳집.  Cf. 廩

195. 嗇 (색) 아끼다. 

196. 來 (래) 오다.

197. 麥 (맥) 보리.

198. 夊 (쇠) 걷다.

199. 舛 (천) 어그러지다.

200. 舜 (순) 순채, 순임금.

201. 韋 (위) 가죽.

202. 弟 (제) 아우.

203. 夂 (치) 오다.

204. 久 (구) 오래다.

205. 桀 (걸) 찢어 죽이다, 걸왕.

 

206. 木 (목) 나무.

207. 東 (동) 동쪽.

208. 林 (림) 수풀.

209. 才 (재) 재주.

210. 叒 (약) 나무 이름. 

211. 之 (지) 가다.

212. 帀 (잡) 두르다.

213. 出 (출) 나오다.

214. 𣎵 ⿻屮人 (발) 성하다.

215. 生 (생) 나다.

216. 乇 (탁) 풀잎.

217. 𠂹 ⿱丿⿲仌丨仌 (수) 드리우다.  Cf. 垂

218. 𠌶 ⿱217亏(화) 꽃.

219. (화) 꽃.  Cf.

220. 𥝌 ⿻𠂆𠆣 (계) 더 자라지 못하다.

221. 𥠻 ⿰220⿱尤旨 (계) 머무르다.

222. 巢 (소) 새집.

223. 桼 (칠) 옻.

224. 束 (속) 묶다.

225. 㯻 (혼) 자루.

226. 囗 (위) 에워싸다.  Cf. 圍

227. 員 (원) 인원.

228. 貝 (패) 조개.

229. 邑 (읍) 고을.

230. 𨛜  (항) 골목.

 

231. 日 (일) 해.

232. 旦 (단) 아침.

233. 倝 (간) 햇빛이 빛나는 모양.

234. 㫃 (언) 깃발이 나부끼다.

235. 冥 (명) 어둡다.

236. 晶 (정) 수정.

237. 月 (월) 달.

238. 有 (유) 있다.

239. 朙 (명) 밝다.

240. 囧 (경) 빛나다.

241. 夕 (석) 저녁.

242. 多 (다) 많다.

243. 毌 (관) 꿰뚫다.

244. 𢎘 ⿱𠃌㇉ (함) 꽃봉오리.

245. 𣐺 ⿻十⿳尸尸人 (함) 드리우다.

246. 𠧪 ⿱⺊⿴囗仌 (조) 열매가 열리다.

247. 齊 (제) 가지런하다.

248. 朿 (자) 가시.

249. 片 (편) 조각.

250. 鼎 (정) 솥.

251. 克 (극) 이기다.

252. 彔 (록) 새기다. 

253. 禾 (화) 벼.

254. 秝 (력) 나무가 성글다.

255. 黍 (서) 기장.

256. 香 (향) 향기.

257. 米 (미) 쌀.

258. 毇 (훼) 쓿다.

259. 臼 (구) 절구.

260. 凶 (흉) 흉하다.

261. 朩 (빈) 삼줄기 껍질.

262. 𣏟 (패) 삼베. 

263. 麻 (마) 삼.

264. 尗 (숙) 콩.  Cf. 菽

265. 耑 (단) 끝.  Cf. 端

266. 韭 (구) 부추.

267. 瓜 (과) 오이.

268. 瓠 (호) 박.

269. 宀 (면) 집.

270. 宮 (궁) 집.

271. 呂 (려) 등뼈, 음률.

272. 穴 (혈) 구멍.

273. 㝱 (몽) 꿈.  Cf. 夢

274. 疒 (녁) 병들다.

275. 冖 (멱) 덮다.

276. 𠔼 ⿵冂一 (모) 겹쳐서 덮다.

277. 冃 (모) 쓰개.

278. 㒳 (량) 둘.  Cf. 兩

279. 网 (망) 그물.  Cf. 罔

280. 襾 (아) 덮다.

281. 巾 (건) 수건.

282. 巿 (시) 저자.

283. 帛 (백) 비단.

284. 白 (백) 희다.

285. 㡀 (폐) 해지다.  Cf. 弊

286. 黹 (치) 바느질.

 

287. 人 (인) 사람.

288. 𠤎 (화) 되다.  Cf. 化

289. 匕 (비) 비수, 숟가락.

