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予와 呂는 동원(同源: 동일한 기원) 관계이다. 呂는 본래 금속 덩어리를 상형하여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가차의 원리로 {나(1인칭)}라는 단어를 기록하게 되자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형태 자체를 바꾸어 予로 분화시켰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후한 말 경학자 허신이 편찬한 ≪설문해자≫에는 予를 상하반전시킨 𠄔(幻)이라는 글자가 있다. 허신은 "서로 속이고 미혹하는 것이다. 거꾸로 된 予의 의미를 따른다."라고 해석하였으나 이는 옳지 않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幻의 고문자 자형을 보면 왼쪽에 실타래가 있고 오른쪽에 곡선이 붙어있는 형태이며, 予나 呂의 자형과 전혀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언어학자 장스차오(張世超)는 활 시위를 상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Copyright ⓒ 2022 by Worun (worungong@gmail.com)


https://youtu.be/tlhHmIVo1WE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逆의 갑골문은 아랫 부분은 이동을 의미하는 辶, 윗 부분은 大의 상하반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大는 성인 남성을 상형하여 만든 글자이다. 성인 남성은 아이나 여성보다 체구가 크기 때문에 '크다'라는 단어를 기록할 수 있었다. 이 大의 위아래를 거꾸로 하면 逆의 윗 부분이 된다. 따라서 逆은 '거스르다, 반대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고대 중국어에는 양입대전이라는 음운 현상이 있었다. 양입대전이란 비음으로 끝나는 음절이 파열음으로 끝나는 음절과 교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비음(-ng)으로 끝나는 迎은 파열음(-k)으로 끝나는 逆과 어원적으로 연관이 있다. 또한 반대편은 맞은편을 가리키고, 맞은편이 곧 반대편이므로 의미상으로도 연관이 있다. 결론적으로 逆은 '맞이하다'라는 의미 역시 가진다.


https://youtu.be/CGBIhLPTPcA

모성재에서 월운 씀

Copyright ⓒ 2021 by Worun (worungong@gmail.com)

史와 관련이 있는 글자는 叓(事), 使, 吏 등이 있다. 이 네 개의 글자들은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다. 갑골문을 보면 아랫 부분은 손을 의미하는 又, 윗 부분은 사냥도구를 본뜬 것이다. 이것이 사냥도구라는 증거는 敢에서 찾을 수 있다. 敢의 갑골문은 윗 부분은 豕, 아랫 부분은 역시 사냥도구로 이루어져 있다. 앞에 나서서 사냥도구로 야생동물을 잡는 행위가 용감(勇敢)하다는 것이다. 샤냥은 과거에 중요한 일이었기 때문에 여기서 일하다, 종사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

따라서 일이라는 의미는 事로 나타내고, 사건의 기록, 즉 역사라는 의미는 史, 일을 시키다라는 의미는 人을 붙여서 使, 그 일을 하는 사람은 吏를 통해 나타내게 되었다.


https://youtu.be/788qRTcZVSM

모성재에서 월운 씀

본 게시글의 내용을 다른 곳에 활용하실 경우에는 출처(닉네임, 블로그 이름, URL링크 가운데 한 가지)를 밝히셔야 합니다. 

 

201) 瑚 (호, hú) 산호

珊瑚也. 从玉, 胡聲.

‘산호’이다. 玉을 따르며 胡가 발음이다.

 

202) 𤥗 (류, liú) 옥돌

石之有光, 璧𤥗也. 出西胡中. 从玉, 戼聲.

‘돌 가운데 빛이 나는 것이니 벽류(璧𤥗)’이다. 서역 중에서 난다. 玉을 따르며 戼가 발음이다.

 

203) 琀 (함, hán) 빈함옥

送死口中玉也. 从玉, 从含, 含亦聲.

‘죽은 이의 입 속에 넣는 옥’이다. 玉을 따르고 含을 따르며 含은 발음이기도 하다.

 

204) 𤪎 (유, yǒu)

遺玉也. 从玉, 𣣸聲.

‘[죽은 이에게] 남겨주는 옥’이다. 玉을 따르며 𣣸가 발음이다.

 

205) 璗 (탕, dàng) 황금

金之美者. 與玉同色. 从玉, 湯聲. 《禮》: “佩刀, 諸矦璗琫而璆珌.”

