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의 번역은 출처를 밝히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경 기욱 번역

시경 기욱(월운 번역).hwp
0.04MB
시경 기욱(월운 번역).docx
0.02MB

瞻彼淇奧, 綠竹猗猗.

有匪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저 기수 물굽이 보니 푸른 대나무 무성하네.

문채 나는 군자시여, 자른 듯 갈은 듯하네, 쪼은 듯 갈은 듯하네.

瑟兮僩兮, 赫兮咺兮.

有匪君子, 終不可諼兮.

엄밀하고 굳세구나, 빛나고도 환하구나. 

문채 나는 군자시여, 끝내 잊지 못하겠구나.

瞻彼淇奧, 綠竹靑靑.

有匪君子, 充耳琇瑩, 會弁如星.

저 기수 물굽이 보니 푸른 대나무 우거졌네.

문채 나는 군자시여, 귀걸이에 빛이 나네, 가죽 갓은 별빛 같네.

瑟兮僩兮, 赫兮咺兮.

有匪君子, 終不可諼兮.

엄밀하고 굳세구나, 빛나고도 환하구나.

문채 나는 군자시여, 끝내 잊지 못하겠구나.

瞻彼淇奧, 綠竹如簀.

有匪君子, 如金如錫, 如圭如璧.

저 기수 물굽이 보니 푸른 대나무 쌓아둔 듯

문채 나는 군자시여, 구리인 듯 주석인 듯, 규옥인 듯 벽옥인 듯.

寬兮綽兮, 猗重較兮.

善戲謔兮, 不爲虐兮.

너그럽고 느긋하구나 수렛대에 기대셨구나.

장난 치기 좋아하시나 괴롭히진 않는구나.


 


https://youtu.be/ckydabkEbYY

모성재에서 월운 씀

'중국고전선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운(切韻)≫ 서(序)  (7) 2023.09.02
≪시경(詩經)≫ <면만(綿蠻)>  (0) 2021.09.17
≪시경(詩經)≫ <문왕(文王)>  (0) 2021.09.14
해하가(垓下歌)  (0) 2021.08.20
≪시경(詩經)≫ <관저(關雎)>  (0) 2021.08.03

出 갑골문

出은 '나오다, 나가다, 출발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현대 해서체의 모양은 두 개의 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산이 아래위로 솟아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는 낭설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보는 해서체는 위진시대를 거쳐 당나라 이후에야 정립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설은 근거가 없다. 出의 갑골문 형태는 止와 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옛날 사람들은 움집에 살았는데 凵 혹은 𠙵은 움을 본뜬 것이다.("坎(감, 구덩이)의 상형 초문은 본래 "凵"으로 되어 있다). 전체의 자형은 발이 움집을 떠나는 것으로 밖에서 나가는 것을 나타내었다. 1) 그렇다면 '들어오다, 들어가다, 도착하다'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발을 나타내는 止를 상하반전시키면 되지 않을까?

各 갑골문

실제로 갑골문에는 그런 글자가 있다. 이것은 𢓜(⿰彳各)의 초문(初文)이다. 자형은 발이 움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2) 各자의 소리를 가차하여 '각각, 각별' 등의 추상적 의미를 가지는 단어를 나타내었고, 본래 의미인 '도달하다, 오다' 등의 의미는 格자를 차용하여 표현하게 되었다. 3) 에기(禮記)≫<대학(大學)>에 나오는 "格物致知(사물의 이치에 이르러 나의 지식을 지극히 하다)"의 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1)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중국문자학의 이해≫(원서 ≪文字學槪要≫), 234쪽 참고.

2) 추시구이(裘錫圭) 저, 이홍진 역,  같은 책, 234, 235쪽 참고.

3) 김혁 저, ≪한자, 그것이 알고 싶다≫, 177쪽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S8MsClg4cP8 

모성재에서 월운 씀

소극정(小克鼎) '극(克)' 글자가 있는 작은 세발솥.

[원문]

隹(唯)王廿(二十)又三年九月,王才(在)宗周。王命善(膳)夫舍令(命)1)成周
遹正八𠂤(師)之年,乍(作)朕皇且(祖)釐季寶宗彝。克其日用⿱⿲爿月刀鼎(肆)2)朕辟魯3)4)
用丐康𪟣(樂)5)、屯(純)右(祐)、亹(眉)壽、永令(命)、霝(靈)冬(終)。邁(萬)年無疆,
其子=孫=永寶用。

 

[한국어 독음]

유왕이십우삼년구월, 왕재종주, 왕명선부극사령우성주.