290. 从 (종) 따르다.  Cf. 從

291. 比 (비) 나란하다.

292. 北 (북) 북쪽.

293. 丠 (구) 언덕.  Cf. 丘

294. 㐺 (음) 무리. 

295. 𡈼 (정) 빼어나다.

296. 重 (중) 무겁다.

297. 臥 (와) 눕다.

298. 身 (신) 몸.

299. 㐆 (의) 돌아가다.

300. 衣 (의) 옷.

301. 裘 (구) 가죽옷.

302. 老 (로) 늙다.

303. 毛 (모) 털.

304. 毳 (취) 솜털.

305. 尸 (시) 펴다, 주검.

306. 尺 (척) 자.

307. 尾 (미) 꼬리.

308. 𡳐 ⿸尸⿰彳⿱舟夊 (리) 밟다.  Cf.

309. 舟 (주) 배.

310. 方 (방) 모.

311. 儿 (인) 사람.

312. 兄 (형) 맏이.

313. 兂 (잠) 비녀.  Cf.

314. 皃 (모) 모양.  Cf. 貌

315. 𠑹 ⿰匚⿺儿コ (고) 막다.

316. 先 (선) 먼저.

317. 禿 (독) 대머리.

318. 見 (견) 보다.

319. 覞 (요) 아울러 보다.

320. 欠 (흠) 하품.

321. 㱃 (음) 마시다.  Cf. 飲

322. 㳄 (선/연) 침.  Cf.

323. 旡 (기) 목메다.

324. 頁 (혈) 머리.

 

325. 𦣻 (수) 머리.

326. 面 (면) 얼굴.

327. 丏 (면) 가리다.

328. 𩠐 ⿱巛𦣻 (수) 머리.  Cf.

329. 𥄉 ⿱⿺𠃊目巛 (교) 형벌.

330. 須 (수) 수염, 모름지기.

331. 彡 (삼) 터럭.

332. 彣 (문) 문채.

333. 文 (문) 글.

334. 髟 (표) 늘어지다.

335. 后 (후) 임금.

336. 司 (사) 맡다.

337. 卮 (치) 잔.  Cf.

338. 卪 (절) 병부.  Cf. 㔾

339. 印 (인) 도장.

340. 色 (색) 빛.

341. 𠨍 ⿰⿰𠄌丿卩 (경/제) 조절하다.

342. 辟 (벽) 법.

343. 勹 (포) 싸다.

344. 包 (포) 아이를 배다.

345. 茍 (극) 빠르다.

346. 鬼 (귀) 귀신.

347. 甶 (불) 귀신머리.

348. 厶 (사) 사사롭다.  Cf. 私

349. 嵬 (외) 높다.

350. 山 (산) 뫼.

351. 屾 (신) 같이 선 산.

352. 屵 (알) 산 높은 모양.

353. 广 (엄) 집.

354. 厂 (한) 기슭.

355. 丸 (환) 둥글다.

356. 危 (위) 위태하다. 

357. 石 (석) 돌.

358. 長 (장) 어른.

359. 勿 (물) 하지 말라.

360. 冄 (염) 나아가다.

361. 而 (이) 말 잇는 말.

362. 豕 (시) 돼지.

363. 㣇 (이) 털 긴 짐승.

364. 彑 (계) 돼지 머리.

365. 豚 (돈) 돼지.

366. 豸 (치) 벌레.

367. 𤉡 ⿱凹⿹勹灬 (시) 외뿔소.  Cf. 兕

368. 易 (역) 바꾸다.

369. 象 (상) 코끼리.

 

370. 馬 (마) 말.

371. 𢊁 ⿸广⿱⿻〢コ⿹勹灬 (치) 해치.  Cf. 廌

372. 鹿 (록) 사슴.

373. 麤 (추) 거칠다.

374. 㲋 (착) 짐승 이름.

375. 兔 (토) 토끼.

376. 萈 (환) 뿔이 가는 산양.

377. 犬 (견) 개.

378. 㹜 (은) 개가 싸우다.

379. 鼠 (서) 쥐.

380. 能 (능) 능하다.

381. 熊 (웅) 곰.

382. 火 (화) 불.

383. 炎 (염) 불꽃.

384. 黑 (흑) 검다.

385. 囪 (창) 창.

