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

子曰: “爲政以德, 譬如1)北辰2), 居其所, 而衆星, 共(拱)3)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정치를 덕으로 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북극성이 제자리에 있으면 여러 별들이 에워싸는 것과 같다.”


1) 譬如: "비유하자면 ~와 같다."

2) 北辰(북신): '북극성'.

3) 共: 拱(gǒng)으로 읽고 '에워싸다'로 풀이한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TE4qSlumrdQ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不患人之不己知1), 患不知人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못하는 것을 걱정해선 안 되고, (자기가) 남을 알아주지 못하는 것을 걱정해야 한다.”


1) 不己知: 도치. 한문으로 “자기를 알아주다”는 知己가 된다. 그런데 이때 부정어 不이 붙으면서 대명사인 己가 술어 앞으로 도치되었다. 이런 현상은 고대 중국어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X9NyzVZC7Nw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貢曰: “貧而無諂1), 富而無驕2), 何如?”

자공이 말하였다. “가난해도 아첨함이 없으며 부유해도 교만함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子曰: “可也, 未若3)貧而樂, 富而好禮者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정도도) 괜찮기는 하지만, 가난해도 즐거워하며 부유해도 예를 좋아하는 것만 못하다.”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4)與.”

자공이 말하였다. “시에 말하길 ‘자른 듯하고 갈은 듯하며 쪼은 듯하고 갈은 듯하다’라고 하니 아마 이것을 말한 것이군요.”

子曰: “也, 始可與言詩已矣. 告諸往而知來者.”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자공)는 비로소 함께 시를 말할 만하구나. 간 것을 알려주니 올 것을 아는구나.”


1) 諂 (첨): 아첨하다.

2) 驕 (교): 교만하다.

3) 未若: A未若B 구조. "A의 수준은 아직 B만 못하다." A<B.  A不如B 혹은 A不若B 구조 참고.

4) 斯之謂: A之謂 구조. "A, 그것을 말하다. A를 말하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b332undfeQ4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君子, 食無求飽, 居無求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는 것에 배부름을 구함이 없고 거처하는 것에 편안함을 구함이 없으며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1)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일에 민첩하고 말에 신중하며, 도가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 (자신을) 바로잡는다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할 만하다.


1) 도가 있는 사람.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NZn65bop86Q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