武자

한자를 공부하다 보면 단독으로 구성된 글자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글자가 합쳐져서 구성된 합체자(合體字)를 많이 볼 수 있다. 합체자 가운데 육서의 회의(會意)에 해당하는 글자는 의미를 합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형성(形聲)에 해당하는 글자는 발음을 쉽게 알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서 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람이 나무 그늘에서 휴식하는 모습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리고 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말로 하는 행위이며 발음은 '청'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고대중국의 무기, 과(戈)

(전: 싸우다), (벌: 치다), (계: 경계하다) 등의 글자에는 모두 공통적으로 (과)라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는 고대 중국의 무기를 본뜬 글자이다. 실제로 , , 는 모두 의미가 '무기'나 '싸움'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와 헷갈리기 쉬운 글자로 (익: 본래 의미는 '말뚝')이 있다. 이 포함된 대표적인 글자로는 이 있다. 여기서 弋은 발음 부분(식←익)이다. 

자, 그렇다면 로 돌아가 보자. 는 '무력', '굳세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명백히 '무기'와 관련이 있다. 그런데 왜  모양이 보이지 않는 걸까? 정답은 간단하다. 형태가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우선 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후한 말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를 다음과 같이 해설하였다.

 

"楚莊王曰: '夫武, 定功戢兵. 故止戈爲武.'

초나라 장왕이 말하였다. '무릇 란 천하를 평정하는 공을 세우고 병기를 거두어 들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止戈(창을 멈추는 것)가 이다.'"

 

전쟁[]을 정지[]시킬 수 있어야 진정한 라는 말이다. 이 내용은 춘추좌전≫<선공 12년>에 보이며, 그만큼 역사가 오래된 해석이다. 그러나 이것은 처음에 를 만든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1)

그렇다면 어떻게 보는 게 맞을까? 우선 의 자원(字源: 글자의 기원)을 살펴보자. 는 상나라, 주나라 시대에 흔히 사용하던 무기이다. 글자의 형태는 자루가 붙은 과(: 창의 일종)를 본뜬 것이다.2) 는 사람의 발을 본뜬 것이다.3)는 '멈추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없다. 는 고문자에서 본래 "사람이 창을 어깨에 메고 가다"를 나타냈고 '위세와 무력', '위엄 있는 걸음' 등의 의미를 볼 수 있다.4) 갑골문 자형을 볼 때, 는 '가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창을 들고 발로 나아가다"로 해석해야 실제 조자의도에 부합할 것이다.5)

그렇다면 의 구성 원리는 해명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는 어디에 숨어있을까? 언뜻 보기에는 의 자형이 이 들어간 과 크게 다를 바 없어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앞서 의 합이 바로 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에서 를 한번 빼보자. 곧 다음과 같은 모양이 된다.

(왼쪽) 武 속의 戈 / (오른쪽) 갑골문 武

아하, 이제 이해할 수 있다. 바로 가  위에 올려져 있는 모양이었던 것이다.  모두 다른 글자와 가 옆으로 결합한 좌우 구조인데, 는 독특하게 위아래로 결합한 상하 구조였던 것이다. 즉 의 두 번째 획이 의 丿획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武의 갑골문을 보면 戈 아래에 止가 결합한 구조였다. 다소 억지로 현대 해서체의  형태를 살려서 쓴다면 아래 사진과 같아진다. 이걸로 이해가 되셨길 바란다.

참고로 와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글자는 가 있다. 두 손[, 의 초문(初文)]으로 창[]을 잡고 경계하는 것을 나타낸다.6) 위에서 언급했듯이, 는 좌우 결합이 표준적인 자형이 되었기 때문에 의 형태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의 이체자(異體字: 다른 형체의 글자) 중에는 𢌵 형태(⿱戈廾)도 있는데, 이 경우는 처럼 상하 결합이다.  


1)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중국문자학의 이해≫(원서 ≪文字學槪要≫), 186 - 187쪽 참고.

2) 추시구이 저, 이홍진 역, 같은 책, 216쪽 참고.

3) 추시구이 저, 이홍진 역, 같은 책, 214쪽 참고.

4) 탕란(唐蘭) 저, 오만종 등 역, ≪중국문자학≫, 118 - 119쪽 참고.

5) 김혁 저,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223쪽 참고.

6) 추시구이 저, 이홍진 역, 같은 책, 230쪽 참고.


https://youtu.be/AbAHX4I1Csc

모성재에서 월운 씀

육서(六書)란 한자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운용되는 원리를 여섯 가지로 정리한 이론이다.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로 나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고대인들이 육서라는 원칙을 세우고 거기에 따라 글자를 만든 것이 아니라, 후대 사람들이 한자를 분석하여 여섯 가지로 귀납시킨 것이라는 사실이다.

육서라는 말은 주례(周禮)에 처음 보인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保氏掌諫王惡, 而養國子以道, 乃敎之六藝: 一曰五禮, 二曰六樂, 三曰五射, 四曰五馭, 五曰六書, 六曰九數.

보씨는 왕의 나쁜 점을 간언하는 일을 관장하였고 고위층 자제들을 도()로 양성하였는데 바로 육예를 가르쳤으니 첫째는 오례이고, 둘째는 육악이고, 셋째는 오사이고, 넷째는 오어이고, 다섯째는 육서이고, 여섯째는 구수이다."

