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禽1)問於子貢2)曰: “夫子, 至於是3)邦也, 必聞4)其政, 求之5)6)? 抑7)與之5)6)?”

자금이 자공에게 물었다. “선생(공자)께서는 어떤 나라에 도착하시면, 반드시 그 정사를 들으시니 (선생께서) 그것(참여할 기회)을 구한 것입니까? 아니면 (그 나라 임금이) 그것을 준 것입니까?” 

子貢曰: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5). 夫子之8)求之5)也, 其諸9)異乎10)人之8)求之5)6).”

자공이 말하였다. “선생께서는 온화, 선량, 공손, 검소, 겸양으로 얻으셨습니다. 선생께서 (그 기회를) 구하시는 것은 아마 남들이 (그것을) 구한 것과 다를 것입니다.”


1) 子禽: 공자의 제자 진강(陳亢).

2) 子貢: 공자의 제자 단목 사(端木賜).

3) 是: '어느 한, 어떤'

4) 聞: '참여하다.'

5) 之: 대명사 '그, 그것'

6) 與: 문장의 종결과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논어≫에 있는 문장 마지막의 모든 與가 동일하다. 歟 참고.

7) 抑: '아니면'

8) 之: 주어之술어 구조. 독립된 문장을 종속된 절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단순한 ‘주어+ 술어’는 “주어가 술어하다.”로 풀이한다. 반면 ‘주어之술어’는 “주어가 술어하는 것” 혹은 “주어가 술어할 때/하면”으로 풀이한다. 

9) 其諸: '아마도, 분명히'. 이 문장에서는 의문 어기사인 與와 호응해 "아마 ~일 터이다, ~이리라"로 풀이한다.

10) 乎: '~에 대해'. 于 혹은 於와 같다. A異乎B는 "A는 B에 비교해 볼 때 차이가 난다"라는 의미이다. 한국어로는 "A는 B와 다르다"로 풀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Qgc6J7Se9KA

모성재에서 월운 씀

曾子曰: “愼終1)追遠2), 民德歸厚矣.”
증자가 말하였다. “(삶의) 끝을 신중히 대하고 먼 조상을 추모하면 백성들의 덕이 순후함(너그러움)으로 귀결될 것이다.”


1) 終: '삶의 끝, 죽음.'

2) 遠: '먼 과거의 조상.'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5W46z_6naxk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君子, 不重則1)不威, 學則2)不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서지 않으니 배움은 견고하지 않다.

主忠信, 

진실과 믿음을 주로 하며,

無(毋)友3)不如4)己者, 

자기만 못한 자를 친구하지 말고,

過則1)勿憚5)改.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1) 則: [가정/조건] "~하면 곧 ~하다."

2) 則: [대비/대조] '~는'

3) 友: '친구하다, 벗삼다.'

4) 不如: A不如B 구조. "A는 B만 같지 못하다." A<B.

5) 憚 (탄): '꺼리다, 싫어하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www.youtube.com/watch?v=tgm92liuQ2Y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夏1)曰: "賢2)賢易色3),

자하가 말하였다. “훌륭함을 훌륭하다고 여기되 여색(이성)과 바꾸며,

事父母能竭其力,

부모님을 섬기되 그 힘을 다할 수 있으며, 

事君能致4)其身,

임금을 섬기되 그 몸을 바칠 수 있으며, 

與朋友交言而有信.

친구와 사귀되 말할 때 신뢰가 있다면,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비록 아직 배우지 못했다고 말하더라도 나는 반드시 그 사람을 배웠다고 말하겠다.


1) 공자의 제자 복상(卜商). 자()가 자하. 시()를 잘 이해했다고 한다.

2) 현명하다고 여기다.

3) 아름다운 여인(이성)

4) 의 사동(使動). 도달시키다, 이르게 하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UYmWMl5Wxng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