386. 焱 (염) 불꽃.

387. 炙 (자) 굽다.

388. 赤 (적) 붉다.

389. 大 (대) 크다.

390. 亦 (역) 또.

391. 夨 (녈) 머리가 기울다.

392. 夭 (요) 굽히다.

393. 交 (교) 사귀다.

394. 尣 (왕) 절름발이.  Cf. 尢

395. 壺 (호) 병.

396. 壹 (일) 하나.

397. (녑) 놀라게 하다.  Cf.

398. 奢 (사) 사치하다.

399. 亢 (항) 목.

400. 夲 (토) 나아가다.

401. 夰 (고) 놓다, 쫓다.

402. 亣 (대) 크다.  Cf. 大

403. 夫 (부) 사내.

404. 立 (립) 서다.

405. 竝 (병) 나란하다.

406. 囟 (신) 정수리.

407. 思 (사) 생각하다.

408. 心 (심) 마음.

409. 惢 (쇄) 의심하다.

 

410. 水 (수) 물.

411. 沝 (주) 두 갈래 강.

412. 瀕 (빈) 물가.

413. 𡿨 (견) 봇도랑.

414. 巜 (괴) 큰도랑.

415. 川 (천) 내.

416. 泉 (천) 샘.

417. 灥 (순) 많은 물줄기.

418. 永 (영) 길다.

419. 𠂢 (파) 갈래.

420. 谷 (곡) 골.

421. 仌 (빙) 얼음.  Cf. 冰

422. 雨 (우) 비. 

423. 雲 (운) 구름.

424. 魚 (어) 물고기.

425. 𩺰 (어) 두 마리 물고기.

426. 燕 (연) 제비.

427. 龍 (룡) 용.

428. 飛 (비) 날다.

429. 非 (비) 아니다.

430. 卂 (신) 빨리 날다.

 

431. 𠃉 (을) 새.  Cf. 乙

432. 不 (불) 아니.

433. 至 (지) 이르다.

434. 西 (서) 서쪽.

435. 鹵 (로) 짠땅.

436. 鹽 (염) 소금.

437. 戶 (호) 지게문.

438. 門 (문) 문.

439. 耳 (이) 귀.

440. 𦣞 ⿷匚⿳丨口丨 (이) 턱.  Cf.

441. 手 (수) 손.

442. 𠦬 ⿻217一 (괴) 등뼈.

443. 女 (녀) 여자.

444. 毋 (무) 하지 말라.

445. 民 (민) 백성.

446. 丿 (별) 삐치다.

447. 𠂆 (예) 당기다.

448. 乁 (이) 흐르다.

449. 氏 (씨) 성씨.

450. 氐 (저) 근본.

451. 戈 (과) 창.

452. 戉 (월) 도끼.

453. 我 (아) 나.

454. 亅 (궐) 갈고리.

455. 珡 (금) 거문고.  Cf. 琴

456. 乚 (은) 숨다.  Cf. 隱

457. 亡 (망) 망하다.

458. 匸 (혜) 감추다.

459. 匚 (방) 상자.

460. 曲 (곡) 굽다.

461. 𠙹 ⿶凵⿻丨⿱丿一 (치) 질그릇.  Cf.

462. 瓦 (와) 기와.

463. 弓 (궁) 활.

464. 弜 (강) 강하다.  Cf.

465. 弦 (현) 활시위. 

466. 系 (계) 매다.

 

467. 糸 (멱) 가는 실.

468. 素 (소) 희다.

469. 絲 (사) 실.

470. 率 (솔) 거느리다.

471. 虫 (훼) 벌레.

472. 䖵 (곤) 벌레.

473. 蟲 (충) 벌레.

474. 風 (풍) 바람.

475. 它 (타) 뱀.  Cf. 蛇

476. 龜 (귀) 거북.

477. 黽 (맹) 맹꽁이.

478. 卵 (란) 알.

479. 二 (이) 둘.

480. 土 (토) 흙.

481. 垚 (요) 높은 모양.

482. 堇 (근) 진흙.

483. 里 (리) 마을.

484. 田 (전) 밭.

485. 畕 (강) 나란히 있는 밭.

486. 黃 (황) 누렇다.

487. 男 (남) 남자.

488. 力 (력) 힘.