 

후한 말 경학자 정현(鄭玄)의 주석에 따르면 오례란 다섯 예법이고, 육악이란 여섯 음악, 오사란 다섯 종류의 승마 기술, 구수란 아홉 종류의 산술이다. 그렇다면 육예 가운데 육서가 하나 남는다. 정현은 정중(鄭衆)1)의 설을 인용하여 육서란 상형, 회의, 전주, 처사(處事=지사), 가차, 해성(諧聲=형성)이라고 설명했다. 순서와 명칭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위에서 말한 육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리고 후한 초 반고(班固)의 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古者八歲入小學, 故周官保氏掌養國子, 敎之六書, 謂象形·象事·象意·象聲·轉注·假借, 造字之本也.

옛날에는 여덟 살이 되면 소학에 들어갔다. 그래서 주관의 보씨는 고위층 자제들을 양성하는 일을 관장하였고 그들에게 육서를 가르쳤으니 상형, 상사(=지사), 상의(=회의), 상성(=형성), 전주, 가차를 말한다. 글자를 만드는 근본이다."

 

여기서도 육서를 글자를 만드는 원리라고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위에서 인용한 두 문헌의 기록은 의심의 여지 없이 글자를 만드는 원리를 말한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주나라 때 이미 육서라는 이론이 존재한 것이 된다. 그러나 주례의 기록을 자세히 보면 조금 균형이 맞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나머지는 모두 예법, 음악, 승마, 산술 등 그 자체를 말하고 있는데 육서를 구성 원리 해석한다면 이는 문자 그 자체가 아니게 된다. 아쓰지 데쓰지(阿辻哲次)는 '여섯 종류의 서체'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고 현재로서는 그와 같은 해석이 가장 합당할 것이다.2) 

 그렇다면 설문해자(說文解字)를 저술한 후한 말 허신(許愼)은 어땠을까? 사실 지금의 육서 개념은 그가 처음 정립한 것이다.  허신이 말한 육서의 개념은 아래와 같다.

 

一曰指事. 指事者, 視而可識, 察而見意, '上·下'是也.

첫째는 지사이다. 지사란 보아서 알 수 있고 살펴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니 가 이것이다.

二曰象形. 象形者, 畵成其物, 隨體詰詘, '日·月'是也.

둘째는 상형이다. 상형이란 사물을 그려 만드는데 형체에 따라 구부리는 것이니 이 이것이다.

三曰形聲. 形聲者, 以事爲名, 取譬相成, '江·河'是也.

셋째는 형성이다. 형성이란 개념을 이름(글자의 의미)으로 삼고 비유(독음이 같거나 비슷한 것)를 취하여 서로 완성하는 것이니 가 이것이다. 

四曰會意. 會意者, 比類合誼, 以見指撝, '武·信'是也.

넷째는 회의이다. 회의란 부류를 나란히 놓고 의미를 조합하여서 가리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니 이 이것이다.

五曰轉注. 轉注者, 建類一首, 同意相受, '考·老'是也.

다섯째는 전주이다. 전주란 종류 별로 하나의 부수를 세워 같은 의미를 서로 주고받는 것이니 가 이것이다.

六曰假借. 假借者, 本無其字, 依聲託事, '令·長'是也.

여섯째는 가차이다. 가차란 본래 그 글자가 없어 소리에 의거해 개념을 가탁한 것이니 이 이것이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지사를 상형보다 먼저 언급한다. 거기에는 그 나름의 이유가 있겠으나 아마도 상형보다 지사가 근본적으로 의미와 연관이 깊다고 생각한 듯하다. 아래에서는 허신이 말한 육서를 순서를 재정리해서 풀이하겠다.

 

1. 상형은 '형체를 본뜨다'라는 의미이다. 지사와 함께 글자를 만드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이다. 과 이 여기에 해당한다. {해(천체)}와 {달(천체)}이라는 단어를 글자로 기록하기 위해 그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 즉 ☀️와 🌙의 형체를 그대로 본뜬 것이다. 추가로 , , 등의 예시가 있다.

2. 지사는 '개념을 가리키다'라는 의미이다. 지사는 상징적인 부호를 사용하여서 기록하고자 하는 어휘를 나타낸 것이다. 가 여기에 해당하며 옛 글자는 각각 , 의 형태였다. {위}와 {아래}라는 단어를 기록하기 위해 기준선()을 하나 그리고 각각 위와 아래를 표시한 것이다. 추가로 , , 등의 예시가 있다.

3. 회의는 '의미를 조합하다'라는 의미이다. 회의는 두 글자 이상을 합하여 그 의미를 조합하는 방식이다. 글자를 조합하는 이유는 무수히 많은 단어를 나타내기 위해 그에 해당하는 글자를 다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여기에 해당한다.  를 합한 글자이다. 는 본래 발을 상형한 글자로, {가다}라는 단어를 나타내기도 했다. 창을 들고 진격한다는 의미 조합에서 {무력}이라는 단어를 유추할 수 있다. 을 합한 글자로, 사람의 말에 신뢰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 조합에서 {믿다}라는 단어를 유추할 수 있다. 또 연구에 따르면 은 상고시대에 발음에 유사성이 있었다. 추가로 , , 등의 예시가 있다.

