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일무

孔子季氏: “八佾1)舞於庭, 

是可忍也, 孰2)不可忍也?”

공자께서 계씨에 대해 말씀하셨다. “여덟 줄로 뜰에서 춤을 추니 

이것이 용인할 만하다면 무엇이 용인되지 못하겠는가?”


1) 佾: 줄.

2) 孰: 무엇.


팔일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58

https://youtu.be/Unyj7yvBaQo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非其1)鬼而祭之, 諂2)也; 見義不爲, 無勇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귀신이 아닌데 제사 지내는 것은 아첨하는 것이다. 의로운 일을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1) 其: 제대로 된.

2) 諂: 아첨하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_mBYIH7u5fY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張問: “十世可知也1)?” 

子曰: “2)禮, 所損益可知也; 因於禮, 所損益可知也; 其或繼者, 雖百世可知也.”

자장이 물었다. “10세대 뒤를 알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은나라는 하나라의 예법을 이어 받았으니 빠지고 더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주나라는 은나라의 예법을 이어 받았으니 빠지고 더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혹여 주나라를 계승하는 자가 있다면 비록 100세대 뒤라도 알 수 있다.”


1) 也: 의문문.

2) 因: 이어받다, 따르다.

3) 可: [주어는 다른 사람이] ~할 만하다.

Cf) 可以: [주어는 스스로] ~할 수 있다.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wy0sENKtqAw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人而1)無信, 不知其可也. 
大車無輗2), 小車無軏3), 其何以行之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신의가 없으면 그게 괜찮은지 모르겠다. 크고 작은 수레에 예와 월의 연결 장치가 없으면 무엇으로 그것을 움직이겠는가?”


1) 종속절 명제와 상반되는 전제를 포함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논어≫ <술이>에 나오는 "富而可求也"라는 문장은 "부는 구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여기의 "人而無信"은 "사람은 신의가 없어선 안 된다"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고대중국어 문법론≫ (梅廣 저, 박정구 등 역) 214쪽 참고.

2) 輗: 멍에 가로막이.

3) 軏: 멍에 막이.


위정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142

https://youtu.be/pbh7lFqryJY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