489. 劦 (협) 화합하다.  Cf. 協

 

490. 金 (금) 쇠.

491. 幵 (견) 평평하다.

492. 勺 (작) 국자.

493. 几 (궤) 안석.

494. 且 (차) 또.

495. 斤 (근) 도끼.

496. 斗 (두) 말.

497. 矛 (모) 창.

498. 車 (거/차) 수레.

499. 𠂤 (퇴) 쌓다.

500. 𨸏 (부) 언덕.  Cf. 阜

501. 𨺅 ⿰𨸏↔𨸏 (수) 두 언덕 사이.

502. 厽 (류) 담 쌓다.

503. 四 (사) 넷.

504. 宁 (저) 뜰.  Cf. 貯 

505. 叕 (철) 엮다.  Cf. 綴

506. 亞 (아) 버금.

507. 五 (오) 다섯.

508. 六 (륙) 여섯.

509. 七 (칠) 일곱.

510. 九 (구) 아홉.

511. 厹 (유) 발자국  Cf. 禸

512. 嘼 (축) 가축.  Cf. 獸

513. 甲 (갑) 갑옷, 첫째 천간.

514. 乙 (을) 둘째 천간.

515. 丙 (병) 셋째 천간.

516. 丁 (정) 넷째 천간.

517. 戊 (무) 다섯째 천간.

518. 己 (기) 몸, 여섯째 천간.

519. 巴 (파) 뱀.

520. 庚 (경) 일곱째 천간.

521. 辛 (신) 맵다, 여덟째 천간.

522. 辡 (변) 따지다.

523. 壬 (임) 아홉째 천간.

524. 癸 (계) 열째 천간.

525. 子 (자) 자식, 첫째 지지.

526. 了 (료) 마치다.

527. 孨 (전) 삼가다.

528. 𠫓 (돌) 갑자기. 

529. 丑 (축) 둘째 지지.

530. 寅 (인) 셋째 지지.

531. 卯 (묘) 넷째 지지.

532. 辰 (진/신) 다섯째 지지.

533. 巳 (사) 여섯째 지지.

534. 午 (오) 일곱째 지지.

535. 未 (미) 여덟째 지지.

536. 申 (신) 아홉째 지지.

537. 酉 (유) 열째 지지.

538. 酋 (추) 묵은 술, 우두머리.

539. 戌 (술) 열한째 지지.

540. 亥 (해) 열두째 지지.


許愼, ≪說文解字≫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모성재에서 월운 씀

원문

古者庖羲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視鳥獸之文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始作≪易≫八卦, 以垂憲象. 及神農氏, 結繩爲治, 而統其事. 庶業其繁, 飾僞萌生. 黃帝史官倉頡, 見鳥獸蹄迒之跡, 知分理之可相別異也, 初造書契. 百工以乂, 萬品以察, 蓋取諸夬. “夬, 揚於王庭”, 言文者, 宣敎明化於王者朝庭, “君子所以施祿及下, 居德則忌”也.

 

倉頡之初作書, 蓋依類象形, 故謂之文. 其後形聲相益, 卽謂之字. 文者, 物象之本; 字者, 言孳乳而寖多也. 著於竹帛謂之書. 書者, 如也. 以迄五帝三王之世, 改易殊體, 封於泰山者七十有二代, 靡有同焉.

 

≪周禮≫: "八歲入小學, 保氏敎國子, 先以六書. 一曰指事. 指事者, 視而可識, 察而見意, “上·下”是也. 二曰象形. 象形者, 畫成其物, 隨體詰詘, “日·月”是也. 三曰形聲. 形聲者, 以事爲名, 取譬相成, “江·河”是也. 四曰會意. 會意者, 比類合誼, 以見指撝, “武·信”是也. 五曰轉注. 轉注者, 建類一首, 同意相受, “考·老”是也. 六曰假借. 假借者, 本無其事, 依聲託事, “令·長”是也.

 

宣王太史, 著大篆十五篇, 與古文或異. 至孔子書六經, 左丘明述≪春秋傳≫, 皆以古文, 厥意可得而說也.