휼정팔사지년, 극작짐황조리계보종이. 극기일용사짐벽노휴,

용개강락순우미수영명영종. 만년무강, 극기자자손손영보용.

 

[중국어 독음]

Wéi wáng èr shí yòu sān nián jiǔ yuè,wáng zài Zōng Zhōu。Wáng mìng shàn fū Kè shè mìng yú Chéng Zhōu。

Yù zhèng bā shī zhī nián,Kè zuò zhèn huáng zǔ Lí Jì bǎo zōng yí。Kè qí rì yòng sì zhèn bì lǔ xiū,

yòng gài kāng lè、chún yòu、 méi shòu、yǒng mìng、 líng zhōng。 Wàn nián wú jiāng,

Kè qí zǐ zǐ sūn sūn yǒng bǎo yòng。

 

[해석]

주나라 효왕 23년 9월 왕께서 종주(옛 도성 주원)에 계셨다. 왕께서 선부(왕실 음식 책임자) 극(克)에게 명하시어 성주(새 도성 낙양)에 왕명을 전달하도록 하셨다. 이에 왕실의 8개 사단을 정비하던 해에 극은 위대하신 할아버지 리계(釐季)를 위한 보배로운 예기(禮器)를 만들었다. 극은 날마다 이로써 우리 임금의 너그러운 비호에 예를 표할 것이며 이로써 건강, 축복, 장수 등을 기원할 것이다. 만수무강하도록 극은 자손대대 오래도록 보배롭게 사용할 것이다.


1) 舍令: 전광진,  <소극정 (小克鼎) 명문 고석>(2000)에 인용된 천추성(陳初生)과 저우허(周何)의 설에 따라 '왕의 명령을 전달하다'로 정정한다.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article/articleDetail.ink?barcode=4010023047386 

 

小克鼎 銘文 考釋

N

digital.kyobobook.co.kr

2) ⿱⿲爿月刀: 천젠(陳劍)의 설을 따라 肆(사)로 읽고 "진열하다"로 풀이한다. 문맥 상 예기를 진열함으로써 예를 표한다는 의미인 듯하다.

http://www.fdgwz.org.cn/Web/Show/281

 

陳劍:甲骨金文舊釋“將/鼎”之字及相關諸字新釋(中)-复旦大学出土文献与古文字研究中心

 

www.fdgwz.org.cn

3) 魯: '아름답다.'

4) 休: '비호(庇護)'

5) 𪟣: 궈모뤄(郭沫若)의 설에 따라 樂으로 읽는 것이 현재로서는 그나마 나아 보인다.

https://www.shanghaimuseum.net/mu/frontend/pg/article/id/CI00000653

 

上海博物馆

点击目录进入详情页

www.shanghaimuseum.net

https://www.dpm.org.cn/collection/bronze/228228.html

 

小克鼎 - 故宫博物院

商周时期青铜器的一种,原为食器,用以烹煮或盛放肉食,后逐渐成为祭祀、征伐、丧葬等活动中陈设的一种礼器。同时,鼎也是贵族进行宴飨、祭祀等礼制活动时最重要的礼器之一,所谓“钟

www.dpm.org.cn

http://www.chinaknowledge.de/Literature/Terms/bronze_jinwen.html

 

jinwen 金文, bronze vessel inscriptions (www.chinaknowledge.de)

Nov 28, 2010 © Ulrich Theobald The so-called jinwen 金文 "bronze texts" are inscriptions on ritual bronze vessels from the Shang 商 (17th-11th cent. BCE) and Zhou 周 (11th cent.-221 BCE) period, but also on other objects of the Warring States 戰國 (

www.chinaknowledge.de


https://youtu.be/rXOpEQQYloo

모성재에서 월운 씀

子曰: “君子, 食無求飽, 居無求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는 것에 배부름을 구함이 없고 거처하는 것에 편안함을 구함이 없으며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1)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일에 민첩하고 말에 신중하며, 도가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 (자신을) 바로잡는다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할 만하다.


1) 도가 있는 사람.


학이편에 사용된 한자 PDF 다운: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52

 

https://youtu.be/NZn65bop86Q

모성재에서 월운 씀

+ Recent posts