‘쇠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다. 옥과 색이 같다. 玉을 따르며 湯이 발음이다. 예에 “차는 칼은 제후는 쇠로 칼 위를 장식하고 璆로 칼 아래를 장식한다.”

 

206) 𩆜 (령, líng) 신령

𩆜巫. 以玉事神. 从玉, 霝聲.

‘신령스러운 무당’이다. 옥으로 신을 섬긴다. 玉을 따르며 霝이 발음이다.

 

207) 珈 (가, jiā) 머리꾸미개

婦人首飾. 从玉, 加聲. 《詩》曰: “副筓六珈.”

‘부인의 머리 꾸미개’이다. 玉을 따르며 加가 발음이다. 시경에 “쪽비녀에 여섯 가지 꾸미개”라고 하였다.

※ 副笄六珈

 

208) 璩 (거, qú) 옥고리

環屬. 从玉, 豦聲. 見《山海經》.

옥고리 종류이다. 玉을 따르며 豦가 발음이다. 산해경에 보인다.

※ 산해경 중산경에는 鐻로 되어 있다.

 

209) 琖 (잔, zhǎn) 옥잔

玉爵也. 夏曰琖, 殷曰斚, 周曰爵. 从玉, 戔聲. 或从皿.

‘옥잔’이다. 하나라는 琖이라 하고 은나라는 斚라 하고 주나라는 爵이라 한다. 玉을 따르며 戔이 발음이다. 혹은 皿을 따른다.

 

210) 琛 (침, chēn) 보배

寶也. 从玉, 深省聲.

‘보배’이다. 玉을 따르며 深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211) 璫 (당, dāng) 귀고리 옥

華飾也. 从玉, 當聲.

‘화려한 장식’이다. 玉을 따르며 當이 발음이다.

 

212) 琲 (배, bèi) 구슬꿰미

珠五百枚也. 从玉, 非聲.

구슬 500매이다. 玉을 따르며 非가 발음이다.

 

213) 珂 (가, kē) 마노

玉也. 从玉, 可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可가 발음이다.

 

214) 玘 (기, qǐ) 패옥

玉也. 从玉, 己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己가 발음이다.

 

215) 珝 (후, xǔ) 옥 이름

玉也. 从玉, 羽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羽가 발음이다.

 

216) 璀 (최, cuǐ) 빛나다

璀璨, 玉光也. 从玉, 崔聲.

‘최찬(璀璨), 즉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崔가 발음이다.

 

217) 璨 (찬, càn) 옥빛

玉光也. 从玉, 粲聲.

‘옥빛’이다. 玉을 따르며 粲이 발음이다.

 

218) 琡 (숙, chù) 옥 이름

玉也. 从玉, 叔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叔이 발음이다.

 

219) 瑄 (선, xuān) 도리옥

璧六寸也. 从玉, 宣聲.

‘璧이 6촌인 것’이다. 玉을 따르며 宣이 발음이다.

 

220) 珙 (공, gǒng) 옥

玉也. 从玉, 共聲.

‘옥’이다. 玉을 따르며 共이 발음이다.

 

221) 玨 (각, jué) 쌍옥

二玉相合爲一𤤴. 凡𤤴之屬皆从𤤴.

‘두 옥이 서로 합해져 하나의 쌍옥이 된 것’이다. 무릇 𤤴의 무리는 다 𤤴을 따른다.

 

222) 班 (반, bān) 나누다

分瑞玉. 从𤤴, 从刀.

‘상서로운 옥을 나눈 것’이다. 𤤴을 따르고 刀를 따른다.

 

223) 𨌥 (복, fú) 가죽 주머니

車笭閒皮篋. 古者使奉玉以藏之. 从車·𤤴. 讀與服同.

‘수레 난간 사이의 가죽 상자’이다. 옛날에 사신이 옥을 받들고 가는데 이곳에 보관하였다. 車, 𤤴을 따른다. 服과 같이 읽는다.

 

224) 气 (기, qì) 기운

雲气也. 象形. 凡气之屬皆从气.

‘구름의 기운’이다. 상형문자이다. 무릇 气의 무리는 다 气를 따른다.

 

225) 氛 (분, fēn)

祥气也. 从气, 分聲.

‘상서로운 기운’이다. 气를 따르며 分이 발음이다.