4. 형성은 '의미와 소리'라는 의미이다. 역시 회의와 마찬가지로 두 글자 이상을 합하여 그 의미를 조합하는 방식인데, 반드시 발음 부분이 있어야 한다. 은 의미 부분 (←)와 발음 부분 (강←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고대중국어로 흐르는 큰 물 줄기를 의미하는 단어의 발음이 과 유사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성이 된 것이다. 는 의미 부분 (←)와 발음 부분 (하←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 구성 원리가 같다. 참고로 는 각각 장강(長江, 양쯔강은 그 지류)과 황하(黃河)를 가리킨다. 추가로 , , 등이 있다.

5. 가차는 '빌리다'라는 의미이다. 사실 가차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은 아니고 글자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한자가 만들어질 당시 중국어에는 동음이의어, 즉 발음은 같지만(혹은 비슷하지만) 의미는 별개인 단어들이 매우 많이 존재했다. 이는 단음절 언어라는 중국어의 특성이다. 그 가운데 상형, 지사, 회의 등의 방법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단어들, 특히 문법적인 단어들이 자주 가차의 방식으로 기록되었다. 예를 들어서 은 본래 우거진 풀을 나타내는 (망) 가운데 을 넣어 {(해가) 저물다}라는 단어를 나타내는 회의자였다. 그런데 이 단어의 발음이 {없다}라는 뜻의 단어와 유사했기 때문에 글자는 으로 쓰고 의미는 {없다}로 이해하는 용법이 생겼다. 이것이 바로 가차의 원리이다. 그러자 자의 본래 의미, 즉 {저물다}라는 단어를 나타내기 위해 자에 다시 자를 붙여 라는 글자를 만들어냈다. 는 상고시대에 발음이 /*mˤak/과 /*mˤak-s/ 3)로 거의 같았다.

그런데 허신이 예시로 든 은 방금 설명한 원리와는 조금 다르다. 은 {명령하다}라는 단어를 기록했고 은 {길다} 혹은 {성장하다}를 기록했다. 그런데 이게 인신(引伸, 파생)되어서 {명령을 내리는 사람}, {우두머리} 등의 의미로 확장되었다. 한나라 때는 현()의 장관을 현령(縣令) 혹은 현장(縣長)이라고 불렀는데 바로 이 경로를 통해 의미가 파생된 것이다. 허신은 동음이의어 원리로 의미가 늘어난 자나 의미 파생의 원리로 의미가 늘어난 자의 경우를 모두 가차로 인식한 것이나.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의미 파생은 문자가 아니라 언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과거보다 이론이 더욱 발전된 현재의 한자학의 입장에서는 자와 같은 사례만을 가차로 본다. 가차의 예시는 (어조사, =), (대명사), (그러하다) 등이 있다.

6. 전주는 '바꿔서 풀이하다'라는 의미이다. 허신은 考와 老를 예시로 들었다. 그리고 설문해자에는 를 각각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老, 考也. 七十曰老. 从人毛匕. 言須髮變白也.

이다. 70살을 라고 말한다. , , (의 의미)를 따른다. 수염과 머리카락이 희게 바뀌는 것을 말한다.”

考, 老也. 从老省, 丂聲.

이다. 의 생략형(의 의미)을 따르고 (고←교)의 소리이다.”

즉 서로 의미를 주고 받는, 다시 말해 호훈(互訓)하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考와 老는 자형이 서로 비슷하고, 설문해자에서 같은 부()에 속하며, 발음이 비슷하고, 의미도 유사하기 때문에 역대로 그에 대한 해설이 분분하였다. 왜냐하면 허신의 설명이 너무 간략한 나머지 그가 정의한 전주가 정확히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주를 제외하고도 한자가 만들어지고 운용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다. 전주라는 개념은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므로 현재의 한자학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것과는 별개로 허신이 가리킨 전주의 개념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과정은 앞으로도 필요할 것이다.


1) 동한의 경학자.

2) ≪한자학≫(아쓰지 데쓰지 저, 심경호 역).

3) 미국과 프랑스의 언어학자 윌리엄 백스터William Baxter)와  로랑 사가르(Laurent Sagart)의 저서 "Old Chinese: A New Reconstruction"의 재구음을 따랐다. 


https://youtu.be/xFBsIxXfy7A

https://www.youtube.com/watch?v=x_wPyEfB3-c 

모성재에서 월운 씀

대한민국은 상용한자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한글 전용 정책 이후, 한자를 상용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1972년 문교부에서 1,800자를 정하였고, 2000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44자를 교체해 현재도 역시 1,800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후 교육인적자원부는 2007년에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에서 몇 글자의 자형을 수정하였다.

 

이 게시글에서는 이를 강희부수 순(유니코드 순)으로 정리해 PDF 파일로 첨부하였습니다. 글꼴은 대한인쇄문화협회의 '한중일 통합 한자서체'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참고를 위해 교과서 편수자료: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PDF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아울러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의 해당 부분 이미지도 올립니다.