 

其後諸侯力政, 不統於王. 惡禮樂之害己, 而皆去其典籍. 分爲七國, 田疇異畝, 車涂異軌, 律令異法, 衣冠異制, 言語異聲, 文字異形. 秦始皇帝初兼天下, 丞相李斯乃奏同之, 罷其不與文合者. 斯作≪倉頡篇≫. 中車府令趙高作≪爰歷篇≫. 大史令胡毋敬作≪博學篇≫. 皆取≪史籀≫大篆, 或頗省改, 所謂小篆也.

 

是時, 燒滅經書, 滌除舊典. 大發吏卒, 興戍役. 官獄職務繁, 初有隸書, 以趣約易, 而古文由此絕矣. 自爾書有八體: 一曰大篆, 二曰小篆, 三曰刻符, 四曰蟲書, 五曰摹印, 六曰署書, 七曰殳書, 八曰隸書.

 

興有草書. 尉律: 學僮十七以上始試. 諷籀書九千字, 乃得爲史. 又以八體試之. 郡移太史並課. 最者, 以爲尚書史. 書或不正, 輒擧劾之. 今雖有尉律, 不課, 小學不修, 莫達其說久矣.

 

孝宣皇帝時, 召通≪倉頡≫讀者, 張敞從受之. 涼州刺史杜業, 沛人爰禮, 講學大夫秦近, 亦能言之. 孝平皇帝時, 徵禮等百餘人, 令說文字未央廷中, 以禮爲小學元士. 黃門侍郞揚雄, 采以作≪訓纂篇≫. 凡≪倉頡≫以下十四篇, 凡五千三百四十字, 群書所載, 略存之矣.

 

及亡居攝, 使大司空甄豐等校文書之部. 自以爲應制作, 頗改定古文. 時有六書: 一曰古文, 孔子壁中書也. 二曰奇字, 卽古文而異也. 三曰篆書, 卽小篆. 四曰左書, 卽秦隸書. 秦始皇帝使下杜程邈所作也. 五曰繆篆, 所以摹印也. 六曰鳥蟲書, 所以書幡信也.

 

壁中書者, 魯恭王孔子宅, 而得≪禮記≫·≪尚書≫·≪春秋≫·≪論語≫·≪孝經≫. 又北平侯張蒼獻≪春秋左氏傳≫. 郡國亦往往於山川得鼎彝, 其銘卽前代之古文, 皆自相似. 雖叵復見遠流, 其詳可得略說也.

 

而世人大共非訾, 以爲好奇者也, 故詭更正文, 鄕壁虛造不可知之書, 變亂常行, 以耀於世. 諸生競逐說字, 解經誼, 稱之隸書爲倉頡時書, 云: “父子相傳, 何得改易!”乃猥曰: “馬頭人爲長, 人持十爲斗, 虫者, 屈中也.” 廷尉說律, 至以字斷法: “苛人受錢, 苛之字止句也.” 若此者甚眾, 皆不合孔氏古文, 謬於≪史籀≫. 俗儒鄙夫, 翫其所習, 蔽所希聞. 不見通學, 未嘗睹字例之條. 怪舊埶而善野言, 以其所知爲秘妙, 究洞聖人之微恉. 又見≪倉頡篇≫中“幼子承詔”, 因曰: “古帝之所作也, 其辭有神僊之術焉.” 其迷誤不諭, 豈不悖哉!

 

≪書≫曰: “予欲觀古人之象.” 言必遵修舊文而不穿鑿. 孔子曰: “吾猶及史之闕文, 今亡矣夫.” 蓋非其不知而不問. 人用己私, 是非無正, 巧說邪辭, 使天下學者疑.

 

蓋文字者, 經藝之本, 王政之始. 前人所以垂後, 後人所以識古. 故曰: “本立而道生.” 知天下之至賾而不可亂也. 今敘篆文, 合以古籀; 博采通人, 至於小大; 信而有證, 稽譔其說. 將以理群類, 解謬誤, 曉學者, 達神恉. 分別部居, 不相雜廁也. 萬物咸睹, 靡不兼載. 厥誼不昭, 爰明以喻. 其稱≪易≫孟氏·≪書≫孔氏·≪詩≫毛氏·≪禮≫周官·≪春秋≫左氏·≪論語≫·≪孝經≫, 皆古文也. 其於所不知, 蓋闕如也.

 

번역

https://blog.naver.com/tigerkur/221997488607

 

중고문 6월 11일 강의

https://youtu.be/_e4SKaBk5tw

blog.naver.com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