 

226) 士 (사, shì) 선비

事也. 數始於一, 終於十. 从一, 从十. 孔子曰: “推十合一爲士.” 凡士之屬皆从士.

‘일을 맡는 것’이다. 수는 一에서 시작해 十에서 끝난다. 一을 따르고 十을 따른다. 공자가 말하였다. “열 가지를 미루어서 하나에 부합시키는 사람이 士이다.” 무릇 士의 무리는 다 士를 따른다.

 

227) 壻 (서, xù) 사위

夫也. 从士, 胥聲. 《詩》曰: “女也不爽, 士貳其行.” 士者, 夫也. 讀與細同.

‘남편’이다. 士를 따르며 胥가 발음이다. 시경에 “여자는 잘못한 게 아니고 남자가 행실을 바꾼 것이다”라고 하니 士는 ‘남편’이다. 細와 같이 읽는다.

 

228) 壯 (장, zhuàng) 장하다

大也. 从士, 爿聲.

‘큰 것’이다. 士를 따르며 爿이 발음이다.

 

229) 壿 (준, zūn) 너풀거려 추다

舞也. 从士, 尊聲. 《詩》曰: “墫墫舞我.”

‘춤’이다. 士를 따르며 尊이 발음이다. 시경에 “너풀너풀 내게 춤을 춘다”라고 하였다.

※ 지금 시경에는 “蹲蹲舞我”로 되어 있다.

 

230) 丨 (곤, gǔn) 뚫다

上下通也. 引而上行讀若囟, 引而下行讀若𨓆. 凡丨之屬皆从丨.

‘위아래가 통하는 것’이다. 위로 끌어당기면 囟과 같이 읽고 아래로 끌어당기면 𨓆와 같이 읽는다. 무릇 丨의 무리는 다 丨을 따른다.

 

231) 中 (중, zhōng) 가운데

內也. 从口. 丨, 上下通.

‘안’이다. 口을 따른다. 丨은 위아래가 통하는 것이다.

 

232) 𣃘 (천, chǎn) 깃대

旌旗杠皃. 从丨, 从㫃, 㫃亦聲.

‘깃발 대의 모양’이다. 丨을 따르고 㫃을 따르며 㫃은 발음이기도 하다.

 

233) 屮 (철, chè) 싹 나다

艸木初生也. 象丨出形, 有枝莖也. 古文或以爲艸字. 讀若徹. 凡屮之屬皆从屮. 尹彤說.

‘풀과 나무가 처음 나는 것’이다. 丨이 나오는 형상을 본떴으며 가지와 줄기가 있는 것이다. 고문에는 간혹 艸자로 여겼다. 徹과 같이 읽는다. 무릇 屮의 무리는 다 屮을 따른다. 윤단(尹彤)의 설이다.

 

234) 屯 (둔/준, zhūn) 진 치다

難也. 象艸木之初生. 屯然而難. 从屮貫一. 一, 地也. 尾曲. 《易》曰: “屯, 剛柔始交而難生.”

‘어려움’이다. 풀과 나무가 처음 나는 것을 본떴다. 우여곡절 어려운 것이다. 屮이 一을 뚫는 것을 따른다. 一은 땅이다. 글자 꼬리가 구부러져 있다. 주역에 “屯은 강함과 부드러움이 처음 교차하여 나기 어려운 것이다”라고 하였다.

 

235) 每 (매, měi) 매양

艸盛上出也. 从屮, 母聲.

‘풀이 성장해 위로 나오는 것’이다. 屮을 따르며 母가 발음이다.

 

236) 毒 (독, dú)

厚也. 害人之艸, 往往而生. 从屮, 从毒.

‘두터운 것’이다. 사람을 해치는 풀이니 뚜렷하게 자란다. 屮을 따르며 毒을 따른다.

※ 서개의 계전에는 “从屮, 毐聲”으로 되어 있다.

 

237) 㞣 (분, fēn) 싹 트면서 향기롭다

艸初生, 其香分布. 从屮, 从分, 分亦聲.

‘풀이 처음 나는 것’이니 그 향이 퍼진다. 屮을 따르고 分을 따르며 分은 발음이기도 하다.

 

238) 𡴆 (륙, lù) 버섯

菌𡴆, 地蕈. 叢生田中. 从屮, 六聲.