 

 

一 丁 七 丈 三 上 下 不 丑 且 世 丘 丙 中 丸 丹 主 乃 久 之 乎 乘 乙 九 乞 也 乳 乾 亂 了 予 事 二 于 云 互 五 井 亞 亡 交 亥 亦 亨 享 京 亭 人 仁 今 介 仕 他 付 仙 代 令 以 仰 仲 件 任 企 伏 伐 休 伯 伴 伸 似 但 位 低 住 佐 何 余 佛 作 佳 使 來 例 侍 供 依 侮 侯 侵 便 係 促 俊 俗 保 信 修 俱 倉 個 倍 倒 候 借 倣 値 倫 假 偉 偏 停 健 側 偶 傍 傑 備 催 傲 傳 債 傷 傾 僅 像 僚 僞 僧 價 儀 億 儉 儒 償 優 元 兄 充 兆 先 光 克 免 兒 入 內 全 兩 八 公 六 兮 共 兵 其 具 典 兼 冊 再 冒 冠 冥 冬 冷 凍 凝 凡 凶 出 刀 分 切 刊 刑 列 初 判 別 利 到 制 刷 券 刺 刻 則 削 前 剛 副 割 創 劃 劇 劍 力 功 加 劣 助 努 勇 勉 動 務 勝 勞 募 勢 勤 勵 勸 勿 包 化 北 匹 區 十 千 午 半 卑 卒 卓 協 南 博 卜 占 卯 印 危 却 卵 卷 卽 卿 厄 厚 原 厥 去 參 又 及 友 反 叔 取 受 叛 口 古 句 只 叫 召 可 史 右 司 各 合 吉 同 名 吏 吐 向 君 吟 否 含 吸 吹 吾 告 周 味 呼 命 和 咸 哀 品 哉 員 哭 哲 唐 唯 唱 商 問 啓 善 喜 喪 單 嗚 嘗 器 嚴 囚 四 回 因 困 固 國 圍 園 圓 圖 團 土 在 地 均 坐 坤 垂 埋 城 域 執 培 基 堂 堅 堤 報 場 塊 塔 塗 塞 境 墓 增 墨 墮 墳 墻 壁 壇 壓 壞 壤 士 壬 壯 壽 夏 夕 外 多 夜 夢 大 天 太 夫 央 失 夷 奇 奈 奉 奏 契 奔 奚 奪 奬 奮 女 奴 好 如 妃 妄 妙 妥 妨 妹 妻 妾 姊 始 姑 姓 委 姦 姪 姻 姿 威 娘 娛 婚 婢 婦 媒 嫌 子 孔 字 存 孝 孟 季 孤 孫 孰 學 宅 宇 守 安 完 宗 官 宙 定 宜 客 宣 室 宮 宰 害 宴 家 容 宿 寂 寄 寅 密 富 寒 察 寡 寢 實 寧 審 寫 寬 寶 寸 寺 封 射 將 專 尊 尋 對 導 小 少 尖 尙 尤 就 尺 尾 局 居 屈 屋 展 屛 屢 層 履 屬 屯 山 岳 岸 峯 島 崇 崩 嶺 巖 川 州 巡 工 左 巧 巨 差 己 已 巳 巷 市 布 希 帝 帥 師 席 帳 帶 常 幅 幕 幣 干 平 年 幸 幹 幼 幽 幾 床 序 底 店 庚 府 度 座 庫 庭 庶 康 庸 廉 廊 廟 廢 廣 廳 延 廷 建 弄 弊 式 弓 弔 引 弘 弟 弱 張 強 彈 形 彩 影 役 彼 往 征 待 律 後 徐 徑 徒 得 從 御 復 循 微 徵 德 徹 心 必 忌 忍 志 忘 忙 忠 快 念 忽 怒 思 怠 急 性 怨 怪 恐 恒 恕 恣 恥 恨 恩 恭 息 悅 悔 悟 悠 患 悲 情 惑 惜 惟 惠 惡 惱 想 愁 愈 意 愚 愛 感 愧 愼 慈 態 慕 慘 慙 慢 慣 慧 慨 慮 慰 慶 慾 憂 憎 憐 憤 憫 憲 憶 懇 應 懲 懷 懸 懼 戀 戊 戌 成 我 戒 或 戚 戰 戲 戶 房 所 手 才 打 托 扶 批 承 技 抄 把 抑 投 抗 折 抱 抵 押 抽 拂 拍 拒 拓 拔 拘 拙 招 拜 拳 拾 持 指 挑 振 捉 捕 捨 掃 授 掌 排 掛 掠 採 探 接 推 提 揚 換 揮 援 損 搖 搜 携 摘 播 擁 擇 擊 操 擔 據 擧 擴 攝 支 收 改 攻 放 政 故 效 敍 敎 敏 救 敗 敢 散 敦 敬 整 敵 數 文 斗 料 斜 斤 斥 斯 新 斷 方 於 施 旅 旋 族 旗 旣 日 旦 早 旬 旱 昇 昌 明 昏 易 昔 星 映 春 昨 昭 是 時 晝 晨 晩 普 景 晴 智 暇 暑 暖 暗 暢 暫 暮 暴 曆 曉 曰 曲 更 書 曾 替 最 會 月 有 朋 服 朔 望 朝 期 木 未 末 本 朱 朴 李 材 村 束 杯 東 松 板 析 枕 林 果 枝 枯 架 某 染 柔 柱 柳 査 栗 校 株 核 根 格 栽 桂 桃 案 桑 梁 梅 條 梨 械 棄 植 楊 業 極 榮 構 槪 樂 樓 標 模 樣 樹 橋 機 橫 檀 檢 欄 權 次 欲 欺 歌 歎 歡 止 正 此 步 武 歲 歷 