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夷狄之有君, 不如1)諸夏之亡2)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민족에게 임금이 있는 것은 중원 국가들에 (임금이) 없는 것과 같지 않다.”


1) A不如B: A는 B만 못하다.

2) 亡: 없다. (무)로 읽기도 하고 혹은 罔과 같이 (망)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설도 있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iGdD6vPPmhQ

모성재에서 월운 씀

林放問禮之本. 
子曰: “大哉問! 禮, 與其奢也, 寧儉1); 喪, 與其易2)也, 寧戚(慽)3).”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위대한 질문이구나! 예법은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한 것이고, 상례는 쉽게 잘 처리하기보다는 차라리 슬퍼하는 것이다.”


1) 與其A寧B: A하기보다는 차라리 B하다.

2) 易: (이). 쉽게 잘 처리하다.

3) 戚: 슬퍼하다. Cf. 慽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lekXuSKUXjs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人而1)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인하지 않다면 예법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이며 사람이 인하지 않다면 음악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인가?”


1) 종속절 명제와 상반되는 전제를 포함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논어≫ <술이>에 나오는 "富而可求也"라는 문장은 "부는 구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여기의 "人而無信"은 "사람은 신의가 없어선 안 된다"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고대중국어 문법론≫ (梅廣 저, 박정구 등 역) 214쪽 참고.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QB5VqaFetzQ

모성재에서 월운 씀

三家者以<雍(雝)>1)徹(撤)2).

子曰: “‘相3)4)辟公, 天子穆穆5).’ 奚取於三家之堂?”

세 집안 사람들이 〈옹〉음악으로 철상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돕는 이는 임금들이며 천자께서는 거룩하시다’(라는 가사)를 어찌 삼가의 당에서 취하는가?”


1) 雍: 시 〈옹(雝)〉 음악.

2) 徹: 철상하다, (제사상을) 거두다. Cf. 撤.

3) 相: 돕다. 

4) 維: 1. 영어의 is와 같은 계사설.  2. 초점을 표시하는 강조의 어기사설.

5) 穆穆: 심원하다, 거룩하다.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eaBgX2lDRu8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