‘균륙(菌𡴆)’이니 땅버섯이다. 밭 안에서 무더기로 난다. 屮을 따르며 六이 발음이다.

 

239) 熏 (훈, xūn) 불길

火煙上出也. 从屮, 从黑. 屮黑, 熏黑也.

‘불 연기가 위로 나오는 것’이다. 屮을 따르고 黑을 따른다. 屮黑은 그을음이다.

 

240) 艸 (초, cǎo) 풀

百芔也. 从二屮. 凡艸之屬皆从艸.

‘온갖 풀’이다. 두 개의 屮을 따른다. 무릇 艸의 무리는 다 艸를 따른다.

 

241) 莊

上諱.

‘황상(한나라 明帝)의 휘’이다.

 

242) 蓏 (라, luǒ) 열매

在木曰果, 在地曰蓏. 从艸, 从㼌.

나무에 있는 것을 果라 하고 땅에 있는 것을 蓏라고 한다. 艸를 따르고 㼌를 따른다.

 

243) 芝 (지, zhī) 향풀

神艸也. 从艸, 从之.

‘신령스러운 풀’이다. 艸를 따르고 之를 따른다.

 

244) 萐 (삽, shà) 상서풀 이름

萐莆, 瑞艸也. 堯時生於庖廚, 扇暑而涼. 从艸, 疌聲.

‘삽보(萐莆)’이니 상서로운 풀이다. 요임금 시대에 푸줏간에서 났는데 더위를 식히고 서늘하게 만든다. 艸를 따르며 疌이 발음이다.

 

245) 莆 (보, fǔ) 서초

萐莆也. 从艸, 甫聲.

‘삽보(萐莆)’이다. 艸를 따르며 甫가 발음이다.

 

246) 虋 (문, mén) 차조

赤苗, 嘉穀也. 从艸, 釁聲.

‘붉은 싹’이니 좋은 곡식이다. 艸를 따르며 釁이 발음이다.

 

247) 荅 (답, dá) 좀콩

小尗也. 从艸, 合聲.

‘작은 콩’이다. 艸를 따르며 合이 발음이다.

 

248) 萁 (기, qí) 콩깍지

豆莖也. 从艸, 其聲.

‘콩 줄기’이다. 艸을 따르며 其가 발음이다.

 

249) 𧆑 (곽, huò) 어린 콩잎

尗之少也. 从艸, 靃聲.

‘콩이 어린 것’이다. 艸를 따르며 靃이 발음이다.

 

250) 莥 (뉴, niǔ) 쥐눈이콩

鹿藿之實名也. 从艸, 狃聲.

‘쥐눈이콩의 열매 이름’이다. 艸를 따르며 狃가 발음이다.

 

251) 蓈 (랑, láng) 쭉정이

禾粟之𥝩, 生而不成者, 謂之蕫蓈. 从艸, 郎聲.

‘벼와 조의 이삭 가운데 났지만 알맹이가 없는 것을 蕫蓈이라고 한다. 艸을 따르며 郎이 발음이다.

 

252) 莠 (유, yǒu) 가라지

禾粟下生莠. 从艸, 秀聲. 讀若酉.

’벼와 조 아래에서 자라는 것‘이 莠이다. 艸를 따르며 秀가 발음이다. 酉와 같이 읽는다.

 

253) 萉 (비, féi) 피하다

枲實也. 从艸, 肥聲.

’삼씨‘이다. 艸를 따르며 肥가 발음이다.

 

254) 芓 (자, zì) 암삼

麻母也. 从艸, 子聲. 一曰芓卽枲也.

’삼의 어미‘이다. 艸를 따르며 子가 발음이다. 일설에는 芓가 곧 삼이라고 한다.

 

255) 䔬 (이, yì) 연교

芓也. 从艸, 異聲.

’삼‘이다. 艸를 따르며 異가 발음이다.

 

256) 蘇 (소, sū) 차조기

桂荏也. 从艸, 穌聲.

’차조기‘이다. 艸를 따르며 穌가 발음이다.

 

257) 荏 (임, rěn) 들깨

桂荏, 蘇. 从艸, 任聲.

’차조기‘이니 蘇와 같다. 艸를 따르며 任이 발음이다.

 

258) 䒨 (시, shǐ) 쑥

菜也. 从艸, 矢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矢가 발음이다.