歸 死 殃 殆 殉 殊 殘 段 殺 殿 毁 母 每 毒 比 毛 毫 氏 民 氣 水 氷 永 求 汗 汚 汝 江 池 決 沈 沒 沙 河 油 治 沿 況 泉 泊 法 波 泣 泥 注 泰 泳 洋 洗 洞 洪 洲 活 派 流 浦 浩 浪 浮 浴 海 浸 消 涉 涯 涼 淑 淚 淡 淨 淫 深 混 淸 淺 添 減 渡 測 港 渴 湖 湯 源 準 溪 溫 滅 滯 滴 滿 漁 漂 漆 漏 演 漠 漢 漫 漸 潔 潛 潤 潮 澤 激 濁 濕 濟 濫 濯 火 災 炎 炭 烈 烏 焉 無 然 煙 照 煩 熟 熱 燃 燈 燒 燕 營 燥 燭 爆 爐 爭 爲 爵 父 片 版 牙 牛 牧 物 特 牽 犬 犯 狀 狂 狗 猛 猶 獄 獨 獲 獵 獸 獻 玄 玆 率 玉 王 珍 珠 班 現 球 理 琴 環 瓦 甘 甚 生 産 用 田 由 甲 申 男 界 畏 畓 留 畜 畢 略 番 異 畫 當 畿 疏 疑 疫 疲 疾 病 症 痛 癸 登 發 白 百 的 皆 皇 皮 益 盛 盜 盟 盡 監 盤 目 盲 直 相 省 眉 看 眞 眠 眼 着 睡 督 睦 瞬 矢 矣 知 短 矯 石 破 硏 硬 碑 碧 確 磨 礎 示 社 祀 祈 祕 祖 祝 神 祥 票 祭 祿 禁 禍 福 禪 禮 禽 禾 秀 私 秋 科 秒 租 秩 移 稀 稅 程 種 稱 稻 稿 穀 積 穫 穴 究 空 突 窓 窮 竊 立 竝 竟 章 童 端 競 竹 笑 符 第 筆 等 答 策 算 管 節 範 篇 築 篤 簡 簿 籍 米 粉 粟 粧 精 糖 糧 系 糾 紀 約 紅 納 純 紙 級 紛 素 索 紫 累 細 終 絃 組 結 絡 給 統 絲 絶 絹 經 綠 維 綱 綿 緊 緖 線 緣 編 緩 緯 練 縣 縮 縱 總 績 繁 織 繫 繼 續 缺 罔 罪 置 罰 署 罷 羅 羊 美 群 義 羽 翁 習 翼 老 考 者 而 耐 耕 耳 耶 聖 聘 聞 聯 聰 聲 職 聽 肅 肉 肖 肝 肥 肩 肯 育 肺 胃 背 胞 胡 胸 能 脅 脈 脚 脣 脫 腐 腦 腰 腸 腹 臟 臣 臥 臨 自 臭 至 致 臺 與 興 舊 舌 舍 舞 舟 航 般 船 良 色 花 芳 芽 苗 苟 若 苦 英 茂 茫 茶 草 荒 荷 莊 莫 菊 菌 菜 華 萬 落 葉 著 葬 蒙 蒸 蒼 蓄 蓋 蓮 蔬 蔽 薄 薦 藏 藝 藥 蘇 蘭 虎 處 虛 號 蛇 蜂 蜜 蝶 螢 蟲 血 衆 行 術 街 衛 衝 衡 衣 表 衰 被 裁 裂 裏 裕 補 裝 裳 製 複 襲 西 要 覆 見 規 視 親 覺 覽 觀 角 解 觸 言 訂 計 討 訓 記 訟 訪 設 許 訴 詐 評 詞 詠 試 詩 話 該 詳 誇 誌 認 誓 誕 誘 語 誠 誤 誦 說 誰 課 調 談 請 諒 論 諸 諾 謀 謁 謂 謙 講 謝 謠 謹 證 識 譜 警 譯 議 護 譽 讀 變 讓 讚 谷 豆 豈 豐 豚 象 豪 豫 貌 貝 貞 負 財 貢 貧 貨 販 貪 貫 責 貯 貴 買 貸 費 貿 賀 賃 資 賊 賓 賜 賞 賢 賣 賤 賦 質 賴 贈 贊 赤 走 赴 起 超 越 趣 足 距 跡 路 跳 踏 踐 躍 身 車 軌 軍 軒 軟 較 載 輕 輝 輩 輪 輸 輿 轉 辛 辨 辭 辯 辰 辱 農 迎 近 返 迫 述 迷 追 退 送 逃 逆 透 逐 途 通 逝 速 造 逢 連 逮 進 逸 遂 遇 遊 運 遍 過 道 達 違 遙 遞 遠 遣 適 遲 遵 遷 選 遺 避 還 邊 邑 那 邦 邪 郊 郞 郡 部 郭 郵 都 鄕 鄰 酉 酌 配 酒 醉 醜 醫 釋 里 重 野 量 金 針 鈍 鉛 銀 銃 銅 銘 銳 鋼 錄 錢 錦 錯 鍊 鎖 鎭 鏡 鐘 鐵 鑄 鑑 鑛 長 門 閉 開 閏 閑 間 閣 閱 關 防 附 降 限 院 陣 除 陰 陳 陵 陶 陷 陸 陽 隆 隊 階 隔 際 障 隨 險 隱 隷 雁 雄 雅 集 雖 雙 雜 離 難 雨 雪 雲 零 雷 電 需 震 霜 霧 露 靈 靑 靜 非 面 革 韓 音 韻 響 頂 頃 項 順 須 頌 頗 領 頭 頻 題 額 顔 願 類 顧 顯 風 飛 飜 食 飢 飮 飯 飽 飾 養 餓 餘 館 首 香 馬 騎 騰 騷 驅 驗 驚 驛 骨 體 高 髮 鬪 鬼 魂 魚 鮮 鳥 鳳 鳴 鴻 鶴 鷄 鹽 鹿 麗 麥 麻 黃 黑 默 點 黨 鼓 鼻 齊 齒 龍 龜


1. 한국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부수순(2000)

한국_한문교육용_기초한자_1800자_부수순(2000).pdf
0.66MB

2. 편수자료(2편)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편수자료(2편)_한문_교육용_기초_한자.pdf
1.13MB

3.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

중학교_검정도서_편찬상의_유의점_및_검정_기준(2007).png
0.22MB

모성재에서 월운 씀

일본의 상용한자는 1981년 국어심의회(國語審議會)의 자문을 거쳐 발표된 상용한자표에서 1,945자로 정해졌는데, 이것은 1946년 같은 기관의 자문을 거친 당용한자표(當用漢字表)에 수록된 1,850자에 95자를 추가한 것이다. 이후 2010년 문화심의회(文化審議會)에서 이를 개정하여, 196자를 더하고 5자를 삭제한 개정 상용한자표를 발표했다. 개정 상용한자표에서는 상용한자 2,136자를 정했다.

 

이 게시글에서는 이를 강희부수 순(유니코드 순)으로 정리해 PDF 파일로 첨부하였습니다. 글꼴은 대한인쇄문화협회의 '한중일 통합 한자서체'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참고를 위해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2010)의 PDF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一 丁 七 万 丈 三 上 下 不 与 且 世 丘 丙 両 並 中 串 丸 丹 主 丼 久 乏 乗 乙 九 乞 乱 乳 乾 亀 了 予 争 事 二 互 五 井 亜 亡 交 享 京 亭 人 仁 今 介 仏 仕 他 付 仙 代 令 以 仮 仰 仲 件 任 企 伎 伏 伐 休 会 伝 伯 伴 伸 伺 似 但 位 低 住 佐 体 何 余 作 佳 併 使 例 侍 供 依 価 侮 侯 侵 侶 便 係 促 俊 俗 保 信 修 俳 俵 俸 俺 倉 個 倍 倒 候 借 倣 値 倫 倹 偉 偏 停 健 側 偵 偶 偽 傍 傑 傘 備 催 傲 債 傷 傾 僅 働 像 僕 僚 僧 儀 億 儒 償 優 元 兄 充 兆 先 光 克 免 児 党 入 全 八 公 六 共 兵 具 典 兼 内 円 冊 再 冒 冗 写 冠 冥 冬 冶 冷 凄 准 凍 凝 凡 処 凶 凸 凹 出 刀 刃 分 切 刈 刊 刑 列 初 判 別 利 到 制 刷 券 刹 刺 刻 則 削 前 剖 剛 剣 剤 剥 副 剰 割 創 劇 力 功 加 劣 助 努 励 労 効 劾 勃 勅 勇 勉 動 勘 務 勝 募 勢 勤 勧 勲 勾 匂 包 化 北 匠 匹 区 医 匿 十 千 升 午 半 卑 卒 卓 協 南 単 博 占 印 危 即 却 卵 卸 厄 厘 厚 原 厳 去 参 又 及 友 双 反 収 叔 取 受 叙 口 古 句 叫 召 可 台 叱 史 右 号 司 各 合 吉 同 名 后 吏 吐 向 君 吟 否 含 吸 吹 呂 呈 呉 告 周 呪 味 呼 命 和 咲 咽 哀 品 員 哲 哺 唄 唆 唇 唐 唯 唱 唾 商 問 啓 善 喉 喚 喜 喝 喩 喪 喫 営 嗅 嗣 嘆 嘱 嘲 器 噴 嚇 囚 四 回 因 団 困 囲 図 固 国 圏 園 土 圧 在 地 坂 均 坊 坑 坪 垂 型 垣 埋 城 域 執 培 基 埼 堀 堂 堅 堆 堕 堤 堪 報 場 塀 塁 塊 塑 塔 塗 塚 塞 塩 填 塾 境 墓 増 墜 墨 墳 墾 壁 壇 壊 壌 士 壮 声 壱 売 変 夏 夕 外 多 夜 夢 大 天 太 夫 央 失 奇 奈 奉 奏 契 奔 奥 奨 奪 奮 女 奴 好 如 妃 妄 妊 妖 妙 妥 妨 妬 妹 妻 姉 始 姓 委 姫 姻 姿 威 娘 娠 娯 婆 婚 婦 婿 媒 媛 嫁 嫉 嫌 嫡 嬢 子 孔 字 存 孝 季 孤 学 孫 宅 宇 守 安 完 宗 官 宙 定 宛 宜 宝 実 客 宣 室 宮 宰 害 宴 宵 家 容 宿 寂 寄 密 富 寒 寛 寝 察 寡 寧 審 寮 寸 寺 対 寿 封 専 射 将 尉 尊 尋 導 小 少 尚 就 尺 尻 尼 尽 尾 尿 局 居 屈 届 屋 展 属 層 履 屯 山 岐 岡 岩 岬 岳 岸 峠 峡 峰 島 崇 崎 崖 崩 嵐 川 州 巡 巣 工 左 巧 巨 差 己 巻 巾 市 布 帆 希 帝 帥 師 席 帯 帰 帳 常 帽 幅 幕 幣 干 平 年 幸 幹 幻 幼 幽 幾 庁 広 床 序 底 店 府 度 座 庫 庭 庶 康 庸 廃 廉 廊 延 廷 建 弁 弄 弊 式 弐 弓 弔 引 弟 弥 弦 弧 弱 張 強 弾 当 彙 形 彩 彫 彰 影 役 彼 往 征 径 待 律 後 徐 徒 従 得 御 復 循 微 徳 徴 徹 心 必 忌 忍 志 忘 忙 応 忠 快 念 怒 怖 思 怠 急 性 怨 怪 恋 恐 恒 恣 恥 恨 恩 恭 息 恵 悔 悟 悠 患 悦 悩 悪 悲 悼 情 惑 惜 惧 惨 惰 想 愁 愉 意 愚 愛 感 慄 慈 態 慌 慎 慕 慢 慣 慨 慮 慰 慶 憂 憎 憤 憧 憩 憬 憲 憶 憾 懇 懐 懲 懸 成 我 戒 戚 戦 戯 戴 戸 戻 房 所 扇 扉 手 才 打 払 扱 扶 批 承 技 抄 把 抑 投 抗 折 抜 択 披 抱 抵 抹 押 抽 担 拉 拍 拐 拒 拓 拘 拙 招 拝 拠 拡 括 拭 拳 拶拷 拾 持 指 挑 挙 挟 挨 挫 振 挿 捉 捕 捗 捜 捨 据 捻 掃 授 掌 排 掘 掛 採 探 接 控 推 措 掲 描 提 揚 換 握 揮 援 揺 損 搬 搭 携 搾 摂 摘 摩 摯 撃 撤 撮 撲 擁 操 擦 擬 支 改 攻 放 政 故 敏 救 敗 教 敢 散 敬 数 整 敵 敷 文 斉 斎 斑 斗 料 斜 斤 斥 斬 断 新 方 施 旅 旋 族 旗 既 日 旦 旧 旨 早 旬 旺 昆 昇 明 易 昔 星 映 春 昧 昨 昭 是 昼 時 晩 普 景 晴 晶 暁 暇 暑 暖 暗 暦 暫 暮 暴 曇 曖 曜 曲 更 書 曹 曽 替 最 月 有 服 朕 朗 望 朝 期 木 未 末 本 札 朱 朴 机 朽 杉 材 村 束 条 来 杯 東 松 板 析 枕 林 枚 果 枝 枠 枢 枯 架 柄 某 染 柔 柱 柳 柵 査 柿 栃 栄 栓 校 株 核 根 格 栽 桁 桃 案 桑 桜 桟 梅 梗 梨 械 棄 棋 棒 棚 棟 森 棺 椅 植 椎 検 業 極 楷 楼 楽 概 構 様 槽 標 模 権 横 樹 橋 機 欄 欠 次 欧 欲 欺 款 歌 歓 止 正 武 歩 歯 歳 歴 死 殉 殊 残 殖 殴 段 殺 殻 殿 毀 母 毎 毒 比 毛 氏 民 気 水 氷 永 氾 汁 求 汎 汗 汚 江 池 汰 決 汽 沃 沈 沖 沙 没 沢 河 沸 油 治 沼 沿 況 泉 泊 泌 法 泡 波 泣 泥 注 泰 泳 洋 洗 洞 津 洪 活 派 流 浄 浅 浜 浦 浪 浮 浴 海 浸 消 涙 涯 液 涼 淑 淡 淫 深 混 添 清 渇 済 渉 渋 渓 減 渡 渦 温 測 港 湖 湧 湯 湾 湿 満 源 準 溝 溶 溺 滅 滋 滑 滝 滞 滴 漁 漂 漆 漏 演 漠 漢 漫 漬 漸 潔 潜 潟 潤 潮 潰 澄 激 濁 濃 濫 濯 瀬 火 灯 灰 災 炉 炊 炎 炭 点 為 烈 無 焦 然 焼 煎 煙 照 煩 煮 熊 熟 熱 燃 燥 爆 爪 爵 父 爽 片 版 牙 牛 牧 物 牲 特 犠 犬 犯 状 狂 狙 狩 独 狭 猛 猟 猫 献 猶 猿 獄 獣 獲 玄 率 玉 王 玩 珍 珠 班 現 球 理 琴 瑠 璃 璧 環 璽 瓦 瓶 甘 甚 生 産 用 田 由 甲 申 男 町 画 界 畏 畑 畔 留 畜 畝 略 番 異 畳 畿 疎 疑 疫 疲 疾 病 症 痕 痘 痛 痢 痩 痴 瘍 療 癒 癖 発 登 白 百 的 皆 皇 皮 皿 盆 益 盗 盛 盟 監 盤 目 盲 直 相 盾 省 眉 看 県 真 眠 眺 眼 着 睡 督 睦 瞬 瞭 瞳 矛 矢 知 短 矯 石 砂 研 砕 砲 破 硝 硫 