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孫賈問曰: "與其媚於奧, 寧媚於竈, 何謂也?"

子曰: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

왕손가가 물었다. “‘아랫목에 잘보이기보다는 차라리 부엌에 잘보이는 게 낫다’라고 하니 무엇을 말한 것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하늘에 죄를 얻으면 빌 곳도 없다.”


1) 王孫賈: 위나라 대부.
2) 媚: ‘아첨하다, 잘보이다.’
3) 禱: ‘기도하다, 빌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caDdv69Fyzw

모성재에서 월운 씀

祭如在, 祭神如神在.

子曰: "吾不與祭, 如不祭."

제사 지낼 때는 (그 사람이) 있는 것처럼 하시며 신에게 제사 지낼 때는 그 신이 있는 것처럼 하셨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제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제사 지내지 않은 것과 같다.” 


1) 與 (예): ‘참여(參與)하다.’ 참여하다란 단어도 전통적으로는 ‘참예하다’라고 발음했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E72sJF4Ueqs

모성재에서 월운 씀

或問禘之說.

子曰: "不知也. 知其說者之於天下也, 其如示諸斯乎!"

指其掌.

어떤 이가 체 제사의 이야기를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알지 못한다. 그 이야기를 아는 자가 천하는 대함은(천하를 다스림은) 여기서 그것(천하)을 보는 것과 같을 것이다.”

그러고 자기 손바닥을 가리키셨다.


1) 如示諸斯: 如示之於斯의 의미로 쉬움을 비유한 표현이다. “그것[之]을 여기[斯]에서[於] 보는 것[示]과 같다[如].”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LrNd3vOlXmE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禘自既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체 제사는 술을 붓고 나서 진행되는 것부터는 내가 보고 싶지 않다.”


1) 諦: 체 제사
2) 自: ~부터
3) 旣: ~하고 나서
4) 相: 돕는 이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lwOUdc3EPjI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