 

259) 䔇 (기, qǐ) 물고사리

菜之美者. 雲夢之䔇. 从艸, 豈聲.

’채소 가운데 아름다운 것‘이다. 운몽의 䔇이다. 艸를 따르며 豈가 발음이다.

 

260) 葵 (규, kuí) 해바라기

菜也. 从艸, 癸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癸가 발음이다.

 

261) 䕬 (강, jiāng) 생강

禦溼之菜也. 从艸, 彊聲.

’습기를 막는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彊이 발음이다.

 

262) 蓼 (료, liǎo) 여뀌

辛菜, 薔虞也. 从艸, 翏聲.

’매운 채소‘이니 여뀌이다. 艸를 따르며 翏가 발음이다.

 

263) 䔃 (조, zǔ) 푸성귀

菜也. 从艸, 祖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祖가 발음이다.

 

264) 𦼫 (거, qú) 시화

菜也. 似蘇者. 从艸, 豦聲.

’채소‘이다. 차조기와 비슷한 것이다. 艸를 따르며 豦가 발음이다.

 

265) 薇 (미, wēi) 장미

菜也. 似藿. 从艸, 微聲.

’채소‘이다. 藿과 비슷하다. 艸를 따르며 微가 발음이다.

 

266) 蓶 (유, wéi) 푸성귀

菜也. 从艸, 唯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唯가 발음이다.

 

267) 菦 (근, qín) 미나리

菜, 類蒿. 从艸, 近聲. 《周禮》有菦菹.

’채소‘이니 蒿와 비슷하다. 艸를 따르며 近이 발음이다. 주례에 菦菹가 있다.

※ 지금 주례에는 芹菹로 되어 있다.

 

268) 䖆 (냥, niàng) 향유

菜也. 从艸, 釀聲.

’채소‘이다. 艸를 따르며 釀이 발음이다.

 

269) 莧 (현, xiàn) 비름

莧菜也. 从艸, 見聲.

’비름‘이다. 艸를 따르며 見이 발음이다.

 

270) 芋 (우, yù) 토란

大葉實根, 駭人, 故謂之芌也. 从艸, 亏聲.

큰 잎에 실한 뿌리로 사람을 놀라게 하므로 芌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亏가 발음이다.

 

271) 莒 (거, jǔ) 감자

齊謂芌爲莒. 从艸, 呂聲.

제나라에서는 芌를 莒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呂가 발음이다.

 

272) 蘧 (거, qú) 패랭이꽃

蘧麥也. 从艸, 遽聲.

’패랭이꽃‘이다. 艸를 따르며 遽가 발음이다.

 

273) 菊 (국, jú) 국화

大菊, 蘧麥. 从艸, 匊聲.

’큰 국화‘이니 ’패랭이꽃‘이라고도 한다. 艸를 따르며 匊이 발음이다.

 

274) 葷 (훈, hūn) 훈채

臭菜也. 从艸, 軍聲.

’냄새가 있는 채소‘이다. 艸을 따르며 軍이 발음이다.

 

275) 蘘 (양, ráng) 양하

蘘荷也. 一名葍蒩. 从艸, 襄聲.

’양하‘이다. 일명 복조이다. 艸를 따르며 襄이 발음이다.

 

276) 菁 (청, jīng) 우거지다

韭華也. 从艸, 青聲.

’부추 꽃‘이다. 艸를 따르며 青이 발음이다.

 

277) 蘆 (로, lú) 갈대

蘆菔也. 一曰薺根. 从艸, 盧聲.

’무‘이다. 일설에는 ’제근(薺根)‘이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盧가 발음이다.

 

278) 菔 (복, fú)

蘆菔. 似蕪菁, 實如小尗者. 从艸, 服聲.

’무‘이다. 순무와 비슷하고 열매는 작은 콩과 같다. 艸를 따르며 服이 발음이다.

 

279) 苹 (평, píng) 개구리밥

蓱也. 無根, 浮水而生者. 从艸, 平聲.

’개구리밥‘이다. 뿌리가 없고 물에 떠서 산다. 艸를 따르며 平이 발음이다.

 

280) 茞 (신, chén) 풀 이름

艸也. 从艸, 臣聲.

’풀‘이다. 艸를 따르며 臣이 발음이다.