硬 碁 碑 確 磁 磨 礁 礎 示 礼 社 祈 祉 祖 祝 神 祥 票 祭 禁 禅 禍 福 秀 私 秋 科 秒 秘 租 秩 称 移 程 税 稚 種 稲 稼 稽 稿 穀 穂 積 穏 穫 穴 究 空 突 窃 窒 窓 窟 窮 窯 立 竜 章 童 端 競 竹 笑 笛 符 第 筆 等 筋 筒 答 策 箇 箋 算 管 箱 箸 節 範 築 篤 簡 簿 籍 籠 米 粉 粋 粒 粗 粘 粛 粧 精 糖 糧 糸 系 糾 紀 約 紅 紋 納 純 紙 級 紛 素 紡 索 紫 累 細 紳 紹 紺 終 組 経 結 絞 絡 給 統 絵 絶 絹 継 続 維 綱 網 綻 綿 緊 総 緑 緒 線 締 編 緩 緯 練 緻 縁 縄 縛 縦 縫 縮 績 繁 繊 織 繕 繭 繰 缶 罪 置 罰 署 罵 罷 羅 羊 美 羞 群 羨 義 羽 翁 翌 習 翻 翼 老 考 者 耐 耕 耗 耳 聖 聞 聴 職 肉 肌 肖 肘 肝 股 肢 肥 肩 肪 肯 育 肺 胃 胆 背 胎 胞 胴 胸 能 脂 脅 脇 脈 脊 脚 脱 脳 腎 腐 腕 腫 腰 腸 腹 腺 膚 膜 膝 膨 膳 臆 臓 臣 臨 自 臭 至 致 臼 興 舌 舎 舗 舞 舟 航 般 舶 舷 船 艇 艦 良 色 艶 芋 芝 芯 花 芳 芸 芽 苗 苛 若 苦 英 茂 茎 茨 茶 草 荒 荘 荷 菊 菌 菓 菜 華 萎 落 葉 著 葛 葬 蒸 蓄 蓋 蔑 蔵 蔽 薄 薦 薪 薫 薬 藍 藤 藩 藻 虎 虐 虚 虜 虞 虫 虹 蚊 蚕 蛇 蛍 蛮 蜂 蜜 融 血 衆 行 術 街 衛 衝 衡 衣 表 衰 衷 袋 袖 被 裁 裂 装 裏 裕 補 裸 製 裾 複 褐 褒 襟 襲 西 要 覆 覇 見 規 視 覚 覧 親 観 角 解 触 言 訂 訃 計 討 訓 託 記 訟 訪 設 許 訳 訴 診 証 詐 詔 評 詞 詠 詣 試 詩 詮 詰 話 該 詳 誇 誉 誌 認 誓 誕 誘 語 誠 誤 説 読 誰 課 調 談 請 論 諦 諧 諭 諮 諸 諾 謀 謁 謄 謎 謙 講 謝 謡 謹 識 譜 警 議 譲 護 谷 豆 豊 豚 象 豪 貌 貝 貞 負 財 貢 貧 貨 販 貪 貫 責 貯 貴 買 貸 費 貼 貿 賀 賂 賃 賄 資 賊 賓 賛 賜 賞 賠 賢 賦 質 賭 購 贈 赤 赦 走 赴 起 超 越 趣 足 距 跡 路 跳 践 踊 踏 踪 蹴 躍 身 車 軌 軍 軒 軟 転 軸 軽 較 載 輝 輩 輪 輸 轄 辛 辞 辣 辱 農 辺 込 迅 迎 近 返 迫 迭 述 迷 追 退 送 逃 逆 透 逐 逓 途 通 逝 速 造 連 逮 週 進 逸 遂 遅 遇 遊 運 遍 過 道 達 違 遜 遠 遡 遣 適 遭 遮 遵 遷 選 遺 避 還 那 邦 邪 邸 郊 郎 郡 部 郭 郵 郷 都 酌 配 酎 酒 酔 酢 酪 酬 酵 酷 酸 醒 醜 醸 采 釈 里 重 野 量 金 釜 針 釣 鈍 鈴 鉄 鉛 鉢 鉱 銀 銃 銅 銘 銭 鋭 鋳 鋼 錠 錦 錬 錮 錯 録 鍋 鍛 鍵 鎌 鎖 鎮 鏡 鐘 鑑 長 門 閉 開 閑 間 関 閣 閥 閲 闇 闘 阜 阪 防 阻 附 降 限 陛 院 陣 除 陥 陪 陰 陳 陵 陶 陸 険 陽 隅 隆 隊 階 随 隔 隙 際 障 隠 隣 隷 隻 雄 雅 集 雇 雌 雑 離 難 雨 雪 雰 雲 零 雷 電 需 震 霊 霜 霧 露 青 静 非 面 革 靴 韓 音 韻 響 頂 頃 項 順 須 預 頑 頒 頓 領 頬 頭 頻 頼 題 額 顎 顔 顕 願 類 顧 風 飛 食 飢 飯 飲 飼 飽 飾 餅 養 餌 餓 館 首 香 馬 駄 駅 駆 駐 駒 騎 騒 験 騰 驚 骨 骸 髄 高 髪 鬱 鬼 魂 魅 魔 魚 鮮 鯨 鳥 鳴 鶏 鶴 鹿 麓 麗 麦 麺 麻 黄 黒 黙 鼓 鼻 齢


1. 일본 상용한자 2136자 부수순(신자체)(2010)

일본_상용한자_2136자_부수순(신자체)(2010).pdf
0.74MB

2. 常用漢字表(平成22年11月30日_閣告示)

常用漢字表(平成22年11月30日_閣告示).pdf
3.39MB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