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禽1)問於子貢2)曰: “夫子, 至於是3)邦也, 必聞4)其政, 求之5)與6)? 抑7)與之5)與6)?”
자금이 자공에게 물었다. “선생(공자)께서는 어떤 나라에 도착하시면, 반드시 그 정사를 들으시니 (선생께서) 그것(참여할 기회)을 구한 것입니까? 아니면 (그 나라 임금이) 그것을 준 것입니까?”
子貢曰: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5). 夫子之8)求之5)也, 其諸9)異乎10)人之8)求之5)與6).”
자공이 말하였다. “선생께서는 온화, 선량, 공손, 검소, 겸양으로 얻으셨습니다. 선생께서 (그 기회를) 구하시는 것은 아마 남들이 (그것을) 구한 것과 다를 것입니다.”
1) 子禽: 공자의 제자 진강(陳亢).
2) 子貢: 공자의 제자 단목 사(端木賜).
3) 是: '어느 한, 어떤'
4) 聞: '참여하다.'
5) 之: 대명사 '그, 그것'
6) 與: 문장의 종결과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논어≫에 있는 문장 마지막의 모든 與가 동일하다. 歟 참고.
7) 抑: '아니면'
8) 之: 주어之술어 구조. 독립된 문장을 종속된 절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단순한 ‘주어+ 술어’는 “주어가 술어하다.”로 풀이한다. 반면 ‘주어之술어’는 “주어가 술어하는 것” 혹은 “주어가 술어할 때/하면”으로 풀이한다.
9) 其諸: '아마도, 분명히'. 이 문장에서는 의문 어기사인 與와 호응해 "아마 ~일 터이다, ~이리라"로 풀이한다.
10) 乎: '~에 대해'. 于 혹은 於와 같다. A異乎B는 "A는 B에 비교해 볼 때 차이가 난다"라는 의미이다. 한국어로는 "A는 B와 다르다"로 풀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모성재에서 월운 씀
'논어 論語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12장 (0) | 2021.09.17 |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11장 (0) | 2021.09.16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9장 (0) | 2021.09.15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8장 (0) | 2021.09.15 |
≪논어집주(論語集註)≫ <학이(學而)> 7장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