 

281) 薲 (빈, pín) 네가래

大蓱也. 从艸, 賓聲.

’큰 개구리밥‘이다. 艸를 따르며 賓이 발음이다.

 

282) 藍 (람, lán) 쪽

染青艸也. 从艸, 監聲.

’푸른 색을 물들이는 풀‘이다. 艸를 따르며 監이 발음이다.

 

283) 藼 (훤, xuān) 원추리

令人忘憂艸也. 从艸, 憲聲. 《詩》曰: “安得藼艸?”

’사람이 근심을 잊도록 하는 풀‘이다. 艸를 따르며 憲이 발음이다. 시경에 “어디서 藼초를 얻을까?”라고 하였다.

※ 지금 시경에는 “焉得諼草”로 되어 있다.

 

284) 𦵡 (궁, qiōng) 궁궁이

𦵡藭, 香艸也. 从艸, 宮聲.

’궁궁이‘이니 향기로운 풀이다. 艸를 따르며 宮이 발음이다.

 

285) 藭 (궁, qióng) 궁궁이

藭也. 从艸, 窮聲.

’궁궁이‘이다. 艸를 따르며 窮이 발음이다.

 

286) 蘭 (란, lán) 난초
香艸也. 从艸, 闌聲.

’향기로운 풀‘이다. 艸를 따르며 闌이 발음이다.

 

287) 葌 (간, jiān) 띠

艸, 出吳林山. 从艸, 姦聲.

’풀‘이니 오림산에서 난다. 艸를 따르며 姦이 발음이다.

 

288) 葰 (수, suì) 생강

䕬屬. 可以香口. 从艸, 俊聲.

’생강 종류‘이다. 입을 향기롭게 할 수 있다. 艸를 따르며 俊이 발음이다.

 

289) 芄 (환, ) 왕골

芄蘭, 莞也. 从艸, 丸聲. 《詩》曰: “芄蘭之枝.”

’환란‘이니 莞이라고도 한다. 艸를 따르며 丸이 발음이다. 시경에 “환란의 가지”라고 하였다.

※ 지금 시경에는 “芄蘭之支”로 되어 있다.

 

290) 虈 (효, xiāo) 백지

楚謂之蘺, 晉謂之虈, 齊謂之茝. 从艸, 嚻聲.

초나라에서는 이(蘺)라 하고 진나라에서는 효(虈)라 하고 제나라에서는 채(茝)라고 한다. 艸를 따르며 嚻가 발음이다.

 

291) 蘺 (리, lí) 천궁

江蘺, 蘼蕪. 从艸, 離聲.

’강리(江蘺)‘이니 궁궁이 싹이다. 艸를 따르며 離가 발음이다.

 

292) 茝 (채, zhǐ) 궁궁이

虈也. 从艸, 𦣞聲.

’효(虈)‘이다. 艸를 따르며 𦣞가 발음이다.

 

293) 蘪 (미, méi) 천궁

蘪蕪也. 从艸麋聲.

’궁궁이 싹‘이다.

 

294) 薰 (훈, xūn) 향초

香艸也. 从艸, 熏聲.

’향기로운 풀‘이다. 艸를 따르며 熏이 발음이다.

 

295) 𦺇 (독, dú) 마디풀

水萹茿. 从艸, 从水, 毒聲. 讀若督.

’물 마디풀‘이다. 艸를 따르고 水를 따르며 毒이 발음이다. 督과 같이 읽는다.

 

296) 萹 (변, biān) 마디풀

萹茿也. 从艸, 扁聲.

’마디풀‘이다. 艸를 따르며 扁이 발음이다.

 

297) 茿 (축, zhú) 능수버들

萹茿也. 从艸, 筑省聲.

’마디풀‘이다. 艸를 따르며 筑의 생략형이 발음이다.

 

298) 𦼰 (갈, qiè) 향초

芞輿也. 从艸, 楬聲.

걸여(芞輿)이다. 艸를 따르며 楬이 발음이다.

 

299) 芞 (걸, qì ) 향초

芞輿也. 从艸, 气聲.

걸여(芞輿)이다. 艸를 따르며 气가 발음이다.

 

300) 苺 (매, méi) 딸기

馬苺也. 从艸, 母聲.

’큰 딸기‘이다. 艸를 따르며 母가 발음이다.


許愼, ≪